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6.25전쟁 발발당시 한강다리 폭발이 실제 북의 남하속도를 줄이는데 효과가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질문자님의 질문처럼 1950 년 한강인도교와 철교 폭파가 북한의 남하속도 지연은 있었다고 답변할 수 있습니다.그 이유는 폭파가 전략적으로 이견이없다는 점과 소련고문단도 개전후 한강교 조기확보를 하지 못한것은 실책이라 단정하였습니다.그러나 이승만의 피난후 한강교를 폭파하고 서울시민을은 이승만이 서울에 있는 것으로 알고 있었으며 서울 이북의 아군들과 미군사 고문단도 한강이북에 고립되었던점 수많은 서울시민이 고립되어 고초를 겪었던 점등이 많은 문제거리로 갑론을박 거리가 되었습니다.전쟁이란 어떤한 작전도 희생없이 치루기란 불가능 한 일입니다.역사는 판단하기에 따라 다릅니다.우리는 한국전쟁 같은 전쟁이 다시는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학문 /
역사
22.11.14
0
0
허리가 휜다는 표현의 어원은?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감당하기 어려운 일을 하다 힘에 부치다는 뜻으로 우리몸을 지탱하는 중추적 기관은 허리입니다.허리가 모든 중심역활을 합니다.무거운 것을 들때 허리에 힘이 없으면 들수가 없는 것처럼 우리의 삶에서 힘에 부칠때 허리가 휘어지도록 이라는 단어를 많이 씁니다.하나의 비유적 표현 입니다.아버지 어머니가 허리가 휘도록그러니까 온힘을 다하여 죽도록 일을하셔서 자식들을 키워냅니다.비교적 육체적 노동을 많이 하던 시절에 전해온 이야기 입니다질문에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학문 /
역사
22.11.14
0
0
단풍의 색이 왜 나무마다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단풍은 엽록소로 인하여 나뭇잎이 변합니다.계절의 온도에 따라 붉고 노랗게 단풍이 드는 것입니다.사람마다 개성이 있고 인종마다 피부색이 다르듯 나무 또한 품종마다 가지고 있는 특성이 다릅니다.그래서 단풍 나무같이 색이 진하게 변하지는 않지만 나무마다 색소의 종류와 함유량이 달라 고유의 색으로 변하며 단풍이 들고 지는 것이라 합니다.단풍이 절정으로 치닫고 이제는 바람에 하염 없이 지고 있습니다.
학문 /
미술
22.11.14
0
0
아바타2. 영화가 곳 개봉될듯합니다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바타속의 메타버스는 과연 어떠할까요?답변자로서도 아직 보질 못해 궁금하기만 합니다.미국의 대기업 에플도 사명을 메타로 바꾸었습니다.급변하는 세상속에서 메타버스에 올라 타고 싶습니다.노아의 방주에서 살아남아 점점 인간들이 힘든세상에 대비를 해야 한다고 생각했던 와중에 아바타속 가상세계는 새로운 생각의 지평을 열어줄 것입니다
학문 /
미술
22.11.14
0
0
세상을 바꾸는 열가지 아이디어 라는게 있던데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CNN 선정을 이야기 하는 것이라고 생각 됩니다.1.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2. 드론3. 마인드컨트롤 기술 4. 크라우드 펀딩5. 해안선보호기술6.태양광 저장7.자율주행 자동차8.센스 임플란츠9. 인공지능컴퓨터10. 스마트 타이어 입니다.질문자 님의 공유경제라는건 확인되지 않습니다.질문에 도움이 되셨기 바랍니다
학문 /
역사
22.11.14
0
0
터키의 나라 이름이 변경 되었는데 그 이유가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터키정부는 터키인의 땅을 의미하는 튀르키예로 변경하였습니다.유엔에서 승인을 못할이유가 없는 것이었습니다.영어단어 터키는 칠면조 겁장이 패배자란 속어의 뜻으로 쓰여왔으니 개인의 이름도 아니고 얼마나 국가와 국민이 얼마나 분했을 까요,튀르키예는 용감한민족 이란 의미의 뜻입니다.대한민국과는 혈맹의 관계입니다.한국전쟁 당시에도 다른 나라는 재고 있을때 가장 먼저 달려와 도와준 고마운 국가이며 네번째로 큰 병력을 지원한 국가 입니다.
학문 /
역사
22.11.14
0
1
최초의 태극기는 어떻게 만들어졌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질문자님의 질문에 답변드리자면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 있읍니다.최대한 알기쉽게 설명드리면최초로 태극기를 만든 사람은 이응준입니다.1876년 1월 국기제정 논의가 있었습니다.일본 국기를 걸었는데 포격했다는 데에서 조선은 국기에 의미를 몰랐던 것입니다.그래서 조정에서 국기를 만들것을 논의 하고1882년 5월 22일 미국 성조기와 나란히 제물포 조인식에서 게양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2.11.14
0
0
알에서 태어난 박혁거세는 실존 인물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라의 첫번째 왕이자 박씨의 시조인 박혁꺼세는알에서 태어났다고 삼국사기에 전해내려 옵니다. 경주에서 백마가 알을 낳앟다는 것인데 이것은 신존인물을 미화하고 왕권을 신성시 하기위함으로 꾸며낸 이야기 입니다고구려의 동명성왕 고주몽도 마찬 가지입니다.결론은 실존 인물이지만 신성시 하기위한 설화 입니다.
학문 /
역사
22.11.14
0
0
오보에 연주에 쓰는 리드는 만드는법에 따라 소리가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질문자님에 게 답변이 도움이 될지모르겠습니다오보에를좋아 하기 때문에 약간의 상식만 전달해 드리겠습니다.오보에는 목관악기에 피스가 나무로 되어있읍니다.나무이기 때문에 소리가 민감하여 항상 습기와 온도에 따라 다르게 날 수가 있어 잘 깍아주며 연주해야 합니다.연주도 연주지만 악기관리도 잘 해야 합니다.아름답고 말고 또렷한 음색을 가진 오보에 직접듣는 연주가 상당히 매력적 입니다.케인 껍질로 만들고 사용하는 사람들이 직접 깍아서 만듭니다. 리드 만드는 공구의 툴은 비용도 몇십에서부터 있지만 전문가 아닌이상 대부분 시판용 리드를 사용합니다.
학문 /
음악
22.11.13
0
0
바흐를 음악의 아버지라고 하는데 그렇게 부르게 된 이유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7세기 바로크 시대를 풍미했던 독일출신 바흐는 음악의 아버지라고 부릅니다유일무이라고 음악의아버지라 불리는 바흐는위대하고 그의 곡은 작곡공부를 하는 학생들에게 있어서 교과서 이기 때문 입니다.아버지라고 불리우게 된동기는 여러가지 설이 있습니다.그러나 그의 태생지인 독일에서는 음악의 아버지라고 쓰지 않고 위대한바흐 , 위대한 마에스트로 라 칭한다고 합니다.
학문 /
음악
22.11.13
0
0
577
578
579
580
581
582
583
584
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