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개기 일식같은 현상 어떻게 해서 일어나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월식은 태양 지구 달 순으로 배열된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보름달이 되는 위상에서 관측이 가능합니다. 밤하늘에 떠있는 달은 태양 빛을 반사해서 빛이 나는데, 지구 그림자가 달을 가리면서 월식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월식 때에는 달이 붉게 보입니다.일식은 태양 달 지구 순으로 배열된 경우에 발생하고 달의 위상이 삭일 때 관측되는 현상입니다. 대낮에 일어나며 달에 의해 태양이 가려질때를 일식이라고 합니다.이러한 현상들은 단순히 공전과 자전에 의해 그림자가 지는 현상이므로 지구에는 큰 변화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다만, 일식이나 월식으로 인해 잠시 어두워질 수 있으며, 태양이 가려지는 일식의 경우 잠시동안 태양 에너지를 받지 못해 아주 미미하게 기온이 내려갈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9
0
0
태양열은 어떤식으로 전기를 발생시키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열은 태양으로부터 받은 열을 이용해 물을 끓여 증기를 발생시킨 뒤, 이 증기로 터빈을 돌려 전기에너지를 얻어냅니다.발전기는 전자기 유도 현상을 원리로 작동합니다. 발전기는 터빈에 바람이나 물살 등 외부 힘으로 인해 회전 시킴으로써 터빈 끝에 달린 자석이 코일 주변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터빈 끝에 달린 코일이 자석 주변으로 하면서 코일에서 유도 전류가 발생하는데 이를 모아 전기로 사용하는 원리입니다. 회전 방향과 상관없이 코일에 전류를 모을 수 있습니다.전자기 유도 현상이란 코일(도선)이 있고, 코일 주변에 자석(또는 전자석)이 움직이거나 자기력이 변화하고 있을 때 코일(도선)에 유도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말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1.09
0
0
오늘 개기월식이었다고 하는데 달이 어떻게 빨갛게 보이는거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월식은 태양 지구 달 순으로 배열된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보름달이 되는 위상에서 관측이 가능하죠!아래 그림과 같이 지구 그림자에 의해 달이 가려지는 현상을 월식이라고 합니다. 지구 그림자에 의해 가려진 달이 어둡게 보이지 않고 붉게 보이는 이유가 있습니다. 태양 빛이 지구의 대기를 지나고 있으며, 달에는 직접적으로 닿지 않습니다. 하지만 태양 빛중 붉은 빛이 두꺼운 대기층을 지나게되면서 굴절, 회절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렇게 굴절, 회절된 빛이 달의 표면에 닿게되면서 달이 붉게 보이는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9
0
0
지구와 같이 생명체가 살고 있는 행성이 존재 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지구와 비슷한 제 2의 지구형 행성을 수차례 발견한 적이 있습니다. 또한, 드넓은 우주에 지구와 비슷한 환경을 가진 행성이 존재할 가능성도 있다고 봅니다. 다만, 이러한 행성을 발견하더라도 굉장히 먼 거리에 떨어져 있기 때문에 탐사를 하기에는 오랜 시간과 뛰어난 기술이 필요하다는 어려움이 있죠. 그래서 다른 외계 생명체의 존재도 확인하기가 어려운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나서에서 광속에 가까운 속도를 낼 수 있는 엔진을 개발중이라고하니 이러한 엔진이 완성되면 탐사가 조금 더 수월해질것이라 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9
0
0
오드아이가 나타나는 과학적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유전이나 돌연변이일 경우 오드아이가 될 수 있습니다. 즉, 양쪽 눈의 홍채 색소가 다르게 태어나면서 오드아이가 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1.08
0
0
계기 일식이랑 월식이 생기는 이유가 궁금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월식은 태양 지구 달 순으로 배열된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보름달이 되는 위상에서 관측이 가능합니다.아래 그림과 같이 지구 그림자에 의해 달이 가려지는 현상을 월식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달이 지구 그림자에 완전히 가려지는 현상을 개기 월식이라고 합니다.월식의 경우 어느정도 주기성이 있습니다. 월식은 태양 지구 달 순으로 배열된 경우에 발생할 수 있으며, 보름달이 되는 위상에서 관측이 가능합니다. 또한, 지구 그림자 내로 달이 진입하는 시기가 월식이 일어납니다. 즉, 달의 궤도 운동과 지구의 자전 등의 주기가 맞춰지는 때 월식이 일어나므로 주기가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8
