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장까지 살아가는 유산균은 위장에서 안죽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유산균에는 내산성이 있는 유산균이 있습니다. 산성 환경에서도 죽지 않고 살아남을 수 있는 유산균이 존재하죠. 그래서 위액의 산성환경을 버티고 장까지 살아갈 수 있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14
0
0
바이러스 연구를 위한 배양은 어떻게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감염이나 질병의 실험은 사람으로 하지 않고 실험용 쥐나 토끼 등을 통해 연구를 진행합니다. 참고로 실험용 쥐는 사람과 유전자가 80퍼 이상 동일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19퍼 정도는 비슷한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인간과 가장 유사한 유전자를 갖는 동물은 고릴라로 97퍼 정도 동일합니다. 그런데 왜 고릴라를 사용하지 않고 쥐를 쓰는 이유는 번식력이 좋고 다루기가 쉽기 때문입니다. 쥐는 번식을 빠르게 하고 질병을 빠르게 전파하기 때문에 여러가지 약물에 대한 결과를 빠르게 파악하기 쉽습니다. 쥐는 임신기간이 3주이며 5~15정도의 새끼를 낳을 수 있습니다. 또한 쥐에게 투여한 병과 약물로부터 나타나는 효과가 사람에게도 비슷하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죠. 그래서 쥐를 쓰는 이유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14
0
0
폐포에 들어간 먼지는 가래나 침으로 나온다고 들었는데 맞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가래나 기침으로 배출이 가능합니다. 또한 호흡으로도 나쁜 공기를 배출해 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코로 숨을 들이마실 때 코털에 의해 먼지나 오염물질을 걸러주기도 하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4
0
0
콜라에 멘토스를 넣으면 거품이 왜 생기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멘토스는 껌처럼 질긴 성질과 끈적한 성질이 있는데 이는 아라비아 고무성분 때문입니다. 그리고 콜라에는 탄산염이 있어서 청량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멘토스의 아라비아 고무성분과 탄산염이 반응하여 급속도로 탄산(이산화탄소)을 만들어내는 원리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4
0
0
비가올때 왜 번개가 발생하는가요?번개의 발생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천둥 번개는 두꺼운 구름이 형성 됐을 때 그 안에 분포하는 물과 수증기의 음전하가 강해지면서 치게됩니다. 하지만 겨울에 눈이 올때에는 보통 두꺼운 구름은 형성되지 않고 중간 정도의 두께나 얇은 두께의 구름을 형성하고 수증가와 물보다 눈, 얼음 알갱이가 많아 음전하로 대전 되는 정도가 비가 올때에 비해 적습니다. 그래서 번개가 잘 치지 않죠. 하지만 겨울에도 드물게 두껍운 구름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구름 속에 수증기와 물이 분포할 수도 있습니다. 이럴 경우에는 번개가 칠 수 있습니다.번개 맞을 확률은 600만분의 1로 추산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4
0
0
우주의 물체 운동상태 질문진공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우주공간에서 물체를 방해하는 저항 역할을 하는 물체나 에너지가 없다면 속도를 유지한채 영원히 날아갈 수 있습니다.하지만 우리 우주에는 반드시 행성, 별 등 다양한 천제가 존재하며 이와 부딪힐 확률이 반드시 존재하며 무거운 중력을 행사하는 천체가 존재하기에 여기에 얽매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현실적으로 무한히 한 방향으로만 날아간다는 보장은 없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4
0
0
CNG 버스는 친환경차라는데 공해가 전혀없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CNG버스 (Compressed Natural Gas 버스)은 공해물질이 전혀 없진 않습니다.CNG 버스는 압축 천연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버스이며 기존에 디젤 버스보다 매연이나 미세먼지가 적게 발생되며 소음도 적은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디젤 버스에 비해 대기오염 발생량이 10%정도밖에 되지 않죠. 그래서 저공해버스로 분류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4
0
0
파충류가 출현한다고 하면 파충류가 갑자기 만들어진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진화나 돌연변이와 같은 이유로 파충류가 탄생했다고 연구되고 있습니다. 파충류의 조상은 대략 3억년 전 고생대 석탄기에 양서류와 파충류의 중간형으로 보이는 세이무리아에서 파생된 것으로 연구되고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14
0
0
당구장에 당구공은 무엇으로만드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페놀수지를 원료로합니다. 과거에는 코끼리 상아로 만들긴 하였지만, 코끼리를 보호하고 지켜야하기 때문에 금지되었죠. 페놀수지를 원료로 만든 공은 단단한 특징을 가지고 있고 어느 방향에서나 균등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윤기가 나죠. 또한 수명도 길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당구공 적합하여 사용되고 있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공학
22.09.14
0
0
소화기가 불을 끄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불을 붙이기 위해서는 열(불)과 산소와 연료(종이, 나무 등)가 있어야합니다. 불을 끄기위해 물이나 소화기를 분사하는데, 물은 산소도 차단할 뿐더라 열을 급격히 내릴 수 있기 때문에 불을 끄는데 도움을 줍니다. 소화기는 이산화탄소가 포함되어있고, 분말가루도 포함되어있습니다. 이러한 요소들이 산소의 접촉을 차단하기 때문에 불을 끄는데 도움을 줍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4
0
0
469
470
471
472
473
474
475
476
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