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육아
왜 여름에는 빨리 어두워질까요? 낮이 짧은 이유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계절에 따라 밤낮의 길이변화를 질문하셨는데요.여름에는 낮이 길고 밤이 짧으며 겨울에는 낮이 짧고 밤이 긴것을 일 수 있습니다.계절에 따라 낮밤의 길이가 다른 이유는 지구의 자전축이 23.5도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지구는 태양을 중심으로 1년간 공전을 하는데 각 위치에서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어 계절마다 태양의 최고 높이인 남중고도가 다르게 됩니다. 이러한 남중고도로 인해 여름에는 낮이 길고 겨울에는 낮이 짧게 됩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11
0
0
오아시스는 빗물일까요 지하수일까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오아시스는 여러 원인으로 발달하며, 대부분은 땅속 깊은 곳에 있던 지하수가 여러 가지 지형적인 이유로 밖으로 드러난 생깁니다. 지표면 아래에는 지구 표면 전체의 호수와 강을 합친 것보다 훨씬 많은 양의 물이 흐르고 있다고 하는데, 사하라 사막 아래 흐르는 물의 양만 해도 1년 동안 지구 전체에 내리는 비의 양보다 200배나 많다고 합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11
0
0
사해의 염도는 어느정도 인가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요르단과 이스라엘의 국경을 이루고 있는 호수인 사해는 카스피 해처럼 소금기가 있는 호수입니다. 그런데 사해는 카스피 해보다 훨씬 염분이 높고 다른 바닷물보다도 염분이 높습니다. 바다는 보통 염분이 30퍼밀정도인데 사해는 깊은 곳의 경우 350퍼밀 입니다.사해는 약 400만 년 전에 지구의 기온이 올라가면서 지중해의 바닷물 높이가 높아질 때가 있었는데 그때 지중해의 바닷물이 그 웅덩이로 들어갔다가 살짝 빠지면서 지대가 약간 높은 곳은 육지가 되고, 낮은 곳에는 바닷물이 그대로 남아 거대한 호수가 되었습니다. 그 후 세월이 흐르면서 바닷물의 높이가 더 낮아지면서 북쪽의 갈릴리 호수와 남쪽의 사해로 갈라지게 됐었고 그 뒤로 사해에서는 물이 증발하면서 소금 성분이 너무 높아져 생물이 살 수 없는 사해가 되었습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학문 /
화학
23.02.11
0
0
자동차 유리가 미세하게 깨지면 용접한다고 하는데 유리를 어떻게 용접하는지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차유리 용접에 대해 질문 주셨군요. 정확하게는 차유리 복원이 맞습니다. 차유리 복원의 원리는 일반 금속을 강한 열에 의해 용접하는 방식이 아닌 유리 균열사이로 접착체를 넣은 후 고정 장치를 통해 일정시간 고정을 하는 과정으로 진행 됩니다.아마 용접이란 용어가 비슷하여 혼동하신 것 같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학문 /
기계공학
23.02.11
0
0
디젤차에서 요소수가 어떻게 배기가스를 줄이나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요소수는 디젤 차량에서 발생하는 질소산화물(산성비를 민드는 물질)을 정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을 말한다. 물에 요소 성분을 혼합한 것으로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곳에 요소수를 분사하면 질소산화물이 물과 질소로 환원됩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학문 /
화학
23.02.11
0
0
정말 소의 방귀가 지구온난화 기여도가 높나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의 대기 속에 존재하며, 땅에서 복사되는 에너지를 일부 흡수함으로써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기체를 온실기체라 합니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수증기, 이산화탄소, 메테인가 있는데 소의 방귀에서 특히 메테인이 많이 방출됩니다.메테인이 다른 온싱기체보다 상대적으로 양이 적지만 온실효과는 더 일으키는 기체이며 소의 방귀에서 나오는 양이 상당하여 지구 온난화에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있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11
0
0
코딱지는 왜 생기게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이 숨을 들이마실 때 산소와 함께 공기 중에 떠다니는 먼지, 세균 같은 미세한 이물질도 들이마십니다. 이물질 일부분이 코털에 붙게 되는데요. 이때 콧물과 함께 이물질이 뭉쳐져 딱딱하게 굳으면 코딱지로 바뀝니다.코딱지즞 파면 팔수록 점막이 약해져 더 생길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학문 /
생물·생명
23.02.11
0
0
멘토스랑 콜라랑 만나면 왜 폭발이 일어나는 겁니까??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탄산음료의 물 분자들이 서로 잡아당기는 표면장력이 강력해 이산화탄소가 빠져나오는 속도가 느리게 합니다.그런데 탄산음료에 멘토스를 넣으면 멘토스가 물 분자들의 결합을 방해해 이산화탄소 거품이 쉽게 빠져나오도록 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3.02.11
0
0
환경 호르몬이 우리 몸에 어떤 작용을 하나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환경호르몬은 실제 우리 몸에 있는 호르몬은 아닙니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간단하게 호르몬에 대해 이해해야 하는데요. 호르몬은 단백질 덩어리로 우리 몸은 다양한 호르몬을 만들어 냅니다. 그리고 이 호르몬이 우리몸의 다양한 부분의 호르몬 수용체에 달라붙어 여러가지 신체적 변화를 일으킵니다.그런데 환경호르몬은 이런 수용체에 마치 호르몬인양 달라붙어 실제호르몬의 역할과 다른 역할을 하거나 호르몬이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하게 방해합니다.환경호르몬이 있는 음식을 많이 섭취할경우 성조숙증과 같은 부작용이 생길수 있으며 그외에 다양한 부작용이 생길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3.02.10
0
0
인간은 24시간 넘는 시간동안 깨어있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인간이 잠을 자지 않고 버틴 최대시간은 264시간이며 11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잠을 오랜시간 자지 않고는 정상적인 생활을 하기 힘듭니다. 잠을 자지 않았을때 나타날 수 있는 장애는 인지장애, 망상, 편집증 등이 있습니다.또 인간이 24시간 이상 잠을 자지 않았을때 혈중 알콜농도 0.1%라는 연구 결과가 있을 정도로 잠을 자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학문 /
생물·생명
23.02.10
0
0
28
29
30
31
32
33
34
35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