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조그만갈매기201
조그만갈매기20123.03.24

물리학적인 관점에서 순간이동이 현실적으로 가능한가요?

영화에서 나오는 순간이동 능력을 보면

정말 누구나 매력적으로 느낄텐데

과학적인 관점에서 이론적으로 순간이동이

가능한가요?

아니면 스팟을 옮겨다니는 텔레포트는 가능한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이론적으로 가능합니다


    블랙홀 두개가 서로만나


    서로를 엄청난 중력으로 끌어 당기면서 웜홀이라는것이


    생성이됩니다 웜홀을 이용하면 시공간이 휘어버리므로


    우주저편에서 저편까지 순식간에 이동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것은 블랙홀이 만났을때인데 확률은 거의없습니다


    인공적으로 만들려면 태양의 100만 배 정도되는 질량을


    대략10cm~100cm로 정도 만들수있어야 합니다


  • 물리학적으로 순간이동은 아직까지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것으로 보입니다. 순간이동은 에너지 보존 법칙과 상대론 이론에서 나타나는 시간과 공간의 관계에 의해 매우 어렵거나 불가능합니다. 이론적으로는 양자 역학에서 "양자 얽힘" 현상으로 부분적으로 구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 방법은 아직 실험적으로도 검증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순간이동이 가능하다는 것은 과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은 것입니다.



  • 순간이동은 물리학적으로 가능한지 여부는 아직 확실히 밝혀지지 않은 문제입니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물리학 지식으로는 순간이동이 가능하다는 증거나 이론적인 근거는 없습니다.

    순간이동이 가능하려면 우선 정보가 빛보다 빠른 속도로 이동할 수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현재까지는 빛의 속도가 최대 속도라는 것이 실험적으로 입증되어 있습니다. 이는 알버트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우리가 알고 있는 물리 법칙에서는 물체나 입자가 순간적으로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이는 보존 법칙에 근거한 것으로, 물체나 입자의 위치와 운동 상태는 우리가 관측하는 동안에도 일정한 규칙에 따라 변화합니다.

    따라서 현재까지의 물리학 지식에서는 순간이동이 가능하다는 증거나 이론적인 근거가 없으며, 이론적으로도 매우 어려운 문제로 남아있습니다. 그러나 물리학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앞으로의 연구를 통해 이에 대한 새로운 발견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까지 우리가 아는 물리 법칙에서는 순간이동이 불가능합니다. 이는 에너지 보존 법칙과 인과성 원리 등의 기본적인 물리 법칙들과 충돌하기 때문입니다.

    순간이동은 물체가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즉시 이동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물체를 속도보다 더 빠르게 이동시키는 것과 같은 결과를 초래합니다. 그러나 현재까지 우리가 아는 물리학적인 이론에서는 이러한 이동 방식이 가능하지 않다고 여겨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상대성 이론에서는 물체의 질량이 빠르게 이동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질량 증가는 물체를 빠르게 이동시키는데 드는 에너지를 더 많이 필요로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물체를 속도보다 더 빠르게 이동시키는 것은 현재까지 불가능하다고 생각됩니다.

    또한, 순간이동이 가능하다면 인과성 원리에 대한 문제가 발생합니다. 인과성 원리는 어떤 결과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그 결과를 초래하는 원인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물체가 순간이동을 통해 즉시 이동하는 것은 원인 없이 결과가 발생하는 것이 되어, 물리학적인 원리에 어긋나게 됩니다.

    따라서 현재까지는 순간이동이 현실적으로 가능한지에 대한 증거나 방법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물리학적으로 불가능합니다.


    실험 또는 검증(증명)사례가 없구요. 불가능하다 보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물리학적으로 순간이동은 불가능합니다.

    그 이유는 질량을 가지고 있는 물체는 빛보다 빠르게 움직이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빛보다 빠른 움직임은 질량을 무한대로 늘려 사실상 존재할 수 없게 됩니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순간이동이 가능한 방법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텔레포트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과학적으로 순간이동이 가능하다는 것은 아직 입증되지 않았습니다. 현재까지는 이론적으로만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물리학에서는 순간이동을 이론적으로 가능하다고 설명하는 것은 상대성 이론과 양자역학을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상대성 이론에서는 시간과 공간이 서로 연결되어 있고, 물체가 빛의 속도로 이동할 때 공간과 시간이 왜곡된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론상으로는 이 왜곡된 공간을 이용하여 물체를 순간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론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론적으로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실제로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양의 에너지와 기술이 필요하며, 현재까지는 이를 실현하기에는 기술적인 한계가 많이 남아있습니다.

    스팟을 옮겨다니는 텔레포트 또한, 이론적으로는 가능하다는 것이 제기되고 있지만, 현재까지는 아직까지는 불가능한 기술입니다. 텔레포트의 구현을 위해서는 막대한 에너지와 복잡한 기술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현재까지는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기술적인 한계가 많이 존재하며, 더 많은 연구와 기술 발전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질이 빠르게 A지역에서 B지역으로 이동하게 되면 그 몸이 다른 공기중의 분자와 만나서 세포가 박살이 날것 같습니다.

    그런점에서 불가능합니다

    또는 나 자신이 순간적으로 사라졌다가. B지역에서 다시 생성되어야 하는데

    이 역시도 질량보존의 법칙에 따라 질량이 뭔가 사라지는 것은 불가할것 같습니다. 다시 무에서 유로 창조되는것도 어렵고요.

    지금 생각나는 관점은

    E= mc^2 공식에 따라 우리몸 질량이 일시적으로 에너지로 변한뒤에 B지역으로 이동하고 다시 질량을 갖춘 사람으로 변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볼때 또 가능할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한도리 과학전문가입니다.

    영화로만 이해하셔야 합ㄴ디ㅏ.^^

    과학적 관점에서 볼 때, 그 사이의 공간을 물리적으로 가로지르지 않고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이동하여 즉각적인 순간 이동 또는 "텔레포트"를 달성하는 알려진 방법은 현재 없습니다. 입자 사이의 양자 상태 전송을 포함하는 양자 순간이동에 약간의 발전이 있었지만 이것은 공상과학 소설에서 일반적으로 묘사되는 순간이동 유형과 동일하지 않습니다.


  • 현재까지 알려진 물리학의 지식으로는 순간이동이 현실적으로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이론상으로는 양자역학에서 파동함수의 상호작용으로 가능성이 제기되었지만, 아직 실험적으로 증명되지 않았습니다. 또한, 순간이동이 가능하다면 인간이나 물체의 분자 수준에서의 상호작용이 바뀌어 위험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텔레포트 역시 현재까지는 이론상으로만 가능성이 제기되고, 공간이동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현재까지 알려진 물리학적 지식으로는, 순간이동이 현실적으로 가능하다는 증거나 근거는 없습니다. 순간이동은 물리학적으로 가능한지 여부가 활발히 논의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이론적인 모델링에서도 순간이동이 가능한지 여부는 명확하게 결정되지 않았습니다.

    순간이동은 물리학에서 말하는 전통적인 의미의 이동이 아니라, 어떤 물체나 입자가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순간적으로 이동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이동은 역학적인 법칙과 상대성 이론에 따라 불가능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에너지 보존 법칙과 열역학 법칙 등 물리학의 기본 원리들이 순간이동의 가능성을 제한하는 역할을 합니다. 순간이동을 하기 위해서는 무한한 에너지가 필요하거나, 열역학적인 원리를 깨야하는 등 물리학적으로 현실성이 없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현재까지는 순간이동이 현실적으로 가능하다는 증거나 근거는 없으며, 물리학적으로도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여겨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