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최근 자동차에 대한 최대 화제가 전기자동차인데..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음, 현재도 전기차가 많이 등장하고 있어 거의 상용화 직전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기술의 개발과 발전 속도는 굉장히 빠릅니다. 그래서 개인적으로 10년이내 즉, 지금의 중학생이 성인이 될 무렵정도면 전기자동차가 상용화되고 안정화되어있을 것이라 판단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21
0
0
미국가재는 어떻게 생태계를 혼란시키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미국가재는 다양한 수질 환경에서 살 수 있으며, 호수, 습지, 늪지, 흐르는 하천 등 다양한 곳에서 서식할 수 있다고 합니다.미국가재가 생태계 교란종으로 분류된 이유는 우리나라 하천에 있는 생물을 먹어 치우기 때문입니다. 최상위 포식자인 셈이죠. 게다가 개체수도 겉잡을 수 없이늘기 때문에 토종 생물이 더욱 많이 먹혀 생태계 피라미드 구조의 파괴가 일어나게 되죠. 또, 굴을 파는 습성 때문에 생물뿐만이 아닌 농사에도 피해를 준다고 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21
0
0
엊그제 휴가를 내고 동료들과 낚시를 갔는데..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앞선 질문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설명드렸습니다.멀미는 불규칙한 움직임이나 시각이 감지하는 움직임과 실제 몸의 움직임이 다를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으로 귓속에 있는 내이의 반고리관에서 림프액이 뇌의 구토 중추로 전달됩니다. 그러면서 멀미를 하게 되는것이죠.그런데 사람마다 시각 처리나 반고리관의 민감도, 림프액의 전달 정도 등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멀미를 느끼는 정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0.21
0
0
속이 텅빈 쇠공을 물에 띄우면 뜰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텅빈 쇠공의 밀도가 물보다 작아질 경우 뜰 수 있습니다.이를 이용한 원리가 배입니다. 배는 철, 쇠로 이루어져 있지만 물에 뜨죠. 이유는 내부의 공기가차있는 공간이 있어 물보다 밀도를 낮춰 뜨는 것입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0.21
0
0
자동차 창문에 습기 차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습기가 창문에 생기는 이유는 외부와 내부의 온도차가 심할 때 생길 수 있습니다.우리가 차를타고 호흡을 하거나 하면 수증기가 공기중에 많아집니다. 또한 습한날에는 더욱 많죠. 그런데, 차 밖은 차갑고 차 내부는 따뜻할 경우 창문은 차 밖의 온도에 의해 차가워집니다. 그리고 공기중에 떠돌던 수증기가 창문에 닿게되면 열을 빼앗겨 물이되면서 습기가 되는 것이죠.
학문 /
화학
22.10.21
0
0
야외 물의 수질 등급을 나눌때 쓰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의 등급을 나누는 기준은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 산성도(pH), 용존산소량(DO),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이며, 세부적으로 카드뮴, 비소, 수은 등의 함량도 등급의 기준이 됩니다.바다나 민물등에 적용되는 기준입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0.21
0
0
오늘 서울로 출장가는 열차를 타고 가고 있는데...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멀미는 불규칙한 움직임이나 시각이 감지하는 움직임과 실제 몸의 움직임이 다를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으로 귓속에 있는 내이의 반고리관에서 림프액이 뇌의 구토 중추로 전달됩니다. 그러면서 멀미를 하게 되는것이죠.책을 가까이 보거나, 스마트폰을 보거나, 가까이 있는 풍경을 보게될 경우 몸의 움직임과 시각적인 부분의 이질감이 생겨 멀미가 날 수 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0.21
0
0
가정용 금붕어를 키운지 벌써 8년이 넘었는데..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금붕어가 알을 낳게되면 빠르게 분리해주어야합니다. 금붕어는 식욕이 왕성한 물고기이며 알을 낳고 그것을 먹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알은 투명하고 작으며 자세히 보셔야 보실 수 있습니다. 그래서, 혹시나 알을 낳았는데 관리가 미흡해 금붕어들이 다 먹어 치웠을 수도 있으며, 낮은 확률로 전부 수컷이나 전부 암컷일 확률도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21
0
0
초식동물들은 어떻게 단백질을 보강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초식 동물은 풀을 섭취함으로써 영양소를 채울 수 있습니다. 풀에도 단백질이나 아미노산이 함유되어있죠. 그래서 초식동물이 풀을 섭취하게 되면 풀에있는 아미노산을 합성하거나 풀의 단백질을 분해해 다시 합성하여 단백질을 얻어 영양소로 사용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21
0
0
물고기가 수면 위로 튀는 경우는 왜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고기가 수면위로 튀어 오르는 이유는 공기중에 곤충이나 날벌레를 잡아 먹기 위해 점프를 하기도 하고, 산소를 먹기 위해 점프를 하기도 하며, 포식자나 기생충으로부터 피하기 위해 점프를 하기도 합니다. 돌고래 같은 경우에는 놀기 위해 재미로 점프를 하기도 하는데,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물고기도 이러한 경우가 있을듯 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21
0
0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