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근육통은 왜 시간이 지나고 오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운동 후 하루나 이틀 뒤에 생기는 근육통을 지연성 근통증이라고합니다. 운동으로 인해 근육이 찢어지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찢어진 자리에 새로운 근섬유가 이를 메꾸기 시작하죠. 그러면서 통증이 유발되기 시작합니다. 보통 하루나 이틀뒤에 생긴 이유가 이러한 이유입니다.
학문 /
물리
22.08.22
0
0
인터스텔라의 엔딩 장면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블랙홀로 빨려들어가면서 다른차원으로 가는 이야기는 과학적으로 입증되지않은 장면입니다. 블랙홀로 빨려들어가기 전까지는 어느정도 과학적 기반으로하여 영화를 제작하였지만, 영화다 보니 블랙홀로 빨려들어간 뒤부터는 소설을 가미했다고 보셔야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2
0
0
24절기가 요즘 안맞는 이유가 기후가 바껴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과거보다는 기후가 많이 바뀌었기 때문에 조금 빠르거나 느리게 와닿는것입니다. 최근들어 가을과 봄이 짧아지고 비가 짧은시간에 많이 내리거나 하는 이유도 마찬가지의 이유입니다.
학문 /
화학
22.08.22
0
0
백두산에 지진이 일어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백두산은 활화산으로 분류되고있습니다. 지진이 발생할 순있지만, 꼭 지진이 난다고해서 화산이 폭발하는것은 아닙니다. 때문에 지진과 같은 전조증상이 나타나면 연구원들이 화산을 조사하여 대피령을 내리거나 위험 경보를 울릴것입니다. 백두산이 폭발하면 국내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화산 폭발시, 문이나 창문을 닫고, 물을 묻힌 수건을 문의 빈틈이나 환기구를 막아 둬야합니다. 외부활동을 최소화 해야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2
0
0
공기총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공기압을 이용한 원리입니다. 쇠구슬을 넣고 강한 공기압력을 주입시킨뒤 쇠구슬을 밀어내게 함으로써 발사되는 원리입니다. 주사기를 생각하시면됩니다. 주사기의 입구를 막고 강하게 주사기를 밀어넣으면 순간적으로 강한 공기압력이 형성됩니다. 그리고 손을 떼면 스스로 주사기의 피스톤이 밀려나죠. 이러한 원리로 공기총을 발사한다고 생각하시면됩니다.
학문 /
물리
22.08.22
0
1
콩알탄 속 화약 점화시키면 위력이 큰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콩알탄 화약이랑 폭발물 화약의 종류도 다를 뿐더라 양도 다릅니다. 콩알탄은 위험하긴하지만 장난감의 용도로 출시됐기에 폭발의 정도가 큰 부상을 입지 않을 정도로 조절을 해두었습니다. 화약을 모아서 점화시킨다면 화력이 세지는것은 당연합니다.
학문 /
화학
22.08.22
0
0
탁상시계나 벽걸이시계의 온도계는 어떻게 측정할수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적외선 열감지 온도계를 사용합니다. 내부에는 빛 센서가 들어있습니다. 방안에 온도에 따라 적외선 파장이 결정되는데 적외선 열감지 온도계가 이 빛의 파장을 감지하여 온도를 판단하는 것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8.22
0
1
전선 피복까서 구리분분을 물체들에게 갖다대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돼지코는 +,- 전기적 극성을 가지고있습니다. 피복을 벗겨내 +,- 구리선 자체가 닿는것만으로도 합선이 일어나 스파크나 화재의 위험이 생길 수있습니다. 또한 도체나 부도체에 가져다 되면 전기적 감전이나 화재가 발생합니다. 굉장히 위험한 일이니 상상만 하시길 바랍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08.22
0
0
스타트랙의 영화처럼 순간이동이 궁금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흔히 순간이동이라는 기술을 구현하기위해 연구가 진행되기도합니다. 아주 황당한 것은 아니지만, 윤리적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아직 완전히 실현 가능한 기술은 아닙니다.만약 질문자님의 입자, 원자, 분자 구조를 파악한 뒤 이를 분해시켜버리고 지구 반대편에서 파악된 입자, 원자, 분자 구조대로 질문자님을 만들었다고 치면 순간이동이 될것입니다. 하지만, 이것이 정말 질문자님이라고 할수있을지요.순간이동의 또다른 방법은 웜홀이라는 개념을 쓸수있습니다. 웜홀은 멀리 떨어진 두 공간을 다른 차원으로 연결시켜 순간이동이 가능한 개념입니다. 앞선 경우보다 윤리적 문제가 적지만 실현화는 더욱 어렵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22
0
0
요즘 황사가 거의 없는 이유가 궁금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황사가 줄어들진 않았습니다. 황사는 겨울을 지나 봄철에 가장 극심한데, 우리가 코로나로인해 마스크를 쓰고다녀서 황사의 영향을 크게 인지하지 못해서 줄어든거처럼 느끼는것 뿐입니다. 내년 봄철에 조금 인지해서 보시면 체감하실수 있을 것입니다.
학문 /
화학
22.08.22
0
0
559
560
561
562
563
564
565
566
5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