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우리나라의 물을 1~4급수로 나누고 있는데 과학적 기준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의 등급을 나누는 기준은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 산성도(pH), 용존산소량(DO),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이며, 세부적으로 카드뮴, 비소, 수은 등의 함량도 등급의 기준이 됩니다.바다나 민물등에 적용되는 기준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7.13
0
0
새들의 개체수가 점점 감소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개체수의 감소는 여러 요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서식지가 파괴되어 개체수가 줄 수 있으며, 기후의 변화로 인해 특정 종이 이주하지 못하면서 환경에 적응을 못해 개체수가 줄수도 있습니다. 또한, 외래종의 유입 또는 생태계의 변화가 생겨나면서 개체수가 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유전적인 변화로 인해 개체수가 줄 수도 있죠.
학문 /
생물·생명
23.07.13
0
0
화산에 쓰레기를 버리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화산에 쓰레기를 버리는 것이나 쓰레기를 소각하여 처리하는 것이나 같습니다. 마찬가지로 유해물질이 배출 될 수 있고 잔여물이 남기는 똑같죠.화산까지 쓰레기를 버리는 것이 비효율 적일 수 있습니다. 화산까지 운반하는데 드는 비용과 인력까지 고려하면 쓰레기 소각, 매각장을 이용하는 것보다 더 나은 이점이 없기 때문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3
0
0
선풍기랑 환풍기랑 바람이 반대로 부는데요 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원리는 동일합니다. 다만 환풍기의 경우 실외에서 실내로 바람을 유입시키는 것과, 실내에서 실외로 바람을 유출시키는 것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 이는 필요나 경우에 따라 설치하는 방식의 차이입니다.
학문 /
화학
23.07.12
0
0
드라이 아이스를 만졌을때 벌어지는 과학적 현상이 화상인지 동상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엄밀히 따지면 동상입니다. 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가 고체상태로 존재하는것입니다. 마치 물이 얼어있는 상태와 같습니다. 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가 고체가 되는점인 영하 78도 이하의 온도로 존재합니다. 즉, 만지면 굉장히 차가운 드라이아이스에 피부에 있는 열을 빼앗겨 동상을 입게되죠. 그런데, 이로인한 흉터는 피부조직을 파괴하므로 마치 화상과 같은 통증과 상처를 남기기 때문에 화상이라고 표현하죠.
학문 /
화학
23.07.12
0
0
중력이 물체에 적용되는 것에 대한 속도가 전해질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중력이 전달되는 속력은 빛의 속력과 동일합니다. 즉 중력이 작용하는 속력은 빛의 속도와 같죠.참고로, 중력은 아인슈타인에 의해 기하적으로 해석되었는데, 시공간의 휘어짐으로 표현하였죠. 그래서 지구와 같은 거대한 질량체는 시공간을 왜곡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가 점프를 하여도 지구 중심방향으로 이끌리게 된다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학문 /
물리
23.07.12
0
0
가스 행성인 목성의 중심으로 들어가면 아무것도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목성의 중심부근에는 고체로된 핵이 존재합니다. 지구와 달리 구성 성분이 가스이고 크기가 커 대기층이 두꺼울 뿐 내부에는 고체로 되어있는 것은 같습니다.지구에서도 대기가 존재하는것처럼 목성에도 대기가 존재하는데, 두껍게 존재합니다. 이유는 중력이 기체를 붙잡아 두기 때문이죠. 중력이란것은 만유인력으로 질량을 가진 두 물체는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작용하는것입니다. 그리고 목성이나 지구와 같이 거대한 질량체는 강한 만유인력(중력)을 행사하죠. 만유인력은 질량이 클수록 그 힘이 강해집니다. 만유인력 때문에 우리가 지구에 붙어있고 제자리에서 점프해도 다시 땅으로 떨어지는것입니다. 목성은 지구보다 훨씬 중력이 크며, 질량도 훨씬 큽니다. 그래서 지구보다 더 큰 중력을 행사하고 있고, 이로인해 더욱 두꺼운 기체층을 가질 수 있는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2
0
0
우주과학)목성에 생명체가 있을 수 있다고 추측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화성에 생명체가 살고 있다는 연구와 탐사 결과는 아직까지 없습니다. 생명체는 발견하지 못했지만 생명체의 가능성을 부여하는 유기물질을 발견했다는 탐사 결과는 있습니다. 그렇지만 아직 미량이고 생명체가 있을 가능성이 높지 않아 보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2
0
0
과도하게 무거운중량을 리프팅할시 기절하는경우를 종종 봤는데 왜그런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순간적으로 힘을 사용하게 되면 혈압이 높아져 혈액과 산소의 공급이 중단되 기절할 수 있습니다.
학문 /
물리
23.07.12
0
0
달력 날자가 달마다 틀린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달마다 일수가 다른 이유는 역사적인 이유 때문입니다. 과거 로마의 황제인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홀수달은 31일로 짝수달은 30일로 정의하였습니다. 그런데 일년은 365일이기 때문에 마지막 12월의 달은 29일까지로 약속하였습니다. 또한, 일년은 거의 정확하게 365.25일로 4년에 한번씩 하루가 남게됩니다. 그래서 4년마다 마지막달에 하루를 추가해 12월 30일까지로 약속하였습니다.당시 날짜로 11월에 달력을 정의하였는데, 그 당시 율리우스는 새해가 되면서 집정관 취임을 앞두고 있던 상황이었습니다. 이왕 날짜를 정의할 겸 1월을 빨리 앞당겨 정의해버리기로 작정하여 11월이 1월이되고, 12월이 2월이 되면서 1월은 31일, 2월은 29일 까지가 되어버렸습니다. 물론 이렇게 되면 8월의 달은 30일까지입니다. 하지만 율리우스 뒤를 이은 아우구스투스 옥타비아누스는 8월에 전쟁에서 승리한 기념으로 2월의 하루를 빼 8월을 31까지 늘려 2월은 28일이 되어버렸습니다.이러한 이유로 달마다 일수가 다릅니다.
학문 /
화학
23.07.12
0
0
82
83
84
85
86
87
88
89
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