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조선시대 때 모자의 종류는 어떤게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모자의 종류를 보면, 관(冠)·모(帽)·입(笠)·건(巾) 등으로 분류하는데, 신분과 의식에 따라 차등이 있다. 관·모는 중국제를 그대로 수용한 것으로 공식석상에서 착용한다. 입은 흑립·초립·전립·평량자·벙거지 등이 전통 양식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으며, 건도 망건·탕건·치건·두건·청건·평정건·감투 등이 다양하게 쓰였다.
학문 /
역사
23.09.29
0
0
제사를 지낼때 절을 세번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반 제사때와는 달리고사를 지낼때에는 풍요와 행운의 신에게절을 하기에 3번 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학문 /
역사
23.09.29
0
0
추식때 음식 상차림에 대해 알고싶어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추석에는 밥 대신 송편을 놓으며,복숭아는 요사스런 기운을 몰아내고 귀신을 쫓는 힘이 있다고 전해져서 복숭아는제사에 쓰지 않습니다.
학문 /
역사
23.09.28
0
0
추석명절은 몇대조상까지 차례지내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차례의 범위는 제주(제사를 주도하는 이)의 증조할아버지까지이며 매년 명절 아침에 집안의 가장 손위의 손자가 집에서 지내야 한다.
학문 /
역사
23.09.28
0
0
우리나라도 황제라는 칭호를 사용한적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897년(광무 1) 10월 12일 고종은 환구단에서 황제 즉위식을 거행함으로써 황제에 올랐습니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역사상 처음으로 대내외적으로 공인받는 황제의 나라가 되었고, 황제국의 주권자는 ‘황제’였으므로 ‘왕’이라고 하는 용어는 더 이상 최고 권력자로 사용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9.28
0
0
전통놀이인 화투는 어떻게 유래되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6세기 후반, 일본이 포르투갈과 대대적으로 무역을 시작한 시절 포르투갈 선교사가 가져온 라틴식 플레잉 카드가 있었는데, 도박성 때문에 금지령이 떨어진 이후 규제를 피하기 위해 완전 다른 그림들을 그려서 사용한 것이 지금의 화투이다.
학문 /
역사
23.09.28
0
0
제나나 차례상에 비닐없는 생선은 안올린다는데 왜그런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 조상들은 비늘 없는 생선은 제사상에 올리지 말라고 한것은 비늘없는 생선은 부정한 음식이라는 생각 때문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9.28
0
0
경주안압지야경이 좋다던데 안압지는 무엇을 하는곳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동궁과 월지는 왕세자가 머무는 곳이지만 그 풍광이 좋아 신라 귀족들의 연회, 외국 사신의 접대와 용왕에게 제사 지내는 용도 등 다양하게 활용되었다고 한다.
학문 /
역사
23.09.28
0
0
추석차례지내고 석굴암가기로했는데 석굴암은 어떤의미가 있는곳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석굴암은 석가모니가 정각 즉, 깨달음을 얻은 순간을 가시적인 건축과 조각으로 재현한 것입니다. 조각에 있어서도 인위적인 기교나 부자연스러움 없이 생명력이 넘치며 원숙한 조법과 탁월한 예술성이 돋보이는게 특징입니다. 절대적인 경지인 정각을 통해 인간 석가모니는 형이상학적 존재인 석가여래가 되고, 속세는 법계라는 이상향이 된다고 표현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9.28
0
0
역사관련 책보다가 경주 왕무덤은왜 이렇게 큰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왕, 황제의 무덤들이 남아있다는데, 왕릉을 거대하게건설함으로써 왕권을 나타내고자 했던 삼국시대의 고구려와 백제, 신라, 그리고 여러 가야들의 무덤이 각 국가의 수도 인근에 남아 있다.
학문 /
역사
23.09.28
0
0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