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전자렌지속의 용기가 뜨거워지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전자레인지에서 나오는 마이크로파는 특정파장과 진동수를 가지고 있는데 이 빛이 물 분자를 진동시키는데 적합한 진동수와 파장이기 때문에 물만 데워집니다. 사기그릇, 그릇, 유리잔등을 떨리게 하는 진동수와 파장이 아닙니다. 그래서 그릇은 뜨거워지지 않게되는 것이죠. 그리고 마이크로파가 물 분자를 진동시키는 원리는 물분자는 전기적 극성을 가지고 있는데, 극성을 가진 물 분자는 마이크로파(전자기파=빛)와 상호작용하며 빠른 속도로 왕복운동을 하며 진동을 하는 원리입니다.즉, 음식물 속에 포함된 물이 데워지며 열을 전달해 음식을 데우는 방식입니다. 오래 돌리면 열이 그릇에도 전달돼 뜨거워 질 수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18
0
0
물이 시간이 지나면서 미끌미끌해지는건 무슨 성분때문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때가 생긴 것입니다. 물때는 수돗물 속에 들어있는 칼슘, 석회질 등이 비누와 만나 반응해 미끌거리는 물때를 만들어냅니다. 그래서 씻고나면 세면대나 욕조를 물로 한 번 더 씻어 잘 환시키켜 건조해주는 것이 곰팡이 예방, 물때 예방에 있어 중요합니다.
학문 /
화학
22.10.18
0
0
겨울철 LPG 차량의 시동 걸기가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겨울철 기온이 급강하되면서 영하를 돌파하면 LPG의 기화가 잘 안일어날 수 있습니다. 또한 연료가 이동하는 통로에 잔여된 LPG연료가 밤사이 얼려져 있을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시동이 잘 안걸리는 것이죠.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시동을 끌때 반드시 LPG 스위치를 눌러 연료를 소진시킨 뒤 시동을 끄셔야 LPG가 어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10.18
0
0
우주는 얼마나 넓은지 알수 있은까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 우주의 전체적인 크기는 알 수 없으나 관측가능한 우주의 크기는 직경이 930억광년입니다.UY scuti 별이 가장 큰 별로 관측되었습니다. 이보다 더 큰별이 있을 수는 있지만 관측을 기반으로 UY scuti가 가장 큽니다. 별의 반경은 약 12억km이며, 태양의 약 1740배, 지구의 약 19만배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7
0
0
충전기 입력전압 출력전압 보는법?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입력전압의 경우 220v, 50/60hz라 기입되어있으면 콘센트의 전압이 220V, 50Hz나 220V, 60Hz에 호환이 된다는 의미입니다. 흔히 우리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압이 220V, 60Hz입니다. 여기서 가정에사용하는 전압이 110V일 경우에는 예시의 충전기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출력전압은 입력전압을 받아 변압과정을 거쳐 충전되는 기기에 흘러들어가는 전압5V를 의미합니다. 이때 흐르는 전류는 시간당 1000mA가 들어갑니다.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17
0
0
기초과학이라는 것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기초과학이라고 하면 공학이나 응용 과학의 밑바탕이 되는 순수과학으로 자연과학의 기초 원리와 이론에 대한 학문을 의미합니다. 기초과학에는 수학, 물리, 생물, 지구, 화학 등이 있습니다.우리나라의 학자, 연구원 분들도 열정을 가지고 꾸준히 연구하고 있기 때문에 머지 않아 좋은 성과를 낼 것 같습니다.단점은 우리나라의 경우 다른 나라에 비해 기초과학에 지원하는 정도가 적습니다. 그래서 연구를 하시는 분들이 정말 원하는 연구를 하기에는 상황이 열악한 부분도 있죠. 우리나라에서는 과거부터 기초과학의 기반이 약했기 때문이라는 생각도 듭니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에서도 정말 하고픈 연구를 하시는 분들도 계시기 때문에 재밌고 좋은 연구가 이루어질 것이라 생각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7
0
0
테트라포드는 방파제에 설치되어 이로운 점만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테트라포드의 생김새가 바다에서 강하게 밀려오는 파도를 부숴 강한 파도에 의한 피해를 줄이고자 설치해 놓은것입니다. 가장 효율적으로 만든것이며, 바다의 파도가 부숴져 도로나 건물로 파도가 오는 것을 막아주기도 합니다. 설령 넘어 오더라도 그 세기가 약해지기 때문에 피해가 덜하게 되죠. 마치 쿠션이나 에어백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물론 이로인한 피해도 많이 있습니다. 사람들이 여기서 낚시를 하거나 걸어다니다 떨어져 다치거나 사망하는 안타까운 경우도 있죠. 그래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테트라포트 위를 걸어다니면 안되고 낚시를 해서도 안되죠. 또 태풍이나 강한 파도가 치는날에 이 주변에 있으면 위험합니다. 테트라포트에 깨진 파도가 강하게 튀어 올 수 있기 때문이죠. 물론 테트라포트가 없었을 경우에는 아예 휩쓸려가겠지만요.
학문 /
토목공학
22.10.17
0
0
건전지에 혀대면 진짜 전류가 느껴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만약 +극과 -극에 동시에 혀를 대신다면 짜릿한 전류가 흐름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한쪽 극에만 혀를 대면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 그냥 금속 부분의 맛을 느끼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혹시나 전해액(건전지 내부 물질)이 흘러나와 있을 경우 몸에 좋지 않으니 이러한 방법의 테스트는 추천 하진 않습니다. 전자제품에 꼽고 직접 사용해보시는 것이 가장 정확하게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17
0
0
바다처럼 강에서도 파도가 생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파도는 조수간만의 차, 바람에 의해 발생합니다.조수간만의 차는 태양, 달의 만유인력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지구는 태양주위를 공전하고 달은 지구 주위를 공전합니다. 그리고 지구는 자전을 하고 있죠. 그래서 지구가 자전하면서 우리나라가 달과 가까워지거나 태양과 가까운 위치에 놓일때가 있습니다. 이때 만유인력이 작용해 해수면이 상승하고, 태양이나 달과 가장 멀어지는 시기에 해수면이 하강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조수간만의 차가 나타나죠. 바다와 호수에 작용하므로 물결이 이는걸 볼 수 있습니다.하지만 넓고 깊은 바다에 비해 호수나 강은좁고 얕으므로 파도가 크게 일렁이지 않습니다. 만약 큰 태풍이나 바람이 분다면 강이나 호수에도 파도가 칠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7
0
0
눈물의 짠맛은 상황별로 틀린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눈물의 짠맛은 감정의 상황보다는 어떤 음식을 먹었고 수분 섭취는 얼마나 했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눈물도 결국 눈물샘에 있는 체내의 수분으로 짠 음식을 많이 먹고 수분 섭취를 거의 안했다면 눈물이 짤 수 있습니다. 또한, 싱거운 음식을 먹고 물을 많이 섭취하였다면 별로 안짤 수 있죠.
학문 /
화학
22.10.17
0
0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