아하
검색 이미지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대단한두루미14
대단한두루미1421.12.01

멍이 들었을 경우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팔이나 다리 등… 타박상으로 멍이 들었을 경우, 병원 치료를 받아야할지 자가 치유를 해야할지 궁금합니다.

정형외과에서는 보통 골절이 없으면 불편함이 사라질 때 까지 물리치료만 권하는데, 한의원에서는 사혈, 침 치료, 물리치료를 권하더라고요.

사혈치료가 치료에 많은 도움이 되는지, 자가 치유로 충분할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12.03

    안녕하세요. 김명중 의사입니다.

    멍이 들었을 경우 골절이 동반되거나 혈종이 찬 상태가 아니라면, 대부분 시간이 지나면서 좋아집니다.

    빠른 효과를 원하시는 경우 시중에 나와있는 멍 크림이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멍이 들었다고 해도 특별한 치료는 하지 않습니다. 그냥 지켜보면 저절로 좋아지기 때문이지요. 한의원 치료의 효과에 대해서는 잘 모르나 멍은 그냥 놔두면 저절로 좋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타박상 등에 의해서 멍이 생기는 것은 손상을 받은 부위의 모세혈관이 손상되며 혈관 밖으로 피가 누출되면서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처음에는 멀쩡해 보일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나며 피가 서서히 혈관 밖으로 고여 피하층에 자리 잡게 된다면 뒤늦게 피멍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손상되는 혈관의 크기 및 출혈의 정도에 따라서 멍의 정도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서서히 다시 흡수가 되어 사라지게 되므로 너무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혹시라도 멍의 크기가 지속적으로 커지면서 압박 증상이 나타난다면 구획증후군을 염려하여야 하므로 병원 진료가 필요하겠습니다. 다만 사혈, 침 같은 시술은 현대 의학에서 인정 받지 못한 치료이므로 권고드리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멍이 드는 것은 피하에 출혈이 생겼기 때문입니다. 가만히 두면 점차 출혈이 자연흡수되면서 사라지게 됩니다. 따로 치료를 할 필요도 없고 치료를 한다고 빨리 흡수되는 것도 아닙니다. 사혈은 의학적 근거가 전혀 없고 감염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절대 하시면 안됩니다.


  • 안녕하세요. 안중구 의사입니다.

    멍(bruise)은 충격으로 파열된 모세혈관 밖으로 흘러나온 피가 뭉쳐 생긴 것으로선홍색으로 시작해 점차 파란색, 보라색으로 변하며 흡수됩니다. 약 5~10일 정도가 지나면 갈색으로 변하며 옅은 노란색을 띠며 사라지게 됩니다. 계란등으로 부드러운 마사지는 흡수를 촉진시켜 도움이 됩니다.

    멍 자체는 자연 흡수가 되게 되고 타박상으로 인한 근육의 손상등은 치료를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운동이나 작업 도중 부딪히거나 충격에 의해서 발생할수 있으며 통증, 멍, 붓기 등의 증상이 동반되며 눌렀을때 통증이 발생합니다. 신체의 어느 부위에나 발생할수 있습니다. 치료는 뼈나 조직에 문제가 있는지 엑스레이를 통해 확인을 하며 심부조직에 문제가 의심된다면 CT나 MRI를 시행할수도 있습니다. 단순 타박상의 경우 휴식, 냉찜질, 물리 치료 등을 시행하면서 회복하면 되겠습니다. 심한 경우에는 보조기, 주사치료를 시행할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부 한의사입니다.

    멍이 있으면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사그러들긴 합니다.

    하지만 한의원에서 치료를 하시면 통증의 시간과 강도를 많이 줄일 수 있습니다.

    그런 이유로 보통 치료를 권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