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치과 이미지
치과의료상담
치과 이미지
치과의료상담
유쾌한벌잡이177
유쾌한벌잡이17721.12.03

금니 치료하는 금이 정말 금인가요? 순금?

안녕하세요

치과치료 중에 사용하는 금이 정말 금인가요?

금으로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진료비가 만만치 않네요 ㅎㅎㅎㅎ;

금을 안쓰면 저렴해질텐데요

그럼 금니 많은 사람은 금 투자했다고 생각하고

금값올랐을때 빼서 팔수도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치과용 금니에 들어가는 금은 진짜 금이 맞습니다. 하지만 순금이 아니라 치과용 합금이 같이 들어가 있어요.

    금의 농도는 40~70%로 다양합니다. 이 금은 나중에 제거했을때 금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 매입하는곳이 있다면 팔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

    치과치료시 금으로 보철물을 제작했던 이유는 금이라는 원소의 특성상 주조성이 우수하고 연성과 전성이 좋기때문에 보철물의 적합성을 우수하게 만들기 용이하기때문입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들이 많이 개선되어 다른 종류의 금속이나 세라믹 재료들로도 보철물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치과 보철물 제작시 사용되는 금은 순금이 아닙니다. 순금은 보철물 제작시 요구되는 강도가 낮기때문에 다른 금속을 첨가하여 금합금 형태로 제작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

    치과에서 치료에 금을 사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현재 존재하는 치과 재료 중 가장 안정적이고 좋은 재료입니다.

    - 금은 무른 금속으로, 씹는 작용에 의해 어느정도의 변형을 허용하여 치아 적합도가 가장 좋으며, 상대적으로 치아의 삭제량이 적습니다.

    - 원소주기율표에서 반응성이 낮은 원소로, 구강 내의 환경에서 각종 이온들과 반응하여 부식되는 등의 부작용이 거의 없습니다.

    그 외 여러 장점들로 인해 치료에 여전히 금을 사용하게 됩니다.

    치과용으로 순금을 사용하지는 않으며, 순금의 경우 너무 무르기 때문에 씹는 힘에 의해서 쉽게 변형이 발생하여 치과용 재료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때문에 금에 다른 금속을 섞은 합금의 형태로 이용하나, 이 경우에도 금의 함량은 높아 60-90% 이르는 금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금니 등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해당 금니를 금 거래소 등에 판매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금이 맞습니다.

    다만 순도 100% 금은 아니며 합금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금 자체는 물성이 매우 무르기 때문에 크라운을 제작하여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대부분은 금을 베이스로 한 합금으로 제작하게 됩니다.

    금으로 하는 이유는 다른 재료에 비해 금이 치아 적합도 및 생체적합도가 매우 우수합니다. 즉 상실된 치아 부분에 사용하더라도 금의 특성으로 인하여 다른 치아와 잘 맞게 되고 특별히 생체에 위해를 줄 수 있는 성분도 없어 과거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른 합금에 비해 연성과 전성이 높아 파절의 위험도 덜하다고 할 수 잇습니다. 현재 금값이 올랐을 때 금니를 팔 수 있냐라고 질문하는데 가능은 하나 단순히 금이 아니므로 큰 이득은 없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이정현 치과의사입니다.

    보통 골드크라운은 골드함량이 40-50%이고, 골드인레이는 70-80%정도 됩니다.

    순금으로 보철물을 만들면 전성, 연성이 높아서 기능을 할 수 없습니다.

    어쨌든 금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나오게 됩니다. 치과에서도 요새는 금값이 너무 올라서 차라리 다른 재료로 하는것이 더 이익입니다. 하지만 치아에는 골드가 가장 좋긴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