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지문은 오로지 사람에게만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문은 마찰력을 강하게 만들어주며 물체를 집거나 들때 미끄러지지 않게 합니다.그래서 사람뿐만이 아닌 동물들에게도 지문이 있습니다. 이러한 지문은 아주 긴 시간동안 과거부터 현재까지 물체를 집거나 걸을 때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데 효율적인 구조가 되게끔 진화해왔기 때문에 존재하는 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15
0
0
산에서 밥을 지을 때 설익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산이나 고지대에서는 공기의 기압(압력)이 떨어집니다. 압력이 감소하면 액체의 끓는점이 낮아지게 됩니다. 그래서 밥이 설익게 되는 것이죠.물이나 액체가 끓어 기체가 되는 것은 분자간 인력(전기력)을 끊고 자유로워지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 액체를 누르는 공기 압력이 강해지면 자유로워지는데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고 압력이 약해지면 더 쉽게 자유로워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기압이 낮아지면 기체가 되는데 비교적 쉬워져 끓는점이 낮아지는 것이죠.그리고 산에서는 밥을 지을 때 돌을 얹혀놔 압력을 강하게 만들어줘 밥을 잘 익게 만들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0.15
0
0
사실 환경 파괴의 주범이 인간이라는 말은 잘못된 말이 아닐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자연을 약육강식으로 본다면 인간이 문제가 아닙니다. 하지만 사람이 동물이나 자연환경에 심각한 피해를 끼치지 말자는 도덕적인 생각이 주가 된다면 잘못이되는것이죠. 그리고 그 피해가 다시 사람에게 오고 있어 이를 깨닫고 지금이라도 고치자는 심정으로 환경을 생각하는 것이죠. 공장운영, 나무 베기, 산깍기, 자동차 사용, 플라스틱 사용등으로 온실 기체가 생성되며 지구의 온난화의 원인을 제공하였습니다. 또한 플라스틱 사용은 바다나 산에 사는 동물에게 피해를 주죠. 미세플라스틱이 동물의 체내에 들어가 기관지나 내장에 피해를 주며 물리적으로도 피해를 준 사례가 있습니다. 아래 사진을 첨부해드리겠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15
0
0
발가락(1,2) 길이는 사람마다 다른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단순히 유전적 차이이고 개인마다 다른 유전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발가락의 길이가 다를 수 있습니다. 손가락도 마찬가지구요. 또한 머리카락의 결의 방향, 귓볼이 있고 없음, 쌍커풀이 있고 없음과 같은 이유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15
0
0
파리가 냄새나는 사물 주변에 많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파리는 냄새를 감지할 수 있으며 냄새를 따라 파리가 꼬일수 있습니다. 그래서 냄새나는 사물 냄새나는 음식물에 파리가 달라붙는 것이죠. 또한, 모든 냄새를 좋아하는 것이아닌 음식물, 변, 사체 등의 냄새를 좋아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0.15
0
0
핵융합? 플라즈마 개발중이잖아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플라즈마 상태는 위험하지만 플라즈마의 원료는 위험 물질이 아니며, 폭발의 위험성도 없습니다.플라즈마는 원자가 원자핵과 전자로 이온화된 상태입니다. 고온 고전압을 이용하여 공기중 기체 원자를 원자핵과 전자로 이온화시킨 것이죠. 공기는 우리에게 폭발성이나 방사선을 내뿜지 않기 때문에 폭발에 대한 위험성이나 해로운 물질이 전파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고온 고압을 사용하여 실험기기의 폭발 장비의 폭발 정도는 있지만 건물을 날려버릴 정도는 아닙니다. 그러니 큰 걱정 않으셔도 될듯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15
0
0
흐린 날과 맑은 날 중 흐린 날에 커피향이 더 짙게 느껴지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흐리고 습한날에 커피향이 잘 느껴지는 이유는 후각이 민감해지기 때문입니다.냄새나 향은 분자들이 공기를 타고 날아와 코의 후각세포에 닿아 녹으며 느끼게됩니다. 그런데 습한 날에는 코의 후각세포에 수분이 촉촉한 상태이기 때문에 향을 내는 물질(분자)이 잘 녹기 때문에 향도 잘 느껴지는 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5
0
0
그래픽카드가 계속 새로운게 나온던데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니요. 꼭 필요하지 않습니다. 3D 프린트는 2차원 도면에 3차원 정보(전개도와 같은 도면)를 넣기 때문에 그래픽 카드가 꼭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10.15
0
0
지구는 계속 회전을 하는데 어지럽지가 않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는 지구의 자전이나 공전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입니다.자전을 느끼지 못하는 이유는 지구는 아주 큰 구이고, 중력이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지구의 중력과 지면의 수직항력을 구심력 삼아 지구를 따라 원운동 하고 있습니다. 이 때 중력(만유인력)에 의해 원심력을 느낄 수 없기 때문에(만유인력은 우리가 원운동 할 때 필요한 구심력 보다 크기 때문에) 지구가 도는 것을 체감하기 힘든 것이죠.또한, 지구는 아주 큰 구이고 우리는 지구 안에서 작은 존재로 지구가 구형임을 못느끼고 평평하다고 생각합니다.그리고 지구 자전에 의한 원운동은 등속 원운동입니다. 사람에 비해 지구가 굉장히 크기 때문에 사람의 입장에서는 거의 등속 직선운동(우리가 볼때 지면이 평평해 보이는 이유와 같음)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등속 운동을 할 경우 우리가 움직이는지 멈춰있는지 알기 어렵기 때문에 지구가 움직이는 것을 느끼기 어렵죠.이러한 이유로 어지럽지 않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5
0
0
태양열발전 과 태양광발전 중 어떤것이 맞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둘다 전기를 생성합니다.태양열은 태양으로부터 받은 열을 이용해 물을 끓여 증기를 발생시킨 뒤, 이 증기로 터빈을 돌려 전기에너지를 얻어냅니다.태양광은 태양 빛에너지를 금속에 가해주어 금속에서 전자가 튀어나와 전류가 되는 광전효과를 기반으로 전기 에너지를 얻어낸 발전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15
0
0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