0
0
오늘 뜬 200년마다 한번온다는 달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월식은 태양 지구 달 순으로 배열된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보름달이 되는 위상에서 관측이 가능합니다.아래 그림과 같이 지구 그림자에 의해 달이 가려지는 현상을 월식이라고 합니다. 지구 그림자에 의해 가려진 달이 어둡게 보이지 않고 붉게 보이는 이유가 있습니다. 태양 빛이 지구의 대기를 지나고 있으며, 달에는 직접적으로 닿지 않습니다. 하지만 태양 빛중 붉은 빛이 두꺼운 대기층을 지나게되면서 굴절, 회절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렇게 굴절, 회절된 빛이 달의 표면에 닿게되면서 달이 붉게 보이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8
0
0
지구에서 한 블랙홀 실험의 결과가 어땠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에서 만들어졌다는 블랙홀의 경우 매우 작은 사이즈의 블랙홀입니다. 이러한 블랙홀은 어떠한 피해도 못주며 금방 소멸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호킹 복사란 현상이 있는데, 블랙홀의 힘의 원천인 질량에 대해 호킹 복사로 손실되는 비율이 크기 때문입니다.(호킹 복사란 블랙홀의 사건의 지평선(event horizon) 주변에서 입자와 반입자의 쌍생성 쌍소멸 과정이 일어나는데, 입자가 지평선 밖으로 나오는 경우가 발생하면서 반입자가 내부 블랙홀의 물질을 소멸 시키는 현상입니다. 즉, 블랙홀의 증발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추가로, 진공에서 입자 반입자의 생성과 소멸이 끊임없이 일어나는 현상은 양자역학적으로 기술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8
0
0
블랙홀을 사진으로 찍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블랙홀은 상대성 이론과 우주론에 의해 예견된것이고 현재는 관측을 성공한 실존하는 것입니다.질량이 매우 크고 반경이 매우 작은 죽은 별입니다.블랙홀은 태양 질량의 수백배가 되는 별의 죽음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애초에 우주에 있는 성간물질이나 가스가 응축하여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별의 죽음으로 생기는 원리는, 거대한 별은 중력이 강합니다. 그래서 별이 살아 있을 때에는 핵융합 반응을 통해 열이 발생돼 별의 자체적인 중력과 평형을 이루며 별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별이 죽게되면서 더 이상 핵융합 반응을 못하고 결국 자체 중력을 이기지 못하고 별이 붕괴하여 블랙홀이 되는것이죠.애초에 우주에 있는 성간물질이나 가스가 응축하면서 만들어진 블랙홀은 물질이 뭉쳐 자체적으로 강한 중력을 이길만한 열, 에너지를 만들지 못하고 붕괴되어 블랙홀이 되는것입니다.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중력이 큰 곳(블랙홀과 같은)에서는 시간이 느리게 흘러가고, 중력이 약한 곳(우주와 같은 무중력)에서는 시간이 빠르게 흘러갑니다.아래 사진은 블랙홀의 관측 사진입니다. 블랙홀은 빛도 빨아들이기 때문에 까맣지만, 주변의 별빛을 휘게 만들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나타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8
0
0
명왕성은 왜 태양계에 제외 됐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명왕성이 행성의 지위를 박탈당한 계기는 에리스라는 소행성을 발견하고나서부터입니다. 발견 당시 에리스는 태양 주위를 멀리서 돌고있었고 명왕성과 크기가 유사하였습니다. 그래서 국제천문연맹은 에리스를 10번째 행성으로 넣어야 하는지 의논을 시작하였죠.그러면서 명왕성을 다시 잘 관측해보니 태양주위를 돌지만 공전궤도가 찌그러져 해왕성의 공전궤도를 침범할 때도 있었으며, 명왕성이 행성으로써의 크기와 질량을 갖지 못하여 행성보다 위성에 가깝다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행성이 되기위해선 위성을 둘만한 중력이 필요하다고 정의한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명왕성이 행성 자격을 박탈당하게되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8
0
0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