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시간에 따라 성장호르몬이 분비되는 양이 왜 다르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생체 내에도 시간이 있습니다. 햇빛을 받고 활동하는 시간이 있었다면 해가 저물고 난 뒤에 몸에서는 잠에 드는 시간이라고 판단하여 성장 호르몬을 분비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시간이 오후 10시부터 오전 2시 사이가 가장 많이 분비되는 시간이라는것을 연구를 통해 알게되었죠.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11
0
0
대부분의 연구소 직원들은 왜?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흰색 가운을 안 입는 연구원들도 많습니다. 일반 사복을 입고 연구를 하시는분들도 많죠. 실험을 할 경우 흰색 가운을 입는 연구원들도 있는데, 이는 두꺼운 흰 가운이 실험에 사용되는 화학물질이나 혈액 세균 등으로부터 보호해주기 때문입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09.11
0
0
기름과 물이 섞이지 않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과 기름은 밀도 차이에 의해 섞이지 않습니다. 밀도라는것은 특정 부피 속에 들어 있는 질량을 의미합니다. 물분자와 물분자간 결합된 간격이 기름 분자와 기름 분자간 결합된 간격보다 훨씬 조밀하죠. 즉 물분자 사이로 기름 분자가 들어갈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물과 기름은 섞이지 않고 기름이 물 위에 뜨는 것입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1
0
0
빙산의 물 위에 떠있는 부분보다 물 속에 잠겨있는 부분이 더 큰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얼음(빙산)이 물에 잠긴 만큼의 부피가 얼음(빙산)이 녹았을 때 물이되는 부피이기 때문입니다. 물은 고체 상태인 얼음이 되면서 부피가 증가합니다. 그리고 증가한 부피만큼 수면 위에 나타나게 되죠. 이는 물의 부력과 평형을 이루는 조건 때문이기도합니다.이해가 가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1
0
0
자외선 안에서는 생명체가 살지 못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자외선은 생명체의 세포를 손상시킬만한 에너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자외선이 강할 경우 자외선 차단제를 발라 피부를 보호하는것이죠. 이러한 이유로 자외선이 강한 환경에 지속적으로 노출시 생명체는 피부 손상, 심하게는 피부 암까지 걸릴 수 있습니다. 그래서 자외선이 강한 환경에 노출된 생명체는 살수 없습니다.참고로 자외선보다 강한것은 높은 진동수의 빛을 의미하고 X선, 감마선이 자외선 등이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1
0
0
중공이 반도체 5나노를 성공했다고 하던데,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각자의 기술로 어떤 목표에 대한 성과를 달성했다면 서로간의 선의의 경쟁이 될 수 있습니다. 최근 삼성에서는 3나노 공정에 이륙하였죠.
학문 /
전기·전자
22.09.11
0
0
손에 불을붙이는 묘기. 어떤 과학적 트릭이 있는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맨손에 알코올을 묻히고 불을 붙이면 뜨겁습니다. 그래서 에탄올을 묻히기전에 물을 묻히거나 장갑을 끼고 그 위에 알코올을 붙이면 뜨거움을 덜 느낄수 있습니다.그리고 알코올에 불을 붙이는건 위험하니 따라하거나 하시지말길 바랍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11
0
0
왜 수도 꼭지에 물줄기는 내려올수록 가늘어지는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수도꼭지까지는 물을 감싸는 관이 존재하기 때문에 조밀하게 물이 내려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수도꼭지를 떠나는 순간 물을 감싸는 관은 사라지게 됩니다. 그러면서 물이 옆으로 조금 넓게 퍼질 수 있습니다. 또한, 물이 중력에 의해 아랫부분의 물이 더 빨리 떨어지는데, 이때 물의 속력이 빨라지면서 물의 흐름이 뚝뚝 끊길 수 있으며 빠른 유속으로 조금은 가늘어지거나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화장실이나 싱크대는 높이가 낮기 때문에 가늘어지는것을 눈으로 확인하기 힘들며 거의 일정한 두께를 이룸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11
0
0
우주가 정말 무중력 상태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중력이 있는 상태가 맞습니다. 하지만 거리가 멀어서 중력이 약하게 작용하고 있으며, 우주에서는 약하지만 중력에 의해 이끌려 낙하하고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무중력 상태라고 보통 말을 하는것이죠. 지구상에서도 비행기를 자유낙하시키며 무중력 체험을 하기도하는데 이러한 상황이 우주에서 일어나고 있는것입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11
0
0
명절 때 버스,자동차가 막히는 것을 한국 도로설계 과학적인 방법으로 더 개선할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과학이 발전하면서 과거보다 현재 교통체증이 상당히 많이 줄어들었습니다. 비용을 생각하지않고 과학적으로 도로를 더욱 많이 건설하면 버스, 자동차가 막히지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이를 실행하고있진 않죠.
학문 /
토목공학
22.09.11
0
0
478
479
480
481
482
483
484
485
4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