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직장 은퇴후 현재 최소 은퇴 자금은 월평균 어느정도가 들어가나요
이제 나이도 슬슬 직장을 퇴직해야 할 시기가 점점 다가와서 불안한데요 그런데
요즘에 은퇴를 하면 자금이 필요한것 같은데요 월 평균 어느정도가 들어갈까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은퇴자의 생활비는 개인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통계적으로 부부 기준 월 250만원~300만원이 최소로 추산됩니다. 주거비와 의료비 비중이 크기 때문에 본인 집이 있는지 건보 보장 범위가 어떤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은퇴 후 필요한 최소 생활비는 조사 기관이나 시점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최근 통계와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월평균 최소 은퇴 자금을 안내해 드립니다. '최소 생활비'는 특별한 여가 활동이나 외식 없이 먹고 자는 등 기본적인 의식주와 건강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비용을 의미합니다.
가장 최근의 주요 조사 기관 발표에 따르면, 우리나라 직장인이 은퇴 후 필요하다고 생각하거나 실제 최소한의 생활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비용은 부부 기준 297만 원~350만 원, 개인 기준으로는 192~268만 원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최소 월 평균 생활비를 150만원으로 기준으로 25년 정도 필요한 자금은 4억 5천만원이 최소입니다.
부부 기준으로 200만원~300만원이 필요한 경우 25년동안 9억원의 자금이 필요합니다.
이때 물가 상승률을 감안하지 않은 현재 기준으로 계산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은퇴하면 제일 먼저 드는 생각이 생활비인데요. 보기에 통계로는 부부 기준 월 250만 원 정도가 기본 생활비로 잡히고, 여기에 의료비나 여행 같은 여가비까지 합치면 300만 원 넘게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실 지역이나 생활 방식에 따라 차이가 커서 아껴 쓰면 200만 원대에도 가능하고, 반대로 여유 있게 쓰면 400만 원 이상도 금방 나갑니다. 현실적으로 보면 국민연금 수령액이 버팀목이 되는데, 그걸로는 턱없이 부족한 경우가 많으니 퇴직금이나 개인연금, 금융자산을 어떻게 조합하느냐가 핵심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통계청의 「2024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은퇴 후 부부 기준 월평균 최소 생활비는 240만 원이며, 여유로운 노후를 위한 적정 생활비는 336만 원으로 조사되었습니다. 다른 자료들에서도 60대 이상 가구의 월평균 소비 지출이 약 220만 원에서 260만 원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윤상호 경제전문가입니다.
작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은퇴후 최소생활비는 240만원, 적정생활비는 336만원입니다.
하지만 이는 개인의 상황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은퇴시기 자녀에 대한 비용, 보험, 대출 등등의 비용의 유무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은퇴 이후의 최소 은퇴자금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이런 것에 있어서 제일 중요한 것은 본인과 배우자 (2분 기준)
으로 얼마나 평소 소비하는지를 아셔야 하고
그 기준으로 은퇴 자금이 산출될 수 있을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은퇴 후에 주거 비용이 필요없이 집이 있다면 월 200만원 정도로도 충분히 생활히 가능할 것입니다. 하지만 주거 비용까지
감안한다면 한달에 최소 1-200만원 정도는 더 필요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직장인이 은퇴후에 생활하려면 집 대출과 같은 항목을 제외하고 생활비로 1인당 최소 100만원은 발생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는 의식주 중에서 주와 관련된 것 제외하고 병원 비 등의 항목을 고려한 금액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정기적인 검진 등이 예상이 된다면 최소 50만원 정도를 달에 평균적으로 산입하는 것이 보다 안정적일 수 도있을 것 같습니다.
1명 평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