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유아교육

재테크앱테크
재테크앱테크

엄마가 초등학교 5학년생 아이에게 너무 많은 사교육을 시키는데 좀 자제시킬 방법이 있을까요?

엄마가 초등학교 5학년생 아이에게 너무 많은 사교육을 시키는데 좀 자제시킬 방법이 있을까요? 수영, 줄넘기는 학원을 보내지만 바이올린, 영어, 중국어, 댄스 등은 전부 1대1 교육이라 사교육비가 너무 많이 나가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엄마에게 현재의 감정과 피로도에 대해서 솔직하게 전달하고

    균형 있는 학업과 휴식에 대해서 일정을 제안 하는게 어떨까 생각이 듭니다.

    사교육 외에 주도적으로 할 수 있는 활동에 대해서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사교육비도 사교육비이지만 아이가 너무 부담감이 클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아이가 지금 괜찮은지, 혹은 부담스럽거나 무리한다고 생각하고 있진 않은지 등을 고려하여 개수를 조절해 보시는 게 좋겠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초등학생 자녀에게 과도한 사교육을 시키는 것은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이는 학생들의 건강과 학업 성취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따라서 부모님께서는 적절한 방법으로 자녀의 사교육을 조절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녀와 함께 이야기를 나누면서 그들의 관심사와 필요한 교육 내용을 파악해보세요. 그리고 이를 토대로 적절한 사교육을 선택하도록 노력해보세요.

    사교육 비용이 과다하게 지출되고 있다면, 이를 검토해보고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불필요한 사교육을 줄이고, 꼭 필요한 교육만 받도록 유도해보세요.
    학교 수업에 집중하고, 숙제를 성실히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해주세요. 학교 수업을 통해 기초 지식을 습득하고,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모님께서 직접 자녀의 교육을 담당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가정에서 독서나 수학 공부를 지도해주거나, 인터넷 강의를 함께 시청하는 등의 방법을 시도해보실 수 있습니다.

    위의 방법들을 참고하여 자녀의 사교육을 적절하게 조절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상황에 따라 적합한 방법이 다를 수 있으므로, 부모님과 자녀가 함께 고민하고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자녀의 의견을 존중하고, 그들의 성장을 지원하는 자세를 가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과 취미를 가질 여유가 필요해요'라며 균형잡힌 일정을 권장하고, 학습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자율 학습이나 학교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세요

  •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주당 횟수가 적고 비용이 감당할 수 있을 정도에다 아이가 충분히 만족한다면 자제시킬 방법이나 이유가 적거나 없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그런 경우가 아니라면 일단 아이와 충분히 얘기해본뒤 아이의 만족도나 아이의 성취도 등을 판단해서 선택과 집중을 해줄 필요는 있는 것 같습니다. 과도하게 많은 사교육이 오히려 학습의지를 꺾게 되는 일이 비일비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사교육을 줄이려면 먼저 아이의 의견을 존중하며 대화를 시작하는 것이 ㄹ중요합니다. 아이가 너무 많은 학원 수업이나 과외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다면 엄마에게 아이의 감정과 생각을 솔직하게 전할 필요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학원, 사교육을 몇 개를 보내는 것처럼 개수가 중요한게 아닙니다. 아이가 학원에 다닐 의사가 있는지 없는지, 새로운것을 배우고자하는 의지가 있는지 없는지를 함께 대화를 통해서 나눠보시고 어떤 학원을 다닐 것인가부터 결정해야 합니다. 무턱대고 엄마,아삐의 의견에만 따라서 아이가 학원에 다니게 되면 아이가 너무 힘들어할 수도 있고 스트레스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억지로 다니는 학원은 차라리 다니지 않고 밖에 나가서 노는 것만 못한 게 되기 때문에 반드시 아이와 이야기해보고 배우고 싶고 더 알고 싶은 것이 있으면 그 부분에 관련된 학원에 다니는게 맞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