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사물인터넷 IOT 개념을 설명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사물인터넷은 물건, 가전제품, 전자제품, 공장 등 물체들 간의 공통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기술을 의미합니다.예시로 스마트팜, 스마트공장, 스마트 홈, 스마트 시티 등 다양하게 있습니다.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사물을 간단하게 인터넷을 통해 조절할 수 있는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2
0
0
거미줄의 주성분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거미줄의 성분은 다양한 종류의 아미노산이 함유된 단백질이며, 글라이신의 성분으로 강한 결합력을 지니고 있죠. 또한, 파이로리딘, 인산수소칼륨, 질산칼륨 등의 화학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거미줄이 건조해짐을 방지하고, 탄성을 갖게 해주며, 비를 맞아도 끄떡이 없는 이유입니다.네 거미는 완벽한 건축가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대칭적이고 균형있게 집을 짓죠. 거미의 집짓기는 정말 신비롭습니다. 거미는 차분하게 간격을 계산해가며 집을 짓기 때문에 균형있고 대칭적으로 집을 짓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2
0
0
밖에서 생활하다보면 햇빛에 그을려 피부색이 왜 변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피부가 타거나 손상되는것은 에너지가 강한 빛인 자외선 때문입니다.자외선에 장시간 노출되면 멜라닌세포를 죽여 검게 되고, 피부껍질이 벗겨질수도 있습니다. 또한 심한 경우에는 피부암에 걸릴수도 있죠.그러니 야외에 장시간 있거나 자외선이 강한날에는 꼭 자외선 차단제를 발라주시기 바랍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2
0
0
MRI는 강력한 자기장이라고 하는데 자기장이 정말 무해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mri의 원리를 먼저 이해하시면 좋을거 같습니다.우리 몸의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물질인 물은 수소와 산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이 수소와 산소는 스핀을 갖고 있으며 스핀 세차 운동을 하고 있습니다. mri는 자기장을 내뿜으며 이 수소의 원자핵의 스핀 세차운동을 한 방향으로 정렬시킵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mri에서 전자기파를 쏘게되는데, 이 때 스핀 세차운동과 공명하는 주파수의 빛 만을 다시 방출해냅니다. 그리고 방출된 빛을 mri 장비를 통해 모아 분석하여 내부를 파악하는것입니다.이때 사용하는 전자기파와 자기장은 인체에 무해할 정도의 세기입니다. 또한 자기장에 의해 정렬된 스핀의 세차운동은 자기장이 사라지면 다시 무작위로 변하며, 지구 자기장 방향으로 어느정도 정렬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2
0
0
도마뱀은 꼬리를 스스로 끊고 도망가는데 끊기는 과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도마뱀은 꼬리가 잘라낼 부위로 결정되어 있으며, 위협이나 공격을 받을 시 무조건 반사로 꼬리가 잘라집니다. 우리의 무릎반사와 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무릎을 툭 치면 발이 앞으로 올라오는거처럼요. 그리고 도마뱀의 꼬리가 잘리면 꼬리 조임근이 꼬리에 있는 동맥을 수축해 지혈하여 피가 흐르는걸 방지한다고 합니다. 통증이 있는지 없는지는 도마뱀만이 알 수 있지만, 연구에 따르면 약간의 통증이 있고 심하진 않다고 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2
0
0
붉은 노을로 곱게 물들어가는 가을 하늘, 노을이 붉은 이유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먼저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부터 이해하시면 좋을거같습니다. 하늘이 파란 이유는 대기(공기)에 의해 태양 빛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이때 짧은 파장 영역대의 빛인 파란, 남색 ,보라 빛이 산란이 잘되는 이러한 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입니다.노을은 해질 무렵, 태양이 지평선에 놓일 때 태양 빛이 지구의 두꺼운 대기층을 뚫고 우리눈에 들어온 빛을 보게됩니다. 이때 짧은 파장 영역대의 빛은 우리눈에 도달하기전에 산란되어 흩어져 버리고, 파장이 긴 빛들 빨강, 주황, 노랑 등의 빛은 산란되지않고 두꺼운 대기층을 뚫고 우리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노을이 노랗고 붉게 보이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2
0
0
똥에서는 왜 고약한 냄새가 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음식이 내장에서 영양분이 흡수되면서 가스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만들어진 가스는 트름이 되어 나오며, 위를 지난 다른 장내에서 여러 세균에 의해 음식물의 분해가 또 일어납니다. 이 때 만들어진 가스는 방귀가 되며 이 때 만들어진 가스 중 유황을 함유한 메탄에치놀, 디메칠설파이드, 유황, 수소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독한 냄새를 만들죠. 또한, 변도 마찬가지로 유황, 암모니아, 메탄의 성분으로 되어 있으며 분해되어 나오는 냄새에 의해 독한 냄새를 풍기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2
0
0
지렁이 사체 주변에 모래는 왜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지렁이의 몸에서 분비 되기도 하며, 지렁이 몸에 붙어 있던 모래가 지렁이가 마르게 되면서 떨어지기도 합니다. 그래서 사체 주변에 모래가 있을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2
0
0
구름의 수증기가 눈이 되어 내리는 원리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은 수증기, 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높은 상공에서 수증기가 물이 되고 이 물방울들이 모여 빗방울 크기가 되면 떨어집니다. 그런데 온도가 낮은 상공에서 이 빗방울이 급격히 얼게될 때가 있는데, 이를 우박이라고 합니다.눈은 우박과 달리 수증기가 물이되고 작은 물 알갱이가 얼게 됩니다. 이 작은 눈 알갱이는 주변의 수증기나 물이 달라붙어 그 크기가 커져 눈이 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2
0
0
최초의 항생제는 무엇이었나요? 누가 만들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알렉산더 플레밍이라는 영국의 미생물학자에의해 최초의 항생제 페니실린이 개발되었습니다. 시기는 1930년대에 연구와 검증을 통해 1940년에 항생제로 인증받았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2
0
0
424
425
426
427
428
429
430
431
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