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모터 의 원리에 대해서 쉽게 알고싶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모터는 자기장 내에서 전류가 흐르는 코일(도선)에 작용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작동합니다.모터를 뜯어보시면 아시겠지만, 자석이 있고 중간에 코일이 있을겁니다. 이 자석이 중간에 위치한 코일에 자기장을 만들어주고, 우리는 전기를 연결하여 코일에 전류를 흘려보내줍니다. 그러면 코일에는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전류가 흐르는 도선은 마치 하나의 자석처럼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전류가 흐를 때 자석이 되는 것을 전자석이라고하죠. 코일에 전류가 흘러 전자석이 되고, 코일 주변에 자석이 놓여 있기 때문에 전자석이 자석에서 발생한 자기장에 의해 회전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 코일에는 톱니바퀴가 연결되어 모터 역할을 하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3
0
0
오늘(2022/9/23)은 밤과 낮의 길이가 같아지는 추분이라고 합니다.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낮과 밤의 길이가 바뀌는 이유는, 지구의 자전과 공전에 의한 현상입니다. 또한, 지구의 자전축이 공전 궤도면에 수직하지않고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바뀌는 이유입니다. 또한, 낮과 밤의 길이가 바뀔뿐아니라 계절성도 띠게되죠.자전축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공전 궤도상에 특정 위치에 놓이면 북반구에서 태양을 떠있는 시간과 태양이 져있는 시간이 동일한 위치가 될 수 있습니다. 쉽게 생각해서 자전축이 공전 궤도면에 수직일 경우 적도에서는 낮과 밤의 길이가 항상 갖게되죠. 하지만 자전축이 기울어져있기 때문에, 적도에서 낮과 밤의 길이가 바뀌며 다른 위도에서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질 수 있습니다.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진 채로 공전하며 남반구가 태양과 가깝게 놓이게 되면 여름, 가장 멀게 놓이게 되면 겨울, 그 중간을 봄과 가을을 맞이합니다. 태양 에너지를 많이 받아 온도가 높아져 뜨거워지는 여름, 태양 에너지를 적게 받아 온도가 떨어져 추워지는 겨울 등으로 계절성이 나타나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3
0
0
어두운방 솜이불에서 빛이나는데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정전기는 건조한 가을이나 겨울에 잘 발생됩니다. 게다가 나일론이 포함된 혼합섬유의 경우인 니트나 스웨터의 경우 전자(-)를 잘 끌어당기는 성질을 가진 특징을 가지고 있어 정전기가 더 잘 발생합니다. 솜이불, 극세사 이불 또한 정전기가 잘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시적으로 정전기가 튀어 빛을 발했을 수 있습니다. 정전기에 의해 섬유가 잘 타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걱정은 안하셔도 괜찮을 듯합니다. 하지만 정전기는 불이 잘타는, 발화점이 낮은 휘발유, 알코올 등을 태울 수는 있습니다. 이불의 정전기를 방지하고 싶으시다면 섬유 전용 정전지 방지 스프레이를 뿌려주시는게 좋을듯 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3
0
0
루시드드림이 실존하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저도 루시드드림(자각몽)을 경험해보지 못했지만 주변에 친구가 경험했다고 합니다. 또한, 루시드 드림을 경험한 사람들의 사례도 많이 들어왔습니다. 그리고 루시드드림과 일반 꿈을 꿀때 뇌파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과학적인 접근으로 연구를 하시는 분도 계신다고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2
0
0
화성에 갈수 있는 날이 빨리 올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직은 알 수 없지만 NASA나 다른 우주국에서 유인우주선을 화성으로 보내는 프로젝트를 구상하고 수행한다면 갈 수 있을것입니다. 그리고 현재는 화성까지 왕복시간과 연료의 문제, 생활 및 식량의 문제 등을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을 하고 있으며 계속해서 개발중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2
0
0
자각몽을 꾸는게 과학적으로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자각몽(루시드드림)을 의지대로 꾸기엔 어렵습니다. 그리고 수면을 취할 때 자각몽 상태와 일반적인 상태에 대해 뇌파 분석을 수행하는 연구도 진행하며 과학적인 근거를 찾는 분들도 계십니다. 또한, 자각몽 상태와 일반적인 꿈 상태일 때 뇌파의 형상이 다르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2
0
0
매직블럭(스펀지)가 물때 등을 어떻게 잘지우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매직블럭은 일반 스펀지와 달리 더욱 미세하게(촘촘하게) 제작되었으며, 자세히 보시면 재질 단면이 삼각형으로 생겼습니다. 그래서, 때를 지울 때 삼각형의 강한 마찰력으로 잘 지워지는 원리입니다. 즉, 외형을 달리한 물리적 차이로 때를 지우는데 효과적인 스펀지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공학
22.09.22
0
0
모기가 좋아하는 혈액형이 따로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모기가 혈액형을 좋아한다는 이야기가 있었지만 과학적으로 입증된것이 아닙니다. 모기는 사람에게서 나는 냄새를 맡고 달려들어 피를 빨죠. 그리고 사람의 외형만 봤을 때 이 사람이 O형인지 A형인지 모기는 구분할 수 없답니다. 그리고 특히 땀냄새, 향수냄새를 좋아하며, 검은 옷을 좋아한다고 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2
0
0
지구의 심해는 얼마나 깊은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바다의 깊이를 끊임없이 탐사하였는데, 현재까지 인간이 잠수정을 타고 도달했던 최대 깊이는 10908m입니다.심해의 최대 깊이는 11034m이며 아직 도달한 깊이는 아닙니다. 바다의 깊이를 조사하여 평균을 낸 결과 바다 깊이의 평균은 4117m입니다. 평균깊이와 넓이를 곱하면 바다의 부피를 구할 수 있는데, 바다의 부피는 13억 7030만 km^3 입니다.해수의 부피는 전지구적으로 바다를 탐사한 자료를 기반으로 계산이 가능합니다. 인류는 바다의 깊이와 바다의 표면 넓이 등을 끊임없이 탐사하고 연구해왔죠. 바다는 지구 표면적의 70.8%정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를 이용해 해양의 면적을 계산하면 3억 6105만 km^2이 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2
0
0
태양계에서 가스로만 이뤄진 행성에서는 물체가 중심으로 떨어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가스로 이루어진 행성에도 중심에는 무거운 원소(금속 암석 등)들이 뭉쳐있는 핵이 존재합니다. 그래서 물체의 중심부까지 무한으로 떨어지지 못하고 핵 부분에서 부딪힐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2
0
0
424
425
426
427
428
429
430
431
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