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7광구(영화X)에는 진짜 석유가 많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마치 보물섬이나 숨겨진 비밀의 섬을 찾아 나서는 것과 같습니다. 영화는 현실이 아니기 때문에 어떠한 상상을 가미해서 만들 수 있죠. 또한, 실제로 어딘가에 엄청난 양의 석유가 매장되어있을지도 모르구요.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 주변에 대해 탐사하고 있지만 아직은 그러한 자원을 발견하진 못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7
0
0
vr 기술의 상용화 및 향후 발전 방향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더 좋은 기기가 발명될 수도 있습니다. 그래픽을 더욱 현실화하여 현재의 vr보다 더 현실감 있는 vr기기가 나올 수 있다고 봅니다.VR은 가상현실에 사용될 수 있으며, 영화, 게임, 체험, 교육 등에 사용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물론 현재도 이러한 것에 사용되지만 조금 더 품질 좋은 VR이 될 것으로 봅니다.
학문 /
화학
22.10.17
0
0
물고기가 온난화를 막는다던데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고기가 온난화를 막기는 어렵습니다. 물고기는 호흡을 하며 이산화탄소를 내뱉기 때문에 오히려 온난화를 촉진할 순 있죠. 그리고 물고기가 온난화를 막기 위해서는 대기의 온실기체를 흡수해야하기 때문에 사실상 불가능하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7
0
0
아이스팩안에 내용물은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이스팩의 주요 성분은 고흡수성 폴리머라는 화학물질입니다. 이는 기저귀나 생리대에도 사용하는 물질로 수분 흡수성이 매우 좋습니다. 그래서 수분을 흡수하면 젤리처럼 변하죠. 이를 아이스팩에 쓰는 이유는 물만 얼린 아이스팩에 비해 냉기의 지속시간이 2~3배 정도 더 높아진다고 하는 장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고흡수성 폴리머는 미세 플라스틱의 일종으로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는 큰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폐기시 꼭 분리수거가 필요하며 웬만하면 재활용하여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학문 /
화학
22.10.17
0
0
화산이 폭발하는 이유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 지구의 지각 밑에 멘틀은 판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이 판은 조금씩 움직이고 있죠.판과 판이 만나는 경계부에서 지진이 주로 발생합니다. 판과 판은 조금씩 이동하고 있는데, 판이 벌어지거나 판이 충돌하면 마찰과 충격에 의해 지진과 화산폭발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화산 폭발의 경우 지구 내부에 끓고 있는 마그마가 판의 경계부의 충돌로 약해진 지층을 뚫고 올라오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6
0
0
심해 대형갈치등 심해어가 해안가로 올라오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진이나 이상적인 자연현상이 발생하면 동물들도 이를 판단하고 평소와 다른 움직임을 보이는 것은 사실입니다. 또한 사람보다 감각이 발달된 동물은 인간이 감지하는 영역보다 넓은 영역의 감각을 가진 동물이 있을 수 있고, 지진을 먼저 감지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심해어나 대형 갈치가 수면위로 올라온것이 지진 때문인지 다른 이유 때문인지는 모르기 때문에 지진으로 단정지을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연구와 조사가 필요합니다.또한, 동물의 이상행동이 지진의 전조증상으로 볼 수 있냐에 대한 연구는 진행중입니다. 지진이 아닌 다른 이유로 움직임이 있을 수도 있기 때문이죠. 그리고 현재 지진 전조 증상은 지진계, 지진파를 통해 과학적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6
0
0
지진의 전조증상이란 통계적으로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 지진 전조 증상은 지하수의 수위, 수온, 냄새, 라돈 함유량 등의 변화와 가스의 분출 유무, 지진계, 지진파를 통해 모니터링 함으로써 통계적인 수치를 기준으로 변화를 파악하며, 과학적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6
0
0
등속도 운동 가속도 운동 질문 (고등 물리)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균일한 자기장 내이며, 도선 전체가 균일한 자기장 내에서 등속운동을 하든, 가속운동을 하든 자기선속의 양은 일정하기 때문에 유도 전류가 발생되지 않습니다.하지만, 만약 빛의 속도에 가깝게 빠르게 움직이는 상황에서 가속운동을 한다면, 길이 수축 효과의 변화가 생겨 유도 전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물리
22.10.16
0
0
빛의 진동수에 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빛은 속력이 진공이나 공기중에서 30만km/s입니다. 그리고 빛의 속력은 파장x진동수로 정해지죠. 또한 햇빛에는 다양한 파장의 빛이 섞여 있습니다. 각각의 빛은 파장과 진동수는 다른 값을 가지고 있죠.프리즘을 나온 빨간빛이나 파란빛, 보랏빛 파장과 진동수는 각각 다릅니다. 하지만 속력은 30만km/s로 똑같죠. 또한, 진동수가 다름에 따라 색이다르다라는 말은 파장이 다름에 따라 색이 다르다 라는 말과 같은 의미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16
0
0
중력에 대해 궁금합니다. 지구의 핵 부분에서 중력이 발생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 중심에서 중력이 작용하는 것처럼 느낌이다. 마치 지구의 질량이 지구 중심 한점에 뭉쳐 있는 것처럼 느끼죠. 이는 이론적으로도 증명이 가능하며 측정을 통해서도 이미 증명된 사실입니다. 그리고 지구의 핵 부분에서도 중력이 작용하며, 중력이 있습니다. 왜냐하면 중력은 만유인력으로 질량을 가진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힘이기 때문입니다. 핵도 질량을 가지고 있으며 중력을 행사하고 있죠. 하지만 지구 표면보다는 중력이 약하게 작용합니다. 이유는 핵은 지구의 질량보다 작은 부분이기 때문이고 질량이 작으면 중력을 약하게 행사하죠.지구도 움직이고 있습니다.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있죠. 태양은 태양계질량의 99.9퍼 정도를 차지하고 있어 강한 중력을 행사하고있죠. 그래서 이 중력을 구심력으로 지구는 공전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태양계도 은하의 중심을 기준으로 움직이고 있으며 우리 은하도 움직이고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6
0
0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