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인공으로 비가오게하는 방법은 불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인공강우기술이 있으며, 가능한 기술입니다.인공강우는 흔히 구름 씨앗, 즉 빙결핵이 될 만한 화학물질을 대기 중에 살포하여 수증기를 응축시켜 비를 내리게하는 원리입니다. 이를 맞는다고해서 피해를 받지는 않지만 만약 공기중에 미세먼지나 나쁜 가스가 있을경우 비와 함께 내려오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는 피하셔야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인공강우 실험을 하고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1.14
0
0
현재 생명체 혹은 산소나 물이 발견된 행성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직 생명체가 발견된 행성은 없으며, 물이나 산소가 있는 행성은 발견됐습니다. 화성에도 극소량의 물이 발견되었죠. 하지만 생명체의 흔적은 발견하지 못했으며, 여전히 연구와 탐사중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4
0
0
흰머리와 새치의 다른점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새치란것은 단지 젊은 나이에 흰머리가 나면 그것을 새치라고 합니다. 새치는 유전적인 영향이 큽니다. 검은색 머리가 나려면 색소세포가 온전해야하는데 새치는 그렇지 못한 경우이기에 어릴 때부터 흰머리가 나는것이죠. 또한 나이가 들면 흰머리가 많아지는데 이는 신체의 노화로 인해 불가피하게 생기는 것입니다.
학문 /
화학
22.11.14
0
0
포스트잇은 어떻게 잘 붙기도 하고 잘 떨어지기도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접착력이 약하지만 잔여물이 잘 남지않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뗏다 붙였다 할 수 있는 것입니다.여기에 사용되는 접착제는 감압성 접착제입니다. 감압성 접착제의 성분은 고분자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고분자물질이 접착력을 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1.14
0
0
탄소연대측정은 어떻게 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방사성동위원소 연대측정법은 무겁고 불안정한 원소의 반감기를 이용하여 연대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우리는 다양한 종류의 원소를 발견하였고, 이들의 특징을 탐구하였습니다. 그 특징 중 하나는 방사성 동위원소의 반감기 입니다. 즉, 반감기는 원소의 양이 반으로 줄어드는데 까지 걸리는 시간이며 방사성 동위원소의 수명이 있다는 것을 밝혔죠. 이 사실을 통해 연대 측정을 하는것이죠.방사성 동위원소란 안정적인 원자(주기율표의 원자)내는 양성자, 중성자, 전자가 동일한 비율로 있지만, 이 안정적인 원자에 중성자가 더 붙어 불안정한 원소가 되는데 이를 의미합니다. 이 방사성 동위원소(모 원소, parent atoms)는 다른 불안정한 원소를 만들거나 안정적인 원소를 만들어내며 붕괴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원소를 딸 원소, 자 원소(daughter atoms)라고 합니다. 반감기는 초기에 모 원소의 수의 반이 줄어든 시간이며 이 때 딸 원소의 수는 모 원소의 붕괴된 양만큼 생성됩니다.(참고로, 중요한 부분은 알아 내고자 하는 연대(과거 의 그 시점)에서의 딸 원소의 양을 알고 있어야 정확한 연대 측정이 가능하다는점입니다. 이러한 점을 보정하는 방법이 아이소크론 연대측정 법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4
0
0
동물들이 썩은 음식을 먹을 수 있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배고프게 된 상태에서는 신선한 먹을것이 없어 생존을 위해 먹는 것입니다. 썩은 고기는 사람에게 뿐 아닌 동물에게도 좋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기생충이 많고, 변질된 단백질로인해 탈날 수 있기 때문이죠.
학문 /
생물·생명
22.11.14
0
0
알콜은 유통기한이 따로 없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알코올이나 고급양주, 담금주를 오래 두어도 잘 썩지 않습니다. 알코올을 세균이나 박테리아 등을 죽이기 때문이죠. 하지만, 맛의 변화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11.14
0
0
현대문명의 기술력으로는 못만드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리학에서 상대성 이론을 따르면 미래로의 시간 여행이 가능하며, 과거는 불가능합니다.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빛의 속력과 비슷한 속력으로 여행을 다녀오거나, 중력이 강한 행성을 다녀오게 되면 지구에 있는 사람들보다 시간이 느리게 흘러 마치 미래로 이동한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하지만 이러한 일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광속까지 얻는 추진력(에너지)이 필요하고, 광속에 비슷한 속력으로 이동하는 동안 외부와 충돌없이 안전하게 운행해야합니다. 그리고 중력이 강한 행성에 가기 위해서는 가는데 까지 필요한 연료와, 강한 중력을 견딜 수 있는 육체가 필요하죠. 그래서 영화에서는 쉽게 가능하지만 현실에선 거의 불가능하시다고 보면 됩니다. 하지만 나사에서 빛의 속도에 근접하게 도달할 수 있는 엔진을 개발중이라고 합니다. 이 엔진이 개발되면 머지않아 상대성이론을 체감하며, 미래로의 시간여행이 가능할지 모르겠습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11.14
0
0
자다보면 만세 자세를 하는 이유는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잠자는 습관 때문이나 잠꼬대 때문일 수 있습니다. 자다보면 자신도 모르게 특정한 자세를 취하는 경우가 있는데, 질문자님께서는 만세자세가 편하거나 아니면 잠꼬대로 그런 자세를 취한듯 합니다.
학문 /
화학
22.11.14
0
0
나뭇잎이 제각각 다른 색을 띄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봄부터 여름까지 엽록소가 만들어지면서 초록 잎을 유지하였지만 가을이 되면서 이 엽록소가 더 이상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이유는 떨켜층에 의해 나뭇잎에 수분이 부족해지고 영양분이 쌓여 산성을 띠게 되면서 엽록소가 분해됩니다. 엽록소가 분해되며 노란, 주황, 빨강, 핑크 등으로 색이 바뀌어 단풍이 지는 것이죠.또한색이다른이유는색소의종류와함유량이다르기때문입니다. 붉은색은엽록소가분해되며 안토시아닌을생성하며띠게되고, 노란색은 크산토필, 카로티노이드가생성되면서, 갈색은 크산토필, 타닌이생성되면서띠게되는색입니다.엽록소가 분해되는 이유는 겨울 동안 나무는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고 나무 내에 있는 수분을 최소화(수분이 얼면 부피가 증가해 손상을 입기때문에)하는 작업을 시작합니다. 그 중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해 잎과 나뭇가지 사이에 떨켜층을 형성하여 나뭇잎에 수분 공급을 중단시키고 나뭇잎으로부터 에너지(양분) 공급을 중단 받아 나뭇잎의 농도가 올라 산화되면서 엽록소가 분해돼 단풍이 들게하며 이후에 낙엽이 되어 떨어지게 만듭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4
0
0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