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소나무가 사시사철 푸를 수 있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소나무나 다른 나무가 겨울을 나는 방법은 나무 내에 있는 수분을 최소화 하며, 당분 등을 합성해 세포로 보내고 세포 내 수분이 어는점을 낮추며 겨울을 보냅니다. 침엽수(소나무처럼 잎이 얇고 뾰족한 나무들)의 경우 온도가 낮은 상황에서도 엽록소가 파괴되지 않고 광합성을 할 수 있으며, 침엽수의 수관(물의 통로)은 얇아 물이 잘 얼지 않으며 설령 얼더라도 조직 피해를 입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래서 잎의 색 변화가 잘 없으며 겨울을 버틸 수 있는 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13
0
0
무더운 여름에 얼음 알갱이 우박이 내리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은 수증기, 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높은 상공에서 수증기가 물이 되고 이 물방울들이 모여 빗방울 크기가 되면 떨어집니다. 그런데 온도가 낮은 상공에서 이 빗방울이 급격히 얼게될 때가 있는데, 이를 우박이라고 합니다.눈은 우박과 달리 수증기가 물이되고 작은 물 알갱이가 얼게 됩니다. 이 작은 눈 알갱이는 주변의 수증기나 물이 달라붙어 그 크기가 커져 눈이 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3
0
0
속도와 속력의 개념상 차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속력의 정의는 시간 당 이동거리입니다. 속력은 스칼라(scalar) 크기만을 갖는 물리량입니다. 아래 그림에서 S에서 E로 검은선을 따라 이동한 이동거리는 5m가 됩니다. 만약 5m를 이동하는데 1초가 걸렸으면 5m/s의 속력입니다.속도의 정의는 시간 당 변위입니다. 속도는 벡터(vector) 크기와 방향을 갖는 물리량입니다. 아래 그림에서 S에서 E로 검은선을 따라 이동한 변위는 처음과 끝점을 최단거리로 이은 2m입니다. S에서 E 방향으로 2m/s의 속도입니다.일상 생활에서는 속력, 속도 크게 구분지으시지 않고 쓰셔도 모두 속력의 의미로 받아들입니다. 차를 타고 고속도로를 100km/h로 달린다면, '나는 100키로 속력으로 가고 있어' 나 '나는 100키로 속도로 가고 있어' 모두 속력의 의미입니다.하지만 물리학이나 과학에서는 속력, 속도를 위의 정의 처럼 구분지으셔야합니다. 속도의 경우에는 방향을 꼭 포함 시켜야 합니다. '나는 100키로 속력으로 가고있어', '나는 서울에서 대전으로 100키로 속도로 가고있어' 라고 표현해야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물리
22.10.13
0
0
고도가 높은 곳을 지나면 귀가 막히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높은 지대에 올라가거나 빨리 달리는 차에서 귀가 먹먹해지는 느낌을 받는 이유는 외부의 압력의 변화로인해 신체 내부의 압력을 맞춰주기 때문입니다. 이는 귀에 있는 유스타키오관에서 외부 압력과 내부압력이 평형을 이루게끔 조절을 하기 때문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0.13
0
0
기차 철도에 자갈을 깔아 놓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철로에 자갈이 깔려있는 이유는 비가 왔을시에 배수효과가 좋기 때문입니다. 흙일 경우 물을 머금기 때문에 배수효과가 좋지 않지만 자갈의 경우 물을 머금지 않고 흘려보냅니다. 그렇기 때문에 배수효과에 뛰어난 자갈을 사용한 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0.13
0
0
합금의 기준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합금은 금속에 금속을 섞거나, 비금속을 섞어 만든 하나의 고체 덩어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즉, 하나의 금속에 무언갈 섞게되면 합금이 되는 것이죠.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신 Fe에 Mn 0.8퍼센트가 첨가되어도 합금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10.13
0
0
신발 방수스프레이가 어떻게 신발을 방수시키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방수 스프레이는 발수성이나 소수성을 가진 원료를 첨가한 스프레이입니다. 소수성이나 발수성은 물과 결합하지 않는 성질을 띠기 때문에 빗물이나 오염물이 차 표면에 떨어질 경우 그대로 흘려내려보내게 되죠. 또한, 대부분의 방수 스프레이는 발수제를 사용하는데 발수제에는 다른 물질과 반응성이 거의 없는 불소수지가 들어있어 방수 기능을 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0.13
0
0
전기는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전기는 전자(-)의 분포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전기는 보통 전류를 의미하며 전류의 정의는 시간당 이동한 전하량(전기적으로 +, -극을 가진 물질)입니다. 전기적으로 +극을 가지거나 -극을 가진 물질이 이동하면 전류가 되는 것입니다. 이 때 이동하는 이유는 전압이 있기 때문입니다. 전압은 전류를 만들어준다고 생각하시면됩니다.전압이 물에 가해지면 물 내에도 +, -극을 가진 전해질이라는 물질이 있습니다. 이 전해질에 의해 전류가 흐를 수 있으며 물은 전류가 매우 잘흐르는 물질 중 하나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13
0
0
손에 정전기가 많이 나는데 몸에 전류가 흐르는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가을이나 겨울철 건조한 날씨가 되면 정전기가 유독 심해지죠. 사람의 몸에는 미세한 전류가 흐르고 있으며, 손이나 피부 말단부, 피부 표면에는 전자(-)가 미량 분포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정전기가 발생하는 것이죠. 사람마다 전류의 양의 정도가 조금씩 다릅니다. 똑같다면 전기가 이동하지 않아 사람간의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죠. 하지만, 사람간에도 정전기가 통하므로 다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13
0
0
우주와 태양의 나이는 어떻게 아는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의 나이는 약 138억년 입니다.우주의 나이를 측정한 방법은 허블의 법칙을 통해 계산해냈습니다. 허블의 법칙은 우주가 팽창하는 정도에 관한 법칙입니다. 우주 초기부터 현재까지의 팽창은 허블상수에 의존하는데, 이 허블 상수를 측정해 냄으로써 우주의 나이를 측정해 낼 수 있습니다. 그 결과가 137.9억년 정도 입니다.태양계 내에서 태양이 형성되면서 다른 행성들도 거의 동시(인간에게는 긴 시간이지만 우주의 시간으로는 거의 동시)에 형성되었기 때문에 나이가 거의 같습니다.태양의 나이는 46억년 정도이며, 태양 빛의 스펙트럼을 조사하여 구성 원소 비율을 통해 나이를 추정하였습니다.태양 빛의 스펙트럼을 통해 구성 원소 비율을 측정해 나이를 추정한 이유는, 별의 생성 초기에는 수소의 비율이 74%로 월등히 높으며, 헬륨은 24% 정도입니다. 별에서는 핵융합 반응을 통해 가벼운 원소가 결합하여 무거운 원소로 변하며 가벼운 원소의 비율이 점점 줄어들게 됨을 알게 되었죠. 그래서 현재 태양의 원소 비율을 측정해 나이를 추정한 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3
0
0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