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휴대폰에서 걸음수 올라가는 만보기 원리가 무엇인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스마트폰에 사용될 수 있는 센서의 종류는 중력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중력센서는 중력을 측정하여 스마트폰의 방향을 인식하는 역할을 하며, 가속도 센서는 가속도를 측정하여 핸드폰의 이동속도, 충격 등을 감지하며, 자이로센서는 스마트폰의 회전상태와 기울기 등을 인식합니다. 걸음 수를 세는 것은 특정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아닌 이러한 센서들을 조합하여 계산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8.28
0
0
코가 막히면 왜 귀가 먹먹해지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얼굴의 신경들은 대부분 연결이 되어있습니다. 슬플때 눈물 흘리기전 꼬끝이 찡한것도, 코가 막히면서 귀가 먹먹해지는것도 귀가 먹먹할 때 코를 막고 힘을 줘 먹먹함을 푸는것도 전부 신경들이 연결되어있기에 일어나는 현상들입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08.28
0
0
파동에서 주기또한 변하지 않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이상적인 상황(마찰이 없는)에서 파동의 진동수와 주기는 변하지 않습니다. 또한 중첩은 두 개 이상의 파동이 만나는 것으로 각각의 진동수( 주기)를 잃는 것이 아닌 보존 되는 것이죠. 중첩된 파동은 각각의 주기를 유지한체 두 개 이상의 파동을 더하여 표현합니다.
학문 /
물리
22.08.28
0
0
물속에서 불로 절단하는 작업이 가능한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불을 붙이기 위해서는 열(불)과 산소와 연료(종이, 나무, 가스 등)가 있어야합니다. 물 안에서 순간적으로 불이 붙을 수 있는 이유는 불을 붙이기 위한 요소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산소와 가스를 내뿜고 여기에 강한 열을 가하면 물속에서도 불을 붙일 수 있습니다. 열은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불이 아니더라도 강한 빛이나 가열된 수증기등을 통해 제공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8.28
0
0
물과 기름을 섞을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과 기름은 밀도 차이에 의해 섞이지 않습니다. 밀도라는것은 특정 부피 속에 들어 있는 질량을 의미합니다. 물분자와 물분자간 결합된 간격이 기름 분자와 기름 분자간 결합된 간격보다 훨씬 조밀하죠. 즉 물분자 사이로 기름 분자가 들어갈 수가 없습니다.
학문 /
화학
22.08.28
0
0
토네이도가 생기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토네이도는 기체나 유체의 흐름 중 난류에 의해 생길 수 있습니다. 보통 우리 주변에서도 난류가 흔히 발생하지만 상승기류와 강한 바람을 만나지 않는 이상 토네이도가 쉽게 생기지 않습니다. 미국에서는 강한 바람이 부는 상황에서 난류가 발생해 상승기류를 거대한 토네이도가 자주 생기죠. 우리나라는 상승기류는 있지만 바람이 강하지 않아 토네이도가 거의 발생 안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8
0
0
목욕탕에서 밑에쪽에 수압이 더 강하게 생기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수압이 세지는 이유는 중력에 의한 것입니다. 우리가 무거운 짐을 들거나 운동기구를 들 때 그 무게를 들기 위해 힘을 써야하죠. 이것과 마찬가지로 물속에 잠수하게되면 우리 머리위로 쌓여진 물을 우리의 온 몸으로 드는것이라고 생각하면됩니다. 이를 압력이라고하죠. 그래서 깊은 물에 갈수록 더 많은 물을 견뎌야 하므로 압력이 세지는 것입니다.
학문 /
물리
22.08.28
0
0
플라스틱을 만드는 소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고분자 화합물이며 원료는 석유에서부터 얻을 수 있습니다. 유한한 양은 아닙니다. 또한 플라스틱은 고분자 화합물이기에 자연분해되기 까지 오랜시간이 걸리는 화합물입니다.
학문 /
화학공학
22.08.28
0
0
오른손으로 가위질과 왼손으로 가위질이 달라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가위는 양손 모두 잘 사용되게끔 만들었습니다. 차별을 두지않았죠. 단지 왼손이 평소 사용되지 않은 손이라면 왼손으로 가위질 하시는게 서툴어서 그렇게 느끼실 수 있습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08.28
0
0
삶은 달걀과 날 달걀을 회전 시켰을때 날달걀이 쓰러지는 이유는 뭘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무게중심 때문입니다. 삶은 달걀은 무게중심이 위에있지만 날 달걀은 아래쪽에 위치합니다. 또한 날 달걀은 내부가 액체이기 때문에 껍질과 내부 달걀이 엇갈려 회전하기 잘 돌지 않습니다. 하지만 돌아가기 시작 한 뒤에 강제로 멈춰주고 냅두면 다시 돌아갑니다. 내부에서 액체가 계속 돌고 있기 때문이죠. 삶은 달걀은 강제로 멈춰주고 냅둬도 여전히 멈춰있죠.
학문 /
생물·생명
22.08.28
0
0
541
542
543
544
545
546
547
548
5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