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변기 막힘 시 물을 한번에 쏟으먼 뚫리는 원리?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을 한번에 쏟으면 순간적으로 수압이 올라가기 때문에 막힌 부분을 순간적으로 강하게 밀어내기 때문에 막힌 변기가 뚫리는 것입니다. 변기의 경우 U형의 관으로 되어있으며, 이 부분이 보통 막히게 됩니다. 이 상태에서 물을 쏟아 부음으로써 막힌 부분을 밀어내는 것이죠.
학문 /
토목공학
22.11.30
0
0
물이 모이면 파랗게 보이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바닷물이나 수영장물 등 물이 많이 모여 있을 경우 파랗게 보이는 이유는 파장이 긴 붉은색 계열의 빛은 투과가 잘되고, 파장이 짧은 파란색 계열의 빛이 산란이 잘되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산란은 물 분자와 빛과의 상호작용으로 빛의 경로가 뒤틀리는 현상입니다. 그래서 파란 빛이 물분자에 산란되어 여기저기 튀다가 수면밖으로 나와 우리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바닷물이 파랗게 보이는것이죠.
학문 /
토목공학
22.11.30
0
0
외계인이 실제로 존재 할까요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직 미지인 영역이라 정확하게 과학적인 증거를 대며 답변이 어렵습니다. 우리는 아직 태양계도 제대로 파악한적이 없고 외부 은하나 외부 행성에 대해 망원경으로 관측한 사실만 있을뿐 행성 내부에 어떤 원소나 존재가 있는지는 무지합니다. 그래서 외계생명체로 발견된 흔적은 아직 없죠. 혹시나 이 드넓은 우주에 생명체가 존재하고 우리가 닿을 수 있는 거리에 있다면 가까운 미래에 발견할 확률도 존재하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23
0
0
제트 기류란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 것입니까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제트기류는 대기의 특정 부분인 좁은 부분에서 발생하는 아주 빠른 공기의 흐름입니다. 지구 내의 제트기류는 대류권 계면 정도의 높이에 존재하며, 구불구불하게 존재하고 있습니다. 또한 바람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붑니다.
학문 /
물리
22.11.23
0
0
빛의 속도보다 빨리 은하와 은하 사이가 멀어진다는게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의 팽창속도는 허블의 법칙에 따라 팽창하므로 73km/s/Mpc로 멀어지고 있습니다. 허블의 법칙은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팽창속도가 커진다는 법칙으로 1Mpc떨어진 거리에서 서로간 멀어지는 속도는 73km/s라는 의미입니다. 즉, 이에 따르면 우주의 끝은 우리로부터 빛보다 빠르게 후퇴하고 있습니다.이를 확인하기위해 현재까지도 별이나 은하, 다른 천체의 후퇴속도를 계산해 허블의 법칙을 검증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는 허블의 법칙을 따른다고 보여지고 있지만 과학은 언제든 이론이나 법칙이 바뀔 수 있기 때문에 다른 가능성을 두는 것도 좋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23
0
0
가열된 기름에 물을 넣으면 불이 나는 이유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기름에 불이 붙은 상태에서나 아주 뜨거운 상태에서 물을 붓게되면 물이 급격히 증발하려고해 기름이 튀어오를 수 있습니다. 이 때 기름이 튀어오르면서 분사되는 효과가 발생해 표면적이 넓어지고, 가열되는 불에 의해 불이 옮겨 붙어 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불이 붙으면 기름 전체적으로 불이 옮겨지기 때문에 위험할 수 있죠. 그래서 뜨거운 기름에는 물을 부으면 화재가 발생할 수 있어 위험합니다.
학문 /
화학
22.11.23
0
0
오로라가 생기는 이유와 그 성분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오로라는 우주에서 날아오는 우주선(하전입자)이 대기의 기체와 부딪혀 생겨나는 현상입니다. 무지개와는 다른 원리입니다!하전입자는 전하를 띠는 입자들을 의미합니다. 보통 우주선이라고도 합니다. 우주에서 날아오는 입자인 우주선이 지구로 들어오는데 이때 전하를 띠고 있으면 지구 자기장에의해 나선운동을 합니다. 그리고 자기장이 강한 고위도에서 나선운동이 강하게 일어나죠. 나선운동을 하며 대기에 있는 기체와 부딪히며 빛을 발하는데 이를 오로라라고합니다.빛이 나는 원리는 기체 분자에 존재하는 전자의 에너지 상태가 외부 우주선과의 충돌로 높은 에너지 상태가 됩니다. 그리고 다시 안정적인 상태로 돌아가려고 낮은 에너지 상태로 돌아가는데 이때 손실 되는 에너지가 빛으로 방출 되어 우리 눈에 들어오게 되는것이죠. 기체의 종류와 에너지의 차이에 따라 다른 파장의 빛을 방출하므로, 빛의 색도 달라지는 것입니다.우주선이 산소와 부딪혀 만들어지는 색은 초록색을 띠며, 질소와 부딪혀 만들어지는 색은 분홍색을 띱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23
0
0
겨울이 되면 해가 짧아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낮과 밤의 길이가 바뀌는 이유는, 지구의 자전과 공전에 의한 현상입니다. 또한, 지구의 자전축이 공전 궤도면에 수직하지않고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바뀌는 이유입니다. 또한, 낮과 밤의 길이가 바뀔뿐아니라 계절성도 띠게되죠. 겨울의 경우 북반구가 태양과 멀리 놓이게 되는데, 이 때 멀리 놓이게 되면서 낮의 길이가 짧아지고 밤의 길이가 길어집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23
0
0
겨울이 되면 찬바람이 부는 원인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겨울에는 북서쪽에서 오는 차갑고 건조한 시베리아 기단이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차갑고 건조한 바람이 부는 것입니다.
학문 /
화학
22.11.23
0
0
건물 유리 안에서는 보이고 밖에서는 안보여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매직미러의 원리입니다.외부의 빛이 매직미러에서 일부 반사되고 일부는 통과하며 일부는 흡수됩니다. 내부에서는 외부에서 통과해온 빛을 보게 되는데, 이 때문에 외부 상황을 내부에서도 볼 수 있고 매직미러를 투명한 유리처럼 느낌니다. 반면에 외부에서는 매직미러에서 반사된 빛을 강하게 보는데 이 때문에 밖에서는 거울처럼 보이는 것이죠.
학문 /
토목공학
22.11.23
0
0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