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모기에게 물리면 가려운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모기가 피를 빨려고 물때 지방조직을 녹이는 성분과 히루딘이라는 성분을 내보내면서 피를 빱니다.우리 몸에서는 외부에서 들어온 모기의 타액을 이물질로 인식하고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면역반응이 일어나는데, 이때 가려움을 유발하는 히스타민이 함께 분비 된다. 히스타민은 혈관을 확장시키고 혈관 투과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가려움증과 함께 붓고 빨갛게 됩니다. 이를 더 자극하게 되면 면역반응이 더 올라가 가려움이 증가됩니다. 가려움 예방 약을 바르시는게 좋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13
0
0
휴지전위와 포타슘이온의 평형전위가 유사한 것은 어떤 의미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전위 차는 이온의 +, -극의 농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휴지 전위나 포타슘이온의 평형전위는+극을 가진 이온의 농도와 -극을 가진 이온의 농도가 나뉨에 의해 가질 수 있는데, 이 때 나눠진 농도의 정도가 비슷하기 때문이죠.
학문 /
화학
22.09.13
0
0
전자제품을 물에 넣으면 고장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전자제품을 물에 넣고 작동하면 위험합니다. 감전의 위험이 있습니다. 전자제품에는 내부에 회로가 존재하며 전선이 존재합니다. 이를 물에 넣었다 빼면 회로나 전선이 녹슬 수 있으며, 물에 존재하는 전해질이나 물질이 회로나 전선에 들러 붙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를 작동하면 과전류가 흘러 고장을 불러 일으킬 수 있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13
0
0
양치식물,겉씨식물,속씨식물에 대한 특징이 무엇인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양치식물은 꽃과 씨앗을 만들지 않고 포자를 생산해 번식을 하는 식물입니다. 예시로 고사리류, 석송류, 속새류 등이 있습니다.겉씨식물은 말 그대로 씨가 겉에 있는 식물을 말합니다. 그리고 꽃잎과 꽃받침이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시로 은행나무, 소나무, 전나무, 삼나무 등이 있습니다.속씨식물은 씨가 속에 있는 식물을 말하죠. 꽃잎과 꽃받침이 있는 식물입니다. 예시로 목련군, 외떡잎식물군 등이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13
0
0
2년정도 지난 손풍기 배터리방전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배터리의 수명이 다했을 수도 있으니 AS 센터에 문의하시거나 선풍기 만든 업체에 문의하시는게 좋을듯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13
0
0
헬륨 3 이자원이 달에만 있는 자원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헬륨3는 태양에서 일어나고있는 핵융합 반응에 의해 생성될 수 있습니다. 중수소와 중수소가 만나 헬륨3를 만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헬륨3는 태양풍으로 인해 우주로 날아갈 수 있죠. 그래서 달과 지구로 날아올 수 있습니다. 그래서 달의 표면에서 헬륨 3를 발견할 수 있죠. 지구에도 헬륨 3가 존재합니다. 하지만 달에 존재하는 헬륨 3보다 양이 많지 않다고 하죠. 지구에 헬륨3는 지구의 대기가 형성될 당시 우주 공간으로 많이 날아가버려 적은 양이남았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3
0
0
소리의 반사에 대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맞습니다. 재질에 따라 반사되는 정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 이는 흡수율과 같은 의미이죠. 반사가 많이 되면 흡수율이 적은것이고, 반사가 적게되면 흡수율이 큰것입니다. 소리는 공기의 진동으로 전달이 되니 소리가 퍼져나가다가 특정 재질을 만났을 때 이 재질이 진동을 전부 완충시킨다면 흡수율이 좋은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13
0
0
빌딩풍은 어떤 현상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높은 건물(아파트, 빌딩 등)에 의해 바람이 거세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자연에서 거대한 암벽 사이나 동굴에서 새어나오는 바람과 같은 현상입니다. 빌딩과 빌딩, 아파트와 아파트 사이는 폭이 좁습니다. 때문에 바람이 이 좁은 틈을 지날 때 협소해지는 공간 때문에 유체의 유속이 빨라져 강한 바람이 불게 됩니다. 이를 빌딩풍이라고 하죠.
학문 /
토목공학
22.09.13
0
0
사람마다 눈동자 색깔이 다른 이유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유전적인 성질입니다. 쌍커풀이 있고 없고, 귓볼이 있고 없고와 같이 눈의 색깔(홍채의 색)이 다른 이유도 유전적인 성질이죠.
학문 /
생물·생명
22.09.13
0
0
바이킹 탈 때 몸이 붕 뜨는 느낌이 나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바이킹이 제일 높은 지점에서 방향을 전환하는데 이 때 바이킹의 속력이 순간적으로 0이되며 아래로 낙하하기 시작합니다. 이 때 관성이 작용하는데, 사람은 바이킹이 높은 지점으로 올라감에 따라 계속 올라가려는 속력을 갖게 됩니다. 바이킹이 방향을 틀어 하강하려해도 우리 몸은 계속 공중으로 올라가려하죠. 그래서 바이킹이 고점을 찍고 내려갈 때 우리 몸은 계속 올라가려고해서 내부 장기가 전부 위로 올라가는 느낌을 받게 됩니다. 그리고 이 때에는 순간적으로 무중력 상태를 경험하게 되서 붕 뜬 기분도 들죠.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꾸욱 부탁드립니다!
학문 /
물리
22.09.13
0
0
469
470
471
472
473
474
475
476
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