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열대성 저기압을 발생하는 지역에 따라 다르게 부르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국가간의 언어가 다르고 이에 따라 부르는 명칭 차이입니다. 태풍과 허리케인은 같은 것입니다. 이와 더불어 싸이클론도 같은 의미입니다. 북서태평양 근해에서 발생하는 태풍을 태풍이라 부르고, 대서양, 북태평양 동부 부근에서 발생한 태풍을 허리케인, 인도양에서 발생하면 사이클론이라고 부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3
0
0
태풍에 대해서 질문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은 저기압이고 남태평양 고기압, 북서 고기압등에 영향을 받습니다. 왜냐하면 바람은 압력차에 의해 형성 되기 때문이죠. 태풍의 경로는 지역의 기압차, 온도차에 의한 바람의 방향 영향을 받습니다. 중위도에서는 편서풍이 불어 태풍이 동쪽으로 휘는데 항상 동쪽으로 휘는것은 아닙니다. 중위도에서는 대부분 편서풍이 불지만, 기압차에 의해 동에서 서로 바람이 불때도 있고, 북에서 남으로 바람이 불때도 존재합니다. 그래서 태풍은 바람이 부는방향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진로가 바뀔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3
0
0
비누를 사용하면 물과 기름이 잘 섞이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비누를 이루는 분자 중 기름과 친한 쪽과 물과 친한 쪽이 나뉘어져 있는 분자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물과 친한 쪽으로 인해 물 속에 녹아 있을 수 있으며, 기름과 친한 쪽이 존재하기 때문에 기름을 감싸게 됩니다. 그래서 기름입자를 포획하여 씻겨낼 수 있는것이죠.
학문 /
화학
22.09.13
0
0
100년넘게자라는소나무성장과정에대해궁금하네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나무는 4계절을 견디면서 성장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유해한 환경에 노출되지 않고 나무에 악영향을 주는 동물이나 곤충에게 노출되지 않을 경우 200~300년 정도 살 수 있습니다. 각자의 종마다 정해진 수명이 존재하고, 나무의 특성이기 때문에 100년 넘게 살 수 있는것이죠.
학문 /
생물·생명
22.09.13
0
0
LED 등의 사용 연한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LED를 안정적으로 잘 사용했을 경우에 평균적인 수명은 약 3만 시간 정도 작동 합니다. 이는 대략 5년 정도 사용이 가능한 시간이죠.
학문 /
전기·전자
22.09.13
0
0
고래들의 먹이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고래의 종류에 따라 조금씩 다르긴 합니다.고래들은 보통 플랑크톤, 새우, 물고기 등을 먹습니다. 이를 먹을 때 입으로 대량으로 흡수하여 먹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13
0
0
태풍,토네이도,허리케인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부르는 명칭 차이입니다. 태풍과 허리케인은 같은 것입니다. 이와 더불어 싸이클론도 같은 의미입니다. 북서태평양 근해에서 발생하는 태풍을 태풍이라 부르고, 대서양, 북태평양 동부 부근에서 발생한 태풍을 허리케인, 인도양에서 발생하면 사이클론이라고 부릅니다.토네이도는 기체나 유체의 흐름 중 난류에 의해 생길 수 있습니다. 보통 우리 주변에서도 난류가 흔히 발생하지만 상승기류와 강한 바람을 만나지 않는 이상 토네이도가 쉽게 생기지 않습니다. 미국에서는 강한 바람이 부는 상황에서 난류가 발생해 상승기류를 거대한 토네이도가 자주 생기죠. 우리나라는 상승기류는 있지만 바람이 강하지 않아 토네이도가 거의 발생 안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3
0
0
유명산에 있는 흔들 다리에 대한 과학적 원리?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흔들 다리를 건설할 때 공학적으로 지진, 태풍의 강도 등에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하게 건설을 합니다. 하지만 건설할때 고려한 강도보다 강한 강도의 지진이나 바람이 분다면 버티지 못하고 무너져 내릴 것이 분명하죠. 그래서 안전관리원을 두고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검사를 하고 있죠.
학문 /
토목공학
22.09.13
0
0
기후변화로 빙하가 없어진다면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기후변화로 당장 빙하가 사라지진 않습니다.온난화의 원인은 지구 대기중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 메탄 등의 온실기체의 증가로 인해 지열을 우주로 방출하지못하고 지구의 온도가 계속해서 올라가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온실 기체는 자동차, 화석 연료 사용, 에어컨, 생물의 부패, 공장 등에서 발생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미 방출 된 온실 가스는 지구 전체의 대기중에 분포하기 때문에 우리가 다시 회수하기는 어렵습니다. 또한, 현재 온난화가 많이 진행된 상황이구요. 이러한 이유로 해결하기가 어렵죠. 그래서 온난화를 막고자 친환경 에너지, 수소 자동차, 전기 자동차, 일회용품 사용 최소화, 텀블러 사용, 플라스틱 사용 최소화 등 여러 방면으로 노력중에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3
0
0
고층 건물 건축에 필수인 크레인의 바람에 대한 저항력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에 잘 대비를 해놨기 때문에 크레인이 쓰러지지 않고 잘 버텼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크레인을 바람을 막을만한 장소나 주변에 피해를 주지 않을 장소에 두었기 때문에 쓰러짐이 없었다고 봅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13
0
0
469
470
471
472
473
474
475
476
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