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지구의 중력은 일정하게 작용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맞습니다. 정확하게 짚으셨네요.지구의 중력은 만유인력으로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합니다. 즉, 중심과 가까울수록 중력이 강하게 작용합니다.지구상에서 지구의 중력이 가장 강한 곳은 지구의 표면이며, 표면 중 지구 중심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지점이 되겠습니다. 지구는 자전을 하고 있기 때문에 완전한 구형이 아닌, 적도 부근이 불룩한 타원형입니다. 그래서 적도 부근은 지구 중심과 거리가 멀어 중력이 약하며, 극지방은 지구 중심과 거리가 가까워 중력이 셉니다.또한, 상공으로 갈수록 중심과 거리가 멀어져 중력이 약해집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5
0
0
운동을 하다보면 쥐가 날 때가 있어요. 왜 그런 현상이 생깁니까?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운동을 갑자기 과하게 할 경우 근 긴장도가 갑작스럽게 변해 근육의 경련이 발생해 쥐가 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갑작스러운 운동이나 짧은 시간에 급격한 힘을 주게 되는 경우 쥐가 잘 날수 있기 때문에, 운동량을 서서히 늘리는 것이 중요하며 갑작스럽게 힘을 가하는 것을 삼가하는게 좋습니다.
학문 /
물리
22.11.15
0
0
마찰력은 면적에 관계가 있나요? 없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이론적으로 단면적에 무관하지만, 현실적이고 실험적으로 마찰력은 면적에 관계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기 위한 이론에서도 마찰력은 면적에 관련이 있습니다. 또한, 표면 마찰력 뿐 아닌 공기 마찰력에 대해서는 면적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이론에서는 아주 이상적인 상황으로 물체의 단면과 지면 사이에 단면적(원자간 이상적인 전기력)은 무관한게 맞습니다!
학문 /
물리
22.11.15
0
0
건전지가 전류가 약해지면 찌그러뜨리면 전류가 다시 세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아주 잠시나마 세지는 것이며, 이빨로 깨물면 자칫 잘못하면 전해액이 터져나와 입에 들어올 수 있습니다. 전해액은 화학물질로 몸에 좋지 않기 때문에 좋은 행동은 아닙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1.15
0
0
집에서 해볼 수 있는 과학놀이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과학실험으로 식초를 이용한 화산 모형을 만들 수 있습니다. 식초를 베이킹소다에 뿌리면 마그마가 분출하는 모양처럼 흘러내리죠. (위험할 정도로 폭발하지 않으며 서서히 흘러내립니다.) 원리는 식초의 산성 성분과 베이킹소다의 탄산수소나트륨이 반응하게 되면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는데, 이 이산화탄소가 부글부글 생성되며 거품을 형성해 마그마처럼 흘러내리는 것이죠. 여기에 색소를 첨가해 더욱 화산처럼 만들 수 있습니다.옥수수 전분과 물을 2대 1로 섞어 비뉴턴 유체를 만들 수 있습니다. 가만히 있으면 액체이지만 충격을 가하면 고체가 되죠. 손바닥으로 옥수수전분과 물을 섞은 곳을 치면 딱딱한 고체가 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물걸은 떨어뜨려도 고체가 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1.15
0
0
우주팽창설에 반대되는 새로운 가설이 이해가 안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기사가 어떤 내용인지 몰라 현재 이론으로 가능한 우주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우리 우주는 크게 3가지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구형 우주, 평평한 우주, 말안장(쌍곡) 우주 입니다. 이러한 우주를 결정하는 요인은 우주를 구성하는 물질(질량~중력), 빛, 암흑 에너지(팽창)의 비율입니다. 즉, 물질이 굉장히 많으면 구형 우주가 되고 미래에 수축하게 됩니다. 암흑에너지로 인한 팽창보다 중력에 의한 수축이 강하기 때문이죠. 그리고 반대의 경우는 말안장(쌍곡) 우주입니다. 미래에 가속 팽창을 하죠.그런데, 물질과 암흑에너지의 기여가 비슷하면 팽창과 중력이 평형을 이루므로 등속 팽창을 할 수 있습니다. 즉, 관측 가능한 우주내에서 물질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우주의 형태와 미래가 결정된 것이죠. 현재 연구의 결과로는 평평한 우주이며, 등속팽창을 할 가능성이 높다는 결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결과는 언제든 뒤집힐 수 있기 때문에 다른 가능성을 배제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평평한 우주라고해서 2차원이 아닙니다. 우주는 3차원 방향에 다 존재하며, 우주의 곡률이 0이라는 의미입니다.또한, 물질의 비율이 암흑에너지의 비율보다 적으면 가속 팽창을 하는 우주인 말안장 우주가 되며, 반대로 물질의 비율이 높으면 구형 우주로 닫힌 우주가되어 미래에는 수축해 다시 한점으로 모일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5
0
0
휘발유와 경유의 차이점이 어떻게 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휘발유는 가솔린이라고도 하며 경유인 디젤보다 적은 힘을 얻지만, 소음이나 진동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주로 소형차와 승용차에 휘발유를 사용하죠. 그리고 경유는 휘발유를 사용하는 차량보다 큰 대형차, SUV에 사용되며 큰 힘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소음이나 진동은 휘발유보다 큰 편입니다.
학문 /
화학
22.11.15
0
0
속도 단위 마하는 어느 정도의 속도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마하의 경우는 343m/s 를 1mach라 하며 음속을 1로 표현한 단위입니다. 2마하는 음속의 두배의 속력이 되죠. 그리고 1마하 이상의 비행은 초음속 비행입니다.음속은 대략 343m/s 속력을 의미합니다. 비행기나 미사일이 음속에 가까운 속력으로 비행할 경우 음속의 단위를 사용하여 빠르기를 표현합니다.초음속의 경우 음속보다 빠른 속력으로 날아가는 비행기의 속력을 표현할때 초음속으로 날아간다 표현합니다.
학문 /
물리
22.11.15
0
0
우리가 졸리면 하품을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하품은 체내에 산소가 부족해지면 산소를 얻으려 많은 공기를 마시기 위해 하품을 하는것입니다.재밌는 것은 만약 주변에서 하품을 하면 주변사람들 또한 산소가 부족한 상태이고, 주변 사람들의 하품으로 인해 더욱 산소가 부족해져 하품이 연쇄적으로 전파될 수 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1.15
0
0
공상과학 영화에서 지구 반대편을 지구한가운데 구멍을 뚫어 가는 영화가 있던데 실현 가능한 일 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코어를 보셨군요. 저도 재밌게 본 영화중 하나입니다. 아쉽게도 현재 기술로는 불가능하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지구중심부로갈수록 뜨거워지며, 중심부의 온도는 무려 5000도 이상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 열을 버티며 뚫을 수 있는 기술이나 장비가 없습니다. 또한 지구를 뚫어냄으로써 나오는 잔여물(마그마, 암석 등)을 지상으로 옮기는 것도 기술이 필요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5
0
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