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나침반이 가르키는 북극점은 정확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나침반은 정확히 북극점을 향해 가르킵니다. 지구도 하나의 거대한 자석이고, 북극점과 남극점이 존재하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1
0
0
태풍의 세기를 올리는 조건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은 태양 에너지를 많이 받는 적도부근의 바다에서 만들어집니다. 적도 부근에서 태양 에너지를 받아 물이 증발하여 상승하며 구름이 다수 만들어집니다. 여름에 적도 부근에서는 이러한 구름이 거대한 저기압 시스템으로 발달하게 되는데 이를 태풍이라고합니다. 태풍은 바람의 흐름을 타 중위도, 고위도까지 올라옵니다. 올라올때 바다 위를 지나면서 오는데 바다로부터 증발한 수증기를 머금고 세력을 키우며 올라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나 다른 나라를 강타하죠. 태풍은 육지내에서 더 이상 수증기를 공급 받지 못하기 때문에 세력이 약해지며 소멸합니다.
학문 /
화학
22.09.01
0
0
11호 태풍 힌남노와 태풍 앙상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앙상블 예측을 한것 같네요. 태풍 앙상블 표현 보단 태풍을 앙상블 모델로 예측을 했다라는 의미같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1
0
0
과일이나 채소 갈변 현상 왜 일어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과일의 껍질을 벗겨낼 경우 폴리페놀산화 효소가 분비되면서 폴리페놀과 산소의 반응을 촉진하고, 폴리페놀 성분들을 퀴논 같은 물질로 산화시킵니다. 이렇게 생긴 퀴논은 활성도가 커서 빠르게 산화되는데, 이 때 갈색 물질을 생성합니다. 이를 갈변이라고하죠. 갈변된 부분을 잘라내고 먹는것이 좋습니다. 갈변된 부분을 먹을시 체내에서 활성산소가 생성됩니다. 활성산소는 피부 노화를 촉진하므로 좋지 않습니다.
학문 /
화학
22.09.01
0
0
비행기는 왜 자력 후진을 못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먼저 비행의 원리를 이해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비행을 하는데 크게 두 가지 원리가 있습니다. 첫째, 양력을 얻는 원리가 있으며 둘째론 작용-반작용이 있습니다.양력을 얻는 원리는 압력차에 의한 힘에 의한 것입니다. 비행체의 날개에서 주로 얻게되는데, 날개의 윗부분은 곡면으로, 아랫부분은 평평한 면으로 하여 윗부분에서 공기의 흐름, 유속을 빠르게 해줌으로써 압력을 낮추는 것입니다. 그러면 날개의 아랫부분에서 윗부분으로 힘을 받게되어 뜰 수 있습니다.작용-반작용은 프로펠러에서 공기들을 지면으로 밀어내는 힘으로 비행체가 뜨는것을 의미합니다.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공기를 지면으로 수직하게 튕겨내면서 비행체가 뜨는것이죠.보통의 비행기는 양력을 얻어 날아갑니다. 양력을 얻기위해서는 사전에 추진력이 필요하고 앞으로 나아가는 힘으로부터 유체의 흐름을 만들어 날개에서 양력을 얻는것이죠. 그런데 비행기를 후진시키려면 앞으로 운행하는것을 정지했다가 뒤로 추진을 얻어 이동해야합니다. 만약 비행기를 공중에서 정지시킨다면 양력이 사라져 그대로 추락해버리죠. 그래서 비행기의 원리에 의해 후진을 할 수 없습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09.01
0
0
우리 먹거리에 빠질 수 없는 소금. 이 소금을 만드는 과학적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소금은 바다물로부터 얻을 수 있습니다. 바다의 염분은 바다 속 암석이나 광물로부터 발생합니다. 바다 속 암석, 광물에 함유된 나트륨이 바닷물에 용해되며 바다의 염분 농도가 올라가는 것이죠. 이 바닷물을 증발시키면 소금 알갱이가 남습니다. 염전에서도 바닷물을 증발시켜 소금을 얻는것이죠.
학문 /
화학
22.09.01
0
0
생명체가 절대온도에 닿으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절대온도라는것은 화씨, 섭씨와 같은 온도의 단위입니다. 섭씨 온도에 273도를 더해준 값이 절대온도이죠. 절대 0도는 모든 원자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의 온도를 의미하는데 섭씨로 영하 273도 정도입니다. 영하 273도에 물체가 닿는다고해서 즉시 얼어버리는것은 아닙니다. 영하 273도짜리 물체의 크기와 얼리고 싶은 물체의 크기도 비교 해야 하고 비열도 비교해야합니다. 그래서 상황에 따라 영하 273도가 온도가 높아져 따뜻해질수도있죠.
학문 /
화학
22.09.01
0
0
천둥 번개 가 같이 안일어날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소리가 안 날 때도 있습니다. 너무 먼거리에서 친 번개의 경우 소리가 사방으로 흩어져 세기가 약해지기 때문에 들리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1
0
0
반딧불이의 발광 원리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반딧불이는 몸에서 루시페린이라는 물질을 내뿜는데 이 루시페린이 공기중 산소와 만나 화학반응을 하며 빛을 냅니다. 그리고 반딧불이는 공기가 맑은 지역에 서식하고 있어서 도심에서 보기가 힘든게 아쉬운 점입니다. 논이 많은 곳이나 숲이 우거진곳, 산이 많은곳에 가야 볼 수 있게되었습니다. 반딧불의 밝기는 3㏓(럭스) 정도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집의 밝기는 300~400㏓ 정도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01
0
0
지구가 거대한 자석의 성질을 가진다는 것을 어떻게 알아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나침판을 이용해 테스트 해보았습니다. 나침판(자석의 한 극)을 따라 한방향을 따라간 결과 북극점이 나왔고, 다른 방향을 따라간 결과 남극점이 나왔습니다. 지구 어느 위치에서든 실험해보아도 같은 결과를 얻었으며, 이는 지구가 하나의 큰 자석이라고 이야기할 수 있는 결과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01
0
0
523
524
525
526
527
528
529
530
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