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인간은 이론상 다른 기체없이 산소만 있어도 살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산소만 있으면 호흡하는데 지장이 없습니다. 호흡은 에너지를 얻기 위한 과정이고, 이 때 필요한 것은 산소입니다. (물론 영양분이 있는 상태에서요) 다른 기체는 그대로 배출 됩니다.그래서 산소통을 매고 바다속을 탐험할 수 있는 것이죠.
학문 /
화학
22.10.23
0
0
소화기가 불을 끄게하는 원리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불을 붙이기 위해서는 열(불)과 산소와 연료(종이, 나무 등)가 있어야합니다. 불을 끄기위해 물이나 소화기를 분사하는데, 물은 산소도 차단할 뿐더라 열을 급격히 내릴 수 있기 때문에 불을 끄는데 도움을 줍니다. 소화기는 산소의 접촉을 차단하기 때문에 불을 끄는데 도움을 줍니다. 또한 소화기에는 제1인산 암모늄이라는 성분이 분말 가루 형태로 함유되어있는데 화재가 난곳에 뿌리면 냉각효과로 온도를 떨어트립니다.
학문 /
물리
22.10.23
0
0
우박의 크기가 결정되는 과학적인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우박의 크기는 강한 저기압(강한 상승기류)와 수증기량 및 저온에 의해 결정됩니다.구름은 수증기, 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높은 상공에서 수증기가 물이 되고 이 물방울들이 모여 빗방울 크기가 되면 떨어집니다. 그런데 온도가 낮은 상공에서 이 빗방울이 급격히 얼게될 때가 있는데, 이를 우박이라고 합니다.그런데, 우박이 어느정도 크기를 가지고 떨어져야하는데, 강한 상승기류를 만나게 되면 떨어지다 다시 상승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서 주변 수증기를 머금어 크기가 더 커지게 됩니다. 이를 반복하다 더이상은 상승기류가 우박의 무게를 감당하지 못할 때 떨어지게 되는 것이죠. 즉, 상승기류의 세기와 수증기량이 우박의 크기를 결정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23
0
0
사람은 잘때 왜 꿈을 꾸게 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꿈은 자면서도 뇌가 활동하기 때문에 꾸게 되는것입니다. 잠을 잘 때 우리 몸에서 특정 호르몬이 분비되는데, 이 호르몬이 뇌에도 영향을 줍니다. 영향을 받은 뇌는 뇌의 부분 부분에 신호를 보내게 되죠. 그러면서 뇌는 활발하게 활동을 하게 되고 이러한 활동이 꿈으로 나타나는 것입니다. 시각, 청각, 후각 등 여러 감각도 결국 뇌가 판단하는 감각이기 때문에 뇌의 활동으로 인해 실제로 있는거처럼 착각을 가져온 것이죠.
학문 /
생물·생명
22.10.23
0
0
기름을 가열하면 몇도까지 상승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기름의 종류에 따라 다르겠지만 보통 200-270도 부터 기름이 끓으며 증발이 시작됩니다.
학문 /
화학
22.10.23
0
0
러시아가 가진 핵 차르붐바의 폭발력이 과연 어느 정도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핵폭탄 150개 정도만 전 지구의 곳곳에 터뜨리면 모든 생명체가 살 수 없는 환경이 됩니다. 이러한 일은 일어나서는 안되는 일이죠. 방사선의 노출로 몸 내의 분자의 구조나 성질의 변형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로인해 암, 골수병 등에 걸릴 위험이나 후손이 기형이 될 확률이 있는것이죠. 그래서 방사선에 노출을 최대한 피하시는게 건강에 좋습니다.핵 폭탄의 폭발로 인해 충격파의 영향력이 있을 수 있으며, 섬광으로 눈에 타격을 줄 수도 있으며, 방사선과 방사능 물질이 방출되어 환경 및 사람에게 피해를 줍니다. 그리고 핵폭발 후 버섯구름의 형성으로 방사물질이 퍼져나가 방사 물질을 포함된 비가 내려 우리에게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또한, 햇빛을 차단해 기온을 떨어뜨릴 수도 있죠. 그래서 핵폭탄은 위험하며 좋지 않은 무기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3
0
0
맨눈으로 관찰할 수 있는 별은 무엇일까?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금성, 수성, 화성, 목성, 토성은 눈으로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시력이 좋으면 더 많은 행성을 볼 수 있죠. 요새는 목성이 밝게 떠있습니다. 노랗거나 주황색으로 거의 반짝이지 않으며 크기가 큰 점을 찾으시면 그게 목성입니다. 다른 별들은 태양과 같은 별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3
0
0
우주의 형태는 구형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크게 세가지 형태를 보고 있습니다. 평평한 우주, 쌍곡선(말안장) 우주, 구형 우주 세가지로 나뉘며 관측가능한 물질의 비율에 따라 우주의 형태가 정해집니다. 관측 가능한 물질은 우리를 이루고 있는 물질이며, 우리가 볼 수 없는 암흑에너지(우주 팽창 에너지), 암흑물질(질량을 가진 물질)간의 비율을 따져 형태를 결정합니다.우주가 어떤 모양을 가졌는지에 대한 문제는 아직 풀리지않았으며 지속적인 연구에 있습니다.그렇지만 현재로썬 평평한 우주가 유력합니다. 평평하다는것이 3차원적으로 납짝하고 공간이 없는 것이아니라 3차원상에서 임의의 방향을 기준으로 계속나아간다면 제자리로 돌아오지 않으며, 어느 위치나 곡률이 0을 의미합니다. 또한 물질의 밀도는 우주가 지속적인 팽창을 할 정도입니다.지구의 경우 앞으로 나아가면 제자리로 돌아오는데, 이러한 특징의 우주는 구형우주(곡률이 양수)이며 물질의 밀도가 매우 크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 우주는 수축하게됩니다. 물질의 밀도가 암흑에너지 밀도보다 크면 팽창보다 중력에 의한 수축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쌍곡 우주는 곡률이 음수이며 물질의 밀도가 매우 작아(암흑에너지의 밀도가 커) 가속 팽창하는 우주입니다.즉, 현재 관측된 물질의 밀도는 평평한 우주를 지지하며, 현재까지 정립된 이론이나 관측 대이터를 따라 지속적인 팽창을 할 것으로 예측됩니다.이러한 사실은 훗날에 더 유력한 연구결과에 따라 뒤바뀔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3
0
0
첨성대에서는 어떻게 별을 관찰하였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첨성대의 입구로 들어가 사다리를 타고 정상에 오른 뒤 별을 관측할 수 있는 관측기구를 설치하여 별을 관측하였습니다. 천문대 자체가 관측기구는 아니며 관측소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3
0
0
우주선과 우주 공간에 산소는 아예 없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선 내부 우주인들의 공간은 외부 우주와 밀폐되어 공기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지구에서 이미 공기가 담겨있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더이상 공급이 안되기 때문에 우주인들이 호흡을 하면 산소가 떨어지고, 이산화탄소가 생성되어 점점 산소 부족 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우주선에 산소를 공급해주어 우주인들이 탐사를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죠. 네, 우주공간에는 산소가 없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뭐 떠돌아 다니는 입자나 분자들이 있을 수 있는데, 아주 작은 양이기 때문에 없다고 보시는게 맞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2
0
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