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겨울철이나 여름의 온도를 저장할 순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열을 저장하는 기술은 아직 없습니다. 하지만 열에너지를 저장해 베터리로 사용하는 기술도 등장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모든 에너지는 결국 열에너지가 되기 때문에 이러한 열에너지를 저장하고 다루는 기술을 연구하고 개발하려는 노력이 있습니다. 그래서 먼 훗날에는 열에너지를 저장하는 기술이 등장해 더욱 효율적인 삶의 환경이 갖춰질것으로 예상됩니다.
학문 /
화학
22.11.08
0
0
촛불을 켜 놓으면 냄새가 사라지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냄새도 분자이고 공기중을 떠돌아다니고 있습니다. 이러한 냄새 분자가 양초에 닿게되면 냄새가 타버려 수증기와 이산화탄소로 변합니다. 그래서 냄새가 사라지는 것이죠.
학문 /
화학
22.11.08
0
0
심해에 사는 물고기들은 수압속에서 어떻게 살아갈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심해에 사는 생물은 일반적으로 바다에 사는 생물과 달리 환경 자체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심해는 높은 압력과 빛이 들지 않는 어두움 속에 있습니다. 따라서 압력을 버텨주기위해 심해 생물의 내부에는 바닷물로 차있어 외부압력과 내부압력이 맞춰져 있으며, 크기가 크거나 강한 몸을 가진 생물체가 많습니다. 게다가 심해생물의 세포는 여전히 고압 환경에 노출되어있습니다. 그럼에도 이러한 고압 환경을 버틸 수 있는 이유는 세포간의 물질전달이 원활히 일어나는 구조로 돼있기 때문입니다. 세포 내에는 불포화지방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강한 수압을 견딜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눈보다 다른 감각 기관이 발달한 경우가 있으며 스스로 발광을 하여 먹이를 잡거나 포식자의 위험으로부터 벗어나게 하죠. 심해에 적응하여 진화하다보니 눈이 없는 생물도 존재하며 발광을 하는 생물도 존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8
0
0
병따는 오프너는 어떤 과학적원리가 적용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오프너는 지렛대의 원리입니다. 이를 잘 활용하며 다양한 물건으로도 병을 딸 수 있습니다.지렛대의 원리는 작은 힘으로 큰힘을 가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 때 지지대의 위치가 중요한데, 병을 딸만한 막대를 끼우고 병과 가까운 위치에 지지대를 놓는것이 가장 큰 힘을 줄 수 있습니다. 오프너의 경우 병에 끼워 힘을주는 역할과 지지대 역할을 동시에 합니다. 그래서 쉽게 딸 수 있는 것이죠.
학문 /
물리
22.11.08
0
0
태양계에서 명왕성은 왜 빠지게됐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명왕성이 행성의 지위를 박탈당한 계기는 에리스라는 소행성을 발견하고나서부터입니다. 발견 당시 에리스는 태양 주위를 멀리서 돌고있었고 명왕성과 크기가 유사하였습니다. 그래서 국제천문연맹은 에리스를 10번째 행성으로 넣어야 하는지 의논을 시작하였죠.그러면서 명왕성을 다시 잘 관측해보니 태양주위를 돌지만 공전궤도가 찌그러져 해왕성의 공전궤도를 침범할 때도 있었으며, 명왕성이 행성으로써의 크기와 질량을 갖지 못하여 행성보다 위성에 가깝다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행성이 되기위해선 위성을 둘만한 중력이 필요하다고 정의한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명왕성이 행성 자격을 박탈당하게되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8
0
0
태양계 행성이 모두 일렬이 되면 서로의 중력에 영향을 받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맞습니다. 일렬로 놓이게 되면 강한 중력을 받게 됩니다. 하지만 거리가 멀기도하고 태양계의 질량중 99%는 태양의 질량이기 때문에 거의 미미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하지만 엄밀하게는 질문자님께서 생각하신대로 강한 중력을 받는게 맞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8
0
0
비오기 전에 몸이 쑤시는건 기압의 변화 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기압의 변화때문입니다. 비가 오기전에는 저기압이 형성되고 이러한 기압의 변화가 뇌의 시상하부를 자극해 교감신경을 활성화 시킵니다. 교감신경의 활성화로 신경말단에 노르아드레날린이 분비되는데 이러한 호르몬이 관절 주위 신경을 자극하며 통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몸이 쑤시는 것이죠.
학문 /
화학
22.11.08
0
0
지진은 왜 지진이 발생한 후 여진이 존재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판과 판이 만나는 경계부에서 발생하는 지진에 의해 주로 발생합니다. 판과 판은 조금씩 이동하고 있는데, 판이 벌어지거나 판이 충돌하면 마찰과 충격에 의해 지진과 화산폭발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즉, 지진이 발생하면 판과 판이 움직여 마찰을 하고 있다는 이야기고, 판의 움직임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에 여진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8
0
0
개기월식의 제대로 된 뜻이 뭐예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월식은 태양 지구 달 순으로 배열된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보름달이 되는 위상에서 관측이 가능합니다.네, 태양 지구 달은 달의 위상(초승달, 그믐달, 상현달(반달), 하현달(반달), 보름달, 삭)에 따라 일직선이 안될수도 있습니다.아래 그림에서 태양 지구 보름달 순일 때에는 지구의 그림자에 의해 가려질 수 있지만, 초승달이나 반달의 경우에는 지구의 그림자 내에 없기 때문에 월식이 일어나지 않죠.즉, 개기 월식이나 월식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보름달의 위상이 되어야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8
0
0
우주에서 사용되는 스윙바이의 원리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스윙바이란 행성이나 별 등 천체의 중력을 이용하여 우주선의 궤도나 속도를 변화시키는 방법입니다. 다른 표현으로 그래비티-어시스트라고도 말합니다. 우리 지구에서 벗어나 항해하는 우주선을 보면 지구 중력을 극복하고 나아가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물론 지구 중력만 생각하면 우주선의 속력이 줄어드는것이 맞습니다. 그렇지만 예를들어 지구가 아닌 태양이나 화성을 기준으로 본다면, 우주선과 태양이 가까워지거나 우주선과 화성이 가까워진다고생각해보죠. 그러면 우주선은 태양이나 화성 중력에 이끌려 이동하고 있으므로 속도가 더욱 빨라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중력에 의한 이끌림으로 궤도가 변할수도 있죠. 이러한 항해 방법이 스윙바이입니다.
학문 /
물리
22.11.08
0
0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