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농사직설은 누가 편찬하였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농사직설은 1429(세종11년)에 국가사업 정초와 변효문이 왕명을 받아 이 책을 편찬하였습니다. 먼저 농사직설의 대표 편찬자인 정초(鄭초)는 세종 때의 문신으로 천문학과 역산 등의자연과학에도 능통한 학자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8.23
0
0
30대면 어떤 종류의 책을 읽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시인으로서 답변 드리자면 경제서적 즉 돈버는 투자 서적을 읽기를 권합니다.세상에 돈버는 것 같이 재미있는것은 없습니다.공부해야 돈도 벌리거든요^^요즘 새로운 경제 시대의 투자 서적이 좋겠습니다.
학문 /
역사
23.08.23
0
0
크게 쓸데없어 보이는 그림이 비싸게 팔리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가치가 있습니다.그림의 가치는 그 시대의 역사가 들어있습니다.그리고 휘귀성도 있습니다.말도 안되는 가격이지만 인간이 만들어낸 상품 즉예술의 가치 입니다.
학문 /
미술
23.08.23
0
0
헤겔이 말했던 '시대정신'이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개인적 자유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사회를 하나로뭉치는 정신적 개혁이 필요한것이 시대정신이다 독일의 관념론 철학자 헤겔이 처음 사용한 개념입니다. 헤겔은 인류의 역사에서 어떤 시대이던 간에, 그 시대를 관통하는 하나의 절대적인 정신이 있습다고 보고 그것을 시대정신이라는 단어로 불렀으며, 그 시대정신은 한 시대가 끝날 때에만 알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학문 /
철학
23.08.23
0
0
신학과 철학 공통적으로 중요시했던 본질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전적의미에서 쉽게 찾으십시오신학신이 인간과 세계에 대하여 맺고 있는 관계와 신을 연구하는 학문. 대개는 기독교 교리 및 신앙생활의 윤리를 연구하는 학문을 이른다.철학인간과 세계에 대한 근본 원리와 삶의 본질 따위를 연구하는 학문. 