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키 작은 사람이 키 큰 사람보다 오래 산다는게 증명된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키가 작거나 큰것은 사람마다 다른 특징일 뿐입니다. 즉, 키가 크거나 또는 작다고해서 오래살거나 빨리 죽는다는 과학적인 근거는 없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1.13
0
0
학교에서 배웠다가 자서 모르겠는데 융해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융해란 녹는 것이라 생각하면 됩니다. 즉, 고체에서 액체가 되는 과정을 융해라고 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1.13
0
0
세종과학기지에서는 어떤 연구를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남극 대륙의 지질이나 빙하 내에 갇힌 공기의 성분을 연구하기도 합니다. 또한 빙하 내에 갇혀있는 세균 바이러스 등에대해 연구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빙하의 손실률 등 남극에서 일어나는 생태계나 자연 현상을 연구하기도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1
0
0
하늘을 봤을때 유난히 빛나는 빛의 정체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목성을 봤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 밤하늘에 밝게 빛나는 노란(주황빛)빛의 별은 목성입니다. 크고 밝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1
0
0
개기 월식일때 달이 붉게 보이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월식은 태양 지구 달 순으로 배열된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보름달이 되는 위상에서 관측이 가능합니다!아래 그림과 같이 지구 그림자에 의해 달이 가려지는 현상을 월식이라고 합니다. 지구 그림자에 의해 가려진 달이 어둡게 보이지 않고 붉게 보이는 이유가 있습니다. 태양 빛이 지구의 대기를 지나고 있으며, 달에는 직접적으로 닿지 않습니다. 하지만 태양 빛중 붉은 빛이 두꺼운 대기층을 지나게되면서 굴절, 회절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렇게 굴절, 회절된 빛이 달의 표면에 닿게되면서 달이 붉게 보이는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1
0
0
김장철 대파를 썰어야 되는데 눈이 매워 눈물이 나는데 해결법은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파나 양파에는 프로페닐스르펜산이라는 최루성 성분이 있어 파를 썰 때 이 물질이 나와 우리눈을 따갑게 합니다.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파를 물에 담가두었다가 꺼내 썰거나, 고글을 쓰고 써는 방법이 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1.11
0
0
터널은 어떤 과정을 통해서 건설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터널의 경우 다이너마이트와 같은 폭발물을 설치해 조금씩 길을 뚫거나 포크레인 등으로 길을 뚫어 공사를 진행합니다. 길을 뚫으면서 무너지지않게 튼튼하게 뼈대를 받춰주며 작업을 진행하죠.
학문 /
토목공학
22.11.11
0
0
물과 공기의 대류현상은 왜 일어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대류현상은 뜨거운것과 찬것의 밀도차에 의해 발생합니다.온도가 높으면 기체나 액체의 움직임이 활발해 부피가 커지며 밀도가 낮아지며, 온도가 낮으면 움직임이 둔해져 부피가 작아져 밀도가 커집니다. 즉, 밀도가 낮은 뜨거운 것이 위로 가려고하고 밀도가 높은 찬 것이 아래로 가려고하죠.우리 대기에서도 대류현상이 일어나고 물이 끓을 때에도 대류현상이일어납니다. 대기의 경우 지열에 의해 밑부분이 뜨거워지고 윗부분은 지열이 닿지 못해 차가워지면서 대류가 일어나죠. 물이 끓을때에도 냄비 밑부분이 먼저 뜨거워져 위로 올라가려하기 때문에 대류가 일어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1
0
0
육상 400m 경기에서 어느 라인이 유리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이론상 커브길에서 바깥라인이 유리하다 볼 수 있습니다. 내부 커브길에 비해 바깥 커브길의 곡률이 적어 가속하기에 편하기 때문이죠.
학문 /
물리
22.11.11
0
0
열기구는 무슨 원리로 움직이는거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열기구는 열기구 내 기체를 가열시켜 밀도를 낮춤으로써 뜨는 원리입니다.열기구는 상공에 뜨게되면 바람을 타고 움직입니다. 열기구 내에서 방향전환 기능이 없죠. 그래서 열기구를 띄우고 낮추는 것을 반복하여 바람의 세기를 조절해 운항을 하며, 높낮이에 따라 바람의 방향이 미묘하게 달라짐을 이용하여 조금의 방향만을 설정합니다. 하지만 의지대로 방향을 설정하진 못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1
0
0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