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갈등이라는 단어의 어원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질문자님의 질문처럼 갈등이 가끔 궁금하신가 봅니다.葛藤 한문으로 갈등 칡과 등나무 를 말합니다.이 두나무는 감으며 크는식물입니다.그런데 서로 반대로 감기 때문에 서로 붙으면 절대 풀리기가 힘이 듭니다.그래서 갈등이란 말이 나왔습니다.서로의 생각과 고집등이 워낙 강하여 풀수 없씀을 의미합니다
학문 /
역사
22.11.15
0
0
한글이 본격적으로 사용되어진 시기는 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질문자님의 질문에 간단히 답변 드리겠습니딛.1446년 훈민정음 반포 되었습니다.1443년에 세종대왕께서 창제 하셨습니다.1894년 갑오개혁으로 드디어 한국의 공식적인 나라 글자가 되었습니다.1910년 한글 학자 주시경이 한글이라는 이름을 사용했습니다.1504년 연산군 10년에 한글박해를 하였고16세기때 한글 문학이 꽃을 피움으로서 본격적으로사용하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학문 /
역사
22.11.15
0
0
엊그제 지인의 부모님 타계로 상가집을 방문했는데..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흰색옷을 입고 상가집에 사람들이 있습니다. 예전엔 국화꽃을 병원에 많이가져 갔다 합니다.쾌유의 상징이라고 합니다.언제 부턴가 장례식장에서 쓰였는데 이또한 시대에 따라 꽃말도 바뀌었다 합니다.그래도 요즘 시대에 따라가야 하는게 아닌가 생각 됩니다.흰 국화는 고인이 일생동안 성실함과 그동안 행적에 감사의 뜻이 포함되어 있다고도 합니다.상대방을 애도하는 뜻이 깃들여 있습니다.간단하게 답변드려 보았습니다.
학문 /
역사
22.11.15
0
0
내년 2월에 신규 분양 아파트로 입주할 예정인데..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저는 인장업을 하기 때문에 역술인 철학인 무속인을 많이 만납니다.그러나 그들역시 우리와 똑같은 사람입니다.다만 감정이 깊습니다.모든것은 내안에 있고 마음 먹기에 달렸습니다.일체유심조 너무너무 축하드립니다.미신같은거 믿지마시고 행복하게 사세요꿀팁은 식용 개고기 먹어서 운이 안좋으면 더 드셔보세요 건강해지고 일도 잘풀리는 경험도 있으니모든것은 마음먹기 달린거 절대 잊지마시길 바랍니다.다시한번 아파트 입주 축하드립니다
학문 /
역사
22.11.15
0
0
성씨 '류'는 완전히 안 쓰여지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주 간단히 설명 드리겠습니다.저는 도장을 연구하고 새기는 일을 합니다.변함없이 柳 자 성을 쓰고 있습니다.유씨와 류씨는 성이 다릅니다.복잡하게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학문 /
역사
22.11.15
0
0
우리 사회는 왜 수많은 외래어사용을 막지 못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질문자 님은 우리 말을 사랑하시는분이 틀림없는 것 같습니다.우리나라가 국제화 시대가 되면서 자유 시장경제를 통하여 외래문화가 일찍이 들어왔습니다.그래서 우리말 살리기 운동도 하였지만 쏟아지는 외래문화에 희석되어 버렸습니다.이제는 한국 가수가 부르는 노래도 외래어가 넘쳐 흐릅니다.외래어가 난무하는 이유는 마땅하게 대처할만한게 없고 전문적이 느낌이 들거나 더 강하게 하기 위함이라고 합니다.우리나라 정부와 학자들 정신 차려야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외국인은 우리말을 배우고 싶어 하는데 말입니다.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학문 /
역사
22.11.15
0
0
한국인은 왜 소파를 두고 바닥에 앉을까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국인의 문화는 좌식문화 입니다.태어날때 부터 어른들은 바닥에서 태어 났고 바닥에서 살아왔습니다.그래서 자연스럽게 바닥에서 눕고 뒹굴고 하는 것입니다.쿠션이 있는곳은 허리가 아프기도 합니다.쇼파가 있어도 앉았는 이유는 TV높이가 안맞는다든지. 소파를 등받이로 사용한다든지 여러모로 앉는것보다 편리한점이 있기 때문입니다.또는 앉는것 보다 눕는데 소파가 편리 한점도 있습니다이 모든 것은 오랜전통에 의하여 몸이 기억하는것을 한번에 바꿀수 없는 생활 습관 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2.11.15
0
0
하고싶은 일을 하기엔 좀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질문자 님의 답변을 드리자면 천직은 있습니다.그러나 천직이라는건 기회와 운도 있어야 합니다.노력은 기본이구요,예술은 돈이 되기가 힘듭니다.그래서 전업작가들이 힘들어 하는 이유 입니다.그러나 좋아하는 일을 한우물을 파다보면 천직이 되는 것이고 살다보면 기회 또한 오는 것입니다.자기일을 사랑하면서 산다는것이 천직이라 할 수 있습니다.참 어려운 일입니다.질문자님 무엇이든 열심히 화이팅 하십시요
학문 /
음악
22.11.14
0
0
사찰은 왜 대부분 산에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시대는 숭불정책으르 절이 도심근처와 산에 있었습니다.왕족은 귀족은 도심가까이에 있는 절에 다니고 가끔은 바람쐬듯 산으로 갔다고 합니다.그런데 조선시대에는 숭유정책으로 유교를 숭배했으니 정치적으로 탄압받던 불교가 산속으로 숨어 들어갔습니다.그래서 깊은 산속에 절이 있게 된것밉니다.절도역시 도심에 있어야 한다고 합니다그래서 가끔은 도심에도 절이 있어 불자들이 많이 다니게 됩니다.이는 교회보다 절이 도심에 극히 적기때문이기도 합니다.질문자님의 답변에 도움이 되셨으리라 믿습니다.
학문 /
역사
22.11.14
0
0
운동선수들의 등에는 번호가 있는데 그 유례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역사적으로 메이저 리그의 뉴욕 양키스가 처음으로1929년부터 달기 시작해 점차 다른종목으로 번져 갔다고 합니다.등번호는 배번이라고도 하는데 선수를 분류시킬때심판이 이름을 모르기때문에 번호나 수신호로 쓰며 크게쓴 번호는 선수를 찾기가 쉽습니다.번호만 가지고도 그 선수의 특징이나 상징이되면서중요한 의미가 되었습니다.질문자의 질문에 알기 쉽게 답변 드렸습니다.
학문 /
역사
22.11.14
0
0
577
578
579
580
581
582
583
584
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