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파시즘이란 무엇인가요? 오늘날에도 다시 등장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탈리아 무솔리니에 처음등장한 말로서국가의 권위나 단결등으로 현대는 불리우고 있습니다.현대정치의 비민주적 강권적 독재적 성겨을 띠는 정치운동 입니다.오늘날 자유 민주주의 국가에선 등장하기가 힘들다고 판단 됩니다.
학문 /
역사
22.12.08
0
0
삼국시대 고구려벽화 문양등에는 삼족오가 많이보이는데요 삼족오가 상징하는 의미는 무엇입니까?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동양신화에 태양속에 산다는 까마귀로 태양을 의미하기도 합니다.태양안에 살면서 인간과 천상의신과 연결해주는 새라고 합니다.신성한 길조라는 의미가 큽니다.
학문 /
미술
22.12.08
0
0
파락호의 어원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쉽게 말해서 난봉꾼이란 우리말입니다.집안이 좋은 세력이나 가문의 자손으로서 재산을 몽땅 털어 먹는 사람을 말합니다.
학문 /
음악
22.12.08
0
0
정의의 여신상과 우리나라 정의의여신상의 차이를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단 눈을 감거나 가린 이유는 누구인지 몰라야 법에 공정성이 확립됩니다.법의 공평성으로 인하여 평등해지기 때문입니다.우리나라는 칼대신 법전을 들고 있으며 세계 곳곳에 있는 정 의의 여신상은 안대가 없는것 역시 많다고 합니다.눈을 뜬 한국적 정의의 여신상은 똑바로 보아라 이런 뜻이 담겨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학문 /
미술
22.12.08
0
0
과거 시대에도 보험이라는 것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그 이전은 몰라도 계라는게 있었다고 합니다.지금도 친목계라는 것이 있습니다.비록 큰 돈은 아니지만 상부상조하는 것이 아니었을까 생각 됩니다.보험이다 라고는 정의 할 수 없으나 성격은 비슷하지 않나 판단됩니다.
학문 /
역사
22.12.08
0
0
뮤지컬 영화 영웅이 개봉한다네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안중근 의사는 독립운동가로 이토히로부미를 사살하고 순국 하신 분으로서 우리 민족의 영웅입니다.우리는 이러한 분을 존경하고 배워야 국가를 지킬 수 있습니다.
학문 /
음악
22.12.08
0
0
까치 까마귀가 얼어죽었다 라고 표현하는데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대한이 소한집에 놀러갔다가 얼어 죽었다는 말이있습니다.한겨울 추운 아침 어릴적 부모님이 말씀하신건데 일어나라고 깨우는 말씀이 아닌가 싶습니다.춥다고 계속 이불속에 있지말고 활동해라밖에 나가면 까마귀가 추워서 모두 죽어 있으니 구경해라~ 이런 뜻 아닐까 싶네요.거짓말이지만 어린 나이에 궁금하고 호기심으로 강가나 들판을 가 보았으나 까마귀는 한 마리도 없었던 기억이 납니다.아무리 추워도 까마귄 날아 다녔습니다.
학문 /
역사
22.12.08
0
0
급할수록 돌아가라 라는 말은?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질문자님의 질문에 공감합니다.사람이 살게 되면 아주 자주 급한 일이 발생합니다.대분분 사람들은 안절부절 못하며 정신없이 대처하다보면 실수나 또는 일을 잘 못 처리 할때가 많습니다.위기 관리가 안되는 것이죠차분히 천천히 일을 처리 하는것이 결국은 빠른길이고 현명한 길 입니다.
학문 /
역사
22.12.08
0
0
신분제와 계급사회, 결국 성리학에서 비롯된걸까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조선 시대 부터 신분제가 있었다고 합니다.인간이 살면서 지휘계층이 없을 수는 없는것 이라 생각 됩니다.다만 얼마나 인간답게 살수 있는가에 대하여 판가름됩니다.과거에 변화하지 않는 신분제도가 있었다면 현대에는 능력만 있다면 신분이 상승할 수 있는 시대 입니다.개개인의 능력을 키워야 당당한 인생이 되지 않을까 생각 됩니다
학문 /
역사
22.12.08
0
0
인문학 강사들은 말을 정말 잘하는데 그들은 늘 재미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간은 누구나 힘이듭니다.인문학 강사도 하나의 직업으로 지칠때가 많을 것 입니다.그들도 스트레스가 많이 있을 것입니다.빡빡한 스케쥴등 아무도 모르는 일로 인한 힘든일이 없을일 없겠지요.그러나 그들은 일반인 보다 사고의 관념이 깊어 힘든 일이 생기면 빨리 빠져 나오리가 생각답니다.질문자님 화이팅 하세요
학문 /
철학
22.12.08
0
0
523
524
525
526
527
528
529
530
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