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수소차 기술력이 현대차가 세계 1위라 하는데 적극적인 투자 및 생산을 못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 수소차가 상용화되기 직전 단계라고 보시면 됩니다. 수소차 이야기를 이미 많이 들어왔기 때문에 시기가 늦어진거처럼 느낄 뿐이지 굉장히 빠르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조금씩 수소차가 등장하고 있으며 더욱 상용화 될것이니 조금만 기다리면 될듯합니다.
학문 /
화학
22.09.14
0
0
시내와 고속도로에서 차량이 속도감이 다른건 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상대성 이론이 적용 받아 체감하시려면 광속에 가까운 속력이 되어야합니다. 시내에서는 주변에 환경에 놓인 차량과 사람에 의해 조금만 속력을 내도 빠르게 느낄 수 있습니다. 사람이 느리게 걷고 있으며, 멈춰 있는 차량도 많기 때문에 상대속도 차에 의해 빠르게 느끼죠. 하지만 고속도로에서는 빨리 움직이는 차량이 다수이고 거대한 산이 존재하며 주변이 휑하여 시내에서보다 빨리 달려도 빠르다는 체감이 잘 안되는것이죠. 상대 속도 차에 의한것이며 주변환경에 의한 착각 때문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13
0
0
네안데르탈인에 대해서 궁금한점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이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있으며, 네안데르탈인과 우리 사람과 유전자가 비슷하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현생인류와 관련이 있는지 없는지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중에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13
0
0
번개는 구름에서 발생하나요? 어느위치에서 발생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천둥 번개는 두꺼운 구름이 형성 됐을 때 그 안에 분포하는 물과 수증기의 음전하가 강해지면서 치게됩니다. 하지만 겨울에 눈이 올때에는 보통 두꺼운 구름은 형성되지 않고 중간 정도의 두께나 얇은 두께의 구름을 형성하고 수증가와 물보다 눈, 얼음 알갱이가 많아 음전하로 대전 되는 정도가 비가 올때에 비해 적습니다. 그래서 번개가 잘 치지 않죠. 하지만 겨울에도 드물게 두껍운 구름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구름 속에 수증기와 물이 분포할 수도 있습니다. 이럴 경우에는 번개가 칠 수 있습니다.두꺼운 구름 내에서는 음극과 양극의 분리가 있을 수 있으며 구름내에서 번개가 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3
0
0
우주 동면은 실제로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냉동함으로써 세포의 노화를 정지시키며, 썩지 않고 현재 그대로의 모습을 보존시키기 위해 얼린것이죠. 이를 온전하게 해동할 기술이 미래에 실현이 가능할것으로 판단하여 냉동인간을 보존하는것입니다. 하지만 장담할 수는 없는 일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3
0
0
가을날의 단풍은 왜들며 보통 노란색 붉은색 갈색 등으로 색깔이 다르게 물드는 이유가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겨울을 지난 봄에 잎이 돋아나기 시작하고 잎에 있는 엽록소가 만들어지면서 초록 잎을 유지합니다. 가을이 되면서 이 엽록소가 더 이상 만들어지지 않고 엽록소가 분해되어 노란, 주황, 빨강, 핑크 등으로 색이 바뀌어 단풍이 지는것이죠. 겨울에 모든 잎이 떨어지고나서 봄을 맞이하며 새로운 잎이 시작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곤충과 새의 도움을 받아 열매를 맺는 이유도 있기 때문에 봄과 가을이 구분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3
0
0
소독용 에탄올스왑으로 상처소독 및 손소독 그리고 핸드폰 소독을 하고 있는데요. 따끔따끔한 이유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상처부위에 신경과 피부를 자극하기 때문에 따끔 거리는 것입니다. 알코올은 세균을 죽이기도 하지만 세포내 존재하는 좋은 영향을 미치는 백혈구, 혈소판등에게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죠.
학문 /
화학공학
22.09.13
0
0
속도측정기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속도를 측정하는 원리는 특정한 진동수 및 파장의 빛을 쏴서 차량에 부딪혀 반사되어 돌아온 빛의 진동수나 파장을 관측해 변경된 정도를 가지고 속도를 측정합니다. 이를 도플러 효과라고 하죠. 특정 파장의 빛을 달려오는 차량에 쏘게 되어 반사되어 나온 빛의 파장은 짧아 집니다. 그리고 차량의 속력이 클수록 차이가 커지죠. 이러한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력을 알아내는것입니다. 빨라도 측정이 가능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13
0
0
만약 화산이 실제로 폭발한다면?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백두산이 언제 폭발할지 정확히 알 수 없어서 지진계를 이용하거나 전파를 이용해 백두산이 터질 징후를 수시로 확인하고 있습니다. 태풍, 백두산과 같은 거대한 자연재해를 안전하게 막는 방법은 아직 없습니다. 그래서 이를 관찰하여 터지기 전 징후를 파악하여 대피를 하는게 최선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3
0
0
태풍 오른쪽이 왜 피해가 많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오른쪽과 왼쪽을 나누어 설명드리겠습니다.태풍의 진행방향에 대해 오른쪽, 왼쪽의 강도는 태풍의 회전 방향과 관련이 있습니다. 북반구에서의 태풍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죠. 그리고 진행방향은 보통 북쪽을 향합니다. 이러한 태풍의 오른쪽 부분을 보시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진행방향이 북쪽이므로 오른쪽 부분은 회전속력과 진행방향의 속력이 더해져 바람이 강합니다. 반대로 왼쪽 부분에서는 회전속력과 진행방향의 속력이 반대이므로 차감되는 효과로 인해 바람이 태풍의 오른쪽 부분에 비해 약하죠.
학문 /
토목공학
22.09.13
0
0
469
470
471
472
473
474
475
476
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