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밤에 길고양이들을 보면 눈이 빛나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동물의 눈에는 타페텀이라는 반사판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동물의 눈의 타페텀은 동공으로 들어온 빛이 망막(빛을 수용하는 곳)을 통해 들어오면 다시 타페텀에서 반사가 되어 망막으로 되돌려 보내게 됩니다. 그래서 빛이 나는 것이죠. 그리고 이러한 타페텀이 존재하여 빛의 세기를 증폭시켜주기 때문에 빛이 거의 없는 밤에도 잘 활동하는 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0.16
0
0
요즘 인공지능이라고 많이 사용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음, 창조의 길이란 것은 가설을 세우고 현상을 관측해 법칙을 만드는 것이나 그림이나 음악 등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면 어느 정도 가능합니다. 인공지능(AI)을 만들 때 알고리즘을 잘 짜게 된다면, 인공지능이 과학적인 탐구를 하여 법칙이나 결과를 내놓는 것, 음악을 작곡하고 연주하는 것, 그림을 그리는 것이 가능할지도 모릅니다. 또한, 음악이나 그림의 경우 현재도 어느 정도 구현하고 있으며 가능합니다. 컴퓨터는 사람에 의해 코딩 된 부분만 작동하게 되어있습니다. 우리가 무언갈 작동하게 끔 해놓지 않으면 스스로 할 수 있는 것이 없습니다. 인공지능(딥러닝) 또한 마찬가지로 스스로 학습하여 무언갈 판단하거나 결과를 내놓는 일을 한다고는 하지만 전부 알고리즘을 짜놓았기 때문에 가능한 일입니다. 만약, 사람이 코드를 잘 짜놓아 인공지능이 자연 현상을 관측하여 데이터화하고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새로운 법칙이나 사실을 내놓는다면 과학자를 대신할 수도 있다고 판단합니다. 이러한 인공지능을 위해서는 먼저 사람의 코딩 능력이 갖춰져야 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10.16
0
0
차량연료중 가솔린(휘발유) "옥탄가"란말을 듣게되는데요 옥탄가는 정확히 무슨뜻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연소능력과 폭발능력 같은 의미입니다.옥탄가란 휘발유의 자연 점화를 억제하는 첨가제입니다. 휘발유는 인화점이 -43도로 상온에서 가연성 증기를 만들어냅니다. 즉, 불씨가 있으면 연쇄적으로 불이 붙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옥탄가를 넣게 되면 점화(불이 붙는것을)를 억제시켜줍니다. 즉, 일반 휘발유는 고급 휘발유에 비해 점화가 상대적으로 잘 일어납니다.참고로 일반 휘발유는 옥탄가가 91이상~94미만이며, 고급 휘발유는 옥탄가가 94이상 입니다. 원유에서 정제된 휘발유에 옥탄가를 첨가함으로써 일반 휘발유와 고급 휘발유로 분류되는 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16
0
0
곤충도 뇌가 있나요? 어느정도 계획하고 생각을 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곤충은 뇌가 없습니다. 하지만 뇌의 역할을 하는 신경절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신체 부위를 움직이거나 활동을 하는 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16
0
0
비가 한꺼번에 왔다가 금방 그치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가을에도 소나기가 잠깐 잠깐 내릴 수 있습니다.비는 먹구름에서 내립니다. 먹구름의 경우 넓게 퍼져있는 모양일 때에는 넓은 지역에서 비가 오지만, 소나기나 두꺼운 형태의 먹구름의 경우 비가 내리는 지역과 내리지 않는 지역의 경계가 극명합니다. 어쩔 때 보면 비현실적이라고 믿을만한 현상이기도 하죠. 이는 이상 기후에 의한 것이 아닌 과거부터 있었던 구름의 모양에 의한 현상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16
0
0
모기가 가을즈음에 나오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모기가 가을에 등장하는 이유는 집안이 바깥보다 따뜻하기 때문입니다.모기는 따뜻한 곳에서는 지속적으로 살 수 있습니다. 모기는 추운곳에 살 수 없지만 집안과 창고, 엘레베이터와 같이 따뜻한 장소가 있다면 살 수 있습니다.참고로, 모기는 겨울의 추운 환경에서 동면에 들어가 활동에너지를 줄여 오래 살 수 있습니다. 그리고 따뜻해지면 알을 낳아 번성을 하죠. 그래서 모기가 멸종하지 않고 매년 등장하는 이유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6
0
0
소금물이 증발할 때 수증기에 소금이 포함되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진짜 100g이 남습니다. 소금의 경우 증발을 하지 않는 이유는 이온화 되기 때문입니다. 소금은 NaCl로 물에 녹으면서 Na+, Cl-로 이온화 됩니다. 그런데, 소금이 이온화되면서 물은 극성 분자로 Na+와 Cl-를 둘러싸게 됩니다. 그래서 표면에는 물분자의 증발만 일어나고 Na+, Cl-는 물에 둘러쌓여 증발하지 않게되죠. 또한 물이 다 증발해버리면서 Na+, Cl-은 다시 NaCl 소금이 되버려 침전하게 되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16
0
0
가을 자외선이 봄철 자외선보다 강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가을이 봄보다 자외선의 양이 적습니다. 이유는 봄의 경우는 여름이 다가오는 계절이기 때문에 낮의 길이가 서서히 길어지는 시기입니다. 하지만, 가을의 경우는 겨울이 오기 전 계절로 낮의 길이가 짧아지고 있죠. 그래서 가을에 자외선양이 봄보다 적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6
0
0
지진은 어떻게 일어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 지진 전조 증상은 지하수의 수위, 수온, 냄새, 라돈 함유량 등의 변화와 가스의 분출 유무, 지진계, 지진파를 통해 모니터링 함으로써 과학적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6
0
0
인공위성이 최초목적지에서 계속 머무를수 있는 원리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인공위성은 지구의 중력을 구심력으로하여 원운동(타원운동)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어릴 때 실끝에 물건을 매달아 돌려본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물건은 팽팽해진 실끝에서 멀어지지도 가까워지지도 않은 채 원운동을 하죠. 이 때 실의 팽팽한 장력이 구심력을 만들기 때문인데요. 지구와 인공위성 사이에 중력이 이 역할을 해주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원리로 안정적인 궤도에 안착하면 더 이상 연료가 필요하지 않게됩니다. 마치 연료가 없는 지구의 위성인 달과 같은 것이죠. 그래서 '인공' 위성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6
0
0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