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아이스팩 속의 물질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이스팩은 폴리에틸렌글리콜이라는 물질과 물이 혼합되어있는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열용량이 크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아이스팩 속 물질은 열용량이 크며, 어는 점이 -10도 이하로 낮습니다. 그래서 얼리게되면 일반 물을 얼린 얼음보다는 차갑고 열용량이 크다는 특징으로 냉기를 오래 유지할 수 있는것이죠. 이는 다시 재사용할 수 있는 물질이라 얼려서 다시 사용하시면 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09
0
0
환경오염이 이렇게 심각한상태로 계속된다면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앞날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힘듭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겪어보지 못한 기후변화와 경험이기 때문에 예측이 힘들고 또한 다양한 변수들이 작용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앞으로 지구 환경을 생각해서라도 1회용품 사용을 줄이고, 나무를 한그루라도 더 심으며, 재활용하는 습관을 들이는게 좋을듯 합니다.
학문 /
화학
22.09.09
0
0
노을색이 색이 주황색으로 물드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먼저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부터 이해하시면 좋을거같습니다. 하늘이 파란 이유는 대기(공기)에 의해 태양 빛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이때 짧은 파장 영역대의 빛인 파란, 남색 ,보라 빛이 산란이 잘되는 이러한 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입니다.밤에는 산란 되는 빛이 없기 때문에 어둡게 보이죠. 노을은 해질 무렵, 태양이 지평선에 놓일 때 태양 빛이 지구의 두꺼운 대기층을 뚫고 우리눈에 들어온 빛을 보게됩니다. 이때 짧은 파장 영역대의 빛은 우리눈에 도달하기전에 산란되어 흩어져 버리고, 파장이 긴 빛들 빨강, 주황, 노랑 등의 빛은 산란되지않고 두꺼운 대기층을 뚫고 우리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노을이 노랗고 붉게 보이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9
0
0
식물세포와 동물세포의 차이점에 대하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동물세포와 식물세포의 차이점은 식물세포에는 세포벽이 존재하며, 동물 세포에는 세포벽이 없습니다. 식물세포는 직사각형의 모양을 가지고 있지만 동물세포는 명확한 모양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식물 세포에는 하나의 커다란 액포가 있으며, 동물세포에는 작고 많은 액포가 존재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08
0
0
철을 여러번 구부러뜨리면 뜨거워지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마룻바닥에 무릎을 여러번 쓸어버리면 무릎이 아주 뜨겁고 따끔함을 느낄 수 있을 겁니다. 마찬가지로 철을 여러번 구부리는 행위는 철에 마찰을 가하는것이죠. 그러면 마찰열이 발생하며 뜨거워 지는것입니다. 철은 금속으로 원자들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규칙적으로 배열이 되어있습니다. 그러나 철을 구부리면 이러한 배열이 깨지고 뒤섞이며 마찰열이 발생하는것이죠.
학문 /
물리
22.09.08
0
0
물은 전기가 통하는데 순수한 물은 안통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보통 물에는 나트륨 이온, 칼슘 이온, 마그네슘 이온 등의 이온이 함유되어있을 수 있으며, 전해질 역할을 하는 다른 요소가 포함 되어있습니다. 그래서 이 이온들이 전극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가 통하는 것이죠. 그런데 순수한 물은 이러한 전해질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즉, 전류가 흐르지 않죠.
학문 /
전기·전자
22.09.08
0
0
부메랑이 리턴하는 원리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부메랑이 리턴하는것은 기체에서 베르누이 원리 때문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베르누이 원리는 유속이 다른 두 유체가 있을 경우 빠른 속력을 가진 유체의 압력은 작고, 느린 속력의 유체는 압력이 큽니다. 부메랑을 자세히 보시면 비행기의 날개와 같이 한쪽면은 곡면을 그리고 있고 다른 면은 평평한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상태에서 속력을 받게 되면 곡면 쪽 기체의 속력이 빨라져 압력이 낮아지고 평평한 쪽의 유속이 느려 압력이 높아집니다. 즉, 위로 힘을 받아(양력)을 받게 되어 부메랑이 뜰 수 있는 것입니다. 또한 부메랑의 날개의 모양이 휘어 있거나 날개가 여러개가 존재합니다. 이는 부메랑이 날아 가면서 이동 방향에 수직하게 힘을 받게 하기 위함입니다.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힘을 받게 되면 물체는 구심력을 받게되는것이고 원운동을하게 됩니다. 그래서 부메랑이 항상 제자리로 돌아오는 것이죠.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물리
22.09.08
0
0
부모 자식에 혈액형은 어떻게 형성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혈액형 형질이 AA, AO 일경우 A형이며, 부모님이 두분 다 A형이고 나올 수 있는 혈액형은 A, O형입니다.경우의 수로 나누면 간단합니다. 아버지 AO, 어머니 AO 일 경우 이를 조합하면 AA, AO, AO, OO 가 가능합니다. 즉 A형 3, O형 1이죠. 25퍼센트 확률로 O형이 나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버지 AA, 어머니 AO일 경우 AA, AO, AO, AO 가 가능하여 모두 A형이 나옵니다.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고요.또한 아버지 AA, 어머니 AA 일 경우 AA, AA, AA, AA 조합이 가능하며 모두 A형입니다.따라서 아버지, 어머니가 A형일 경우 A형의 자식이 나올 확률이 가장 높죠.
학문 /
생물·생명
22.09.08
0
0
냉동 인간에 관해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원리는 간단합니다. 냉동함으로써 세포의 노화를 정지시키며, 썩지 않고 현재 그대로의 모습을 보존시키기 위해 얼린것이죠. 이를 온전하게 해동할 기술이 미래에 실현이 가능할것으로 판단하여 냉동인간을 보존하는것입니다. 하지만 장담할 수는 없는 일이죠.
학문 /
화학
22.09.08
0
0
대나무는 나무인가요? 풀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대나무는 나무로 분류되지않고 풀로 구분이 됩니다.대나무는 줄기가 목질화 되어있고 여러 해를 살지만 부피생장을 하는 형성층, 나이테가 없습니다. 이름을 대나무로 지었을 뿐 나무와 풀로 구분을 지을 경우에는 풀로 구분이 되죠.
학문 /
생물·생명
22.09.08
0
0
487
488
489
490
491
492
493
494
4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