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지구본은 누가 만들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본은 1436년 독일 뉘른베르크에서 태어난 마틴 베하임이 만들었습니다. 15세기 후반에 마틴 베하임은 당시 국왕이었던 주앙 2세의 항해고문관으로 임명되었는데, 항해용 기구의 개량과 지도 제작을 위해 아프리카 서해안 일대를 탐험하게 됩니다. 천문지리학자였던 마틴 베하임은 탐험과 여행을 자주 하면서 별자리의 변화와, 태양 고도의 변화를 관측함으로써 지구가 둥글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고, 1492년 지름 54.1cm 모양의 구 모양의 최초의 지구본을 만들게 됩니다. 마틴 베하임은 지구본을 apple이라고 불렀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6
0
0
수소차는 넥소밖에없는데 수소차의 원리를 알고싶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수소연료를 사용한 수소자동차는 물의 전기분해의 역반응을 이용한 원리입니다. 수소연료전지에 연료로 사용되는 수소를 주입합니다. 주입된 수소는 수소(+)와 전자(-)로 이온화되며, 전자(-)는 양극(+)으로 이동하고 수소(+)는 음극(-)으로 이동하며 전류(전하의 흐름)를 만들어냅니다. 이 전류를 이용해 차를 움직이게하죠. 그리고 공기중에 있는 산소를 음극으로 주입해주는데, 음극으로 이동해온 수소(+)와 산소가 반응하여 물을 만들어내죠. 즉, 수소연료의 배출물은 자연에 무해한 물이 됩니다. 그래서 수소가 신재생, 친환경 에너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6
0
0
청소기처럼 모터가 빨아들이는건 어떤 원리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청소기의 원리는 압력을 이용한 원리입니다. 청소기 몸통에 흡입구와 배출구가 연결되어 있는데, 배출구에 달려 있는 프로펠러를 분 당 만 번 이상의 강한 회전을 통해 청소기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어냅니다. 그리고 진공상태가 된 내부는 외부 공기 1기압과 압력차가 있기 때문에 압력이 높은 외부에서 청소기 내부로 흡입기를 통해 공기가 이동하며 먼지와 쓰레기를 빨아들이게 되죠.흡입기를 사용하는 제품으로는 공기청정기가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6
0
0
사람의 몸은 밤에 자야된다는 것을 어떻게 인식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은 피곤할 때 자게 됩니다. 꼭 밤이라고 해서 자는 것은 아니죠. 우리 몸에는 생체리듬이 존재합니다. 활동하는 시기가 있으며, 휴식하는 시기도 필요로 하죠. 이 휴식하는 시기가 자는 시기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생체는 햇빛을 통해 어느 정도 밤과 낮을 구분합니다. 햇빛을 받지 못하는 때부터 몇 시간이 지나게 되면 성장 호르몬이나 재생 호르몬이 분비되는데 이 시간이 보통 휴식기에 적합한 시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즉, 자는 시간이죠.하지만, 밤낮을 신경 쓰지 않고 피곤하면 자고, 움직이고 싶을 때 움직이는 사람들도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6
0
0
공룡책에 나오는 공룡들은 다 실제 있었던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화석과 흔적을 통해 현재 500마리 이상의 공룡이 밝혀진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더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어린 아이들이 읽는 공룡책에 나오는 공룡은 실제 했던 공룡일 가능성이 높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6
0
0
무지개가 생기는 원리에 대해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무지개는 햇빛이 수증기 물방울을 통과하면서 이 물방울이 마치 프리즘 역할을 하여 빛이 분산되어 나타나는것입니다.프리즘을 알고 있고 실험해 봤다면 어린 친구가 금방 이해할 수 있을겁니다! 그렇지 않다면 유튜브에서 프리즘을 한번 보여주시는 것도 좋은 방법일듯하네요!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6
0
0
왜 어떤 전기포트에는 물때가 생기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음, 이전에 쓴 전기포트와 현재의 전기포트의 재질은 유사한것으로 보이네요. 혹시 현재 전에 쓴 전기포트를 가지고 계시다면 한번 비교해보셔서 판단하는것도 나쁘지 않을 듯합니다. 정말 새로 구한 포트기의 문제인지, 아니면 물이 조금 변했는지 확실히 하기 위해서요.만약, 둘다 물 때가 생긴다면 물이 변한것이고, 새로 구한 포트기에 물 때만 생긴다면 포트기의 문제입니다.잘 해결 되시길 바라겠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6
0
0
사우나 에서 땀을 배출하면 지방이빠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사우나에서 땀을 많이 흘려 지방도 빠질거 같지만 그렇지 않습니다.여름에 더워서 땀흘리는 것이나, 찜질방, 사우나에서 땀을 흘리는 것은 단순히 수분과 체내의 전해질(마그네슘, 칼륨, 나트륨 등)만 배출되는 것으로 탄수화물, 지방이 연소되는 것은 아닙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물리
22.09.26
0
0
녹음과 녹화의 원리는 어떻게 생겨났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초기 녹음은 전류가 흐를 때 자기장이 생기는 원리를 사용하였습니다. (전류가 흐르는 도선 주위로 자기장이 생깁니다.)녹음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경하여 전류로 흘러 보내줍니다. 이 전류는 코일을 지나며 자기장을 만듭니다. 그러면 주변에 있던 자성체에 변화된 자기장이 기록되게 되는데, 이 기록이 녹음입니다. 현재는,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경하여 입력 받아 디지털화하여 기록(녹음)해둡니다. 그리고 디지털화된 기록을 다시 전기 신호로 변경하여 소리로 바꿔줌으로써 재생이 가능하죠.녹화는 사진을 여러장 찍어두고, 이를 시간 간격에 맞춰 넘기면서 움직임을 표현하는 것입니다. 과거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이러한 원리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현재는 여러 장 찍은 사진의 화질과 프레임간 간격이 줄어들어 더 퀄리티 있는 영상이 되었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6
0
0
지하수는 어떻게해서 생기게 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하수는 지표면 아래에 있는 물로 지상에서 물이 스며들거나, 산에서 흐르는 물이 스며들거나, 강에 일부에서 스며들어 생겨날 수 있습니다. 즉, 지하수의 공급지가 있기 때문에 지하수가 지표면으로 솟아 오를 수 있습니다. 특히, 물의 공급이 원활한 곳에서 지하수가 솟구치며, 대부분은 땅속에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6
0
0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