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 이후 나온 개념으로 K자형 회복이 무엇인가요?
미국 트램프 정부는 코로나19가 일찍 종식될 것이라
생각하여 'V자형 회복'을 예상했지만,
코로나19 확진자가 폭등하여 예상이 빗나갔다고 하던데,
여기서 나온 개념인데, 바로 K자형 회복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K자형 경기회복은 경기 회복이 발생할 때, 경제 주체들 간의 회복 속도와 방향이 분명히 차이 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용어에서 'K'는 경기 회복 곡선이 상승하는 경로에서 K자 형태로 분리되는 모습을 상징합니다.
경기 회복 중 일부 경제 주체는 빠르게 회복하여 이익을 얻지만, 다른 주체는 느리게 회복하거나 손해를 보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술 산업과 디지털 경제 분야에서는 성장과 이익이 빠르게 증가할 수 있지만, 전통적인 산업이나 일부 서비스 부문에서는 회복이 더 늦거나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리고 K자형 경기회복은 부의 불균형을 더욱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부의 집중화가 더 강화되고, 소득 격차가 커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불균형은 경기 회복의 격차가 사회적으로 파편화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경제 주체들 간의 격차가 벌어짐에 따라 사회적 불평등이 심화될 수 있고, 이는 사회적 불안정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고학력·고소득 노동자는 경제 침체에서 빠르게 회복하는 반면 저학력·저소득 노동자는 침체가 더 심화되는 양극화 현상으로, 임금이나 교육 수준 등에 따라 경기 침체에서 벗어나는 속도가 다른 형태의 경제 회복을 설명한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K자형 회복은 고학력·고소득 노동자는 경제 침체에서 빠르게 회복하는 반면 저학력·저소득 노동자는 침체가 더 심화되는 양극화 현상으로, 임금이나 교육 수준 등에 따라 경기 침체에서 벗어나는 속도가 다른 형태의 경제 회복을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K자형 회복은 경제가 불균등하게 반등하여 경제의 일부는 빠르게 회복하는 반면, 여타 다른 부분은 계속 고통받는 상황을 가리키는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