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반반한물범1
반반한물범122.09.18

비행기가 지나간 다음에 하얀구름이 생기는건 무엇 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가끔씩 맑은 날에 하늘을 보면

비행기가 지나간 자리에

하얗고 긴 꼬리 구름이 생기는데

왜 그런 현상이 나타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그러한 현상을 비행운이라고 합니다.

    비행운은 하늘에 차가운 공기가 비행기 엔진을 통과하면서 만들어 집니다.

    일반 여객기에도 비행기 엔진이 있기 때문에 비행운이 만들어집니다.

    찬공기가 비행기 엔진을 통과하면서 비행기 엔진의 뜨거운 열기와 마주합니다. 그리고 엔진을 통과하며 찬공기의 수증기가 물이 되고, 이 물이 배출되면서 구름과 같이 만들어 지는데 이를 비행운이라고합니다.

    또한 비행운은 습도가 높은 날에 잘 나타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엔진에서 나온 뜨거운 배기가스가 차가운 공기와 만나 식으면서 결정화가되고
    이러한 것들이 하얗게 보이는 비행운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비행기 주변이 뿌옇게 변하면서 구름처럼 생기는 것을 비행운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것이 생기는 이유는 배기가스와 하늘의 온도에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겨울에 입김을 불면 뿌옇게 보이는 것과 같은 원리로 입안의 온도와 바깥의 온도의 차이때문입니다.

    비행운의 경우 하늘의 온도보다 배기가스의 온도가 급격히 높기 때문에 이러한 입김(구름운)이 생기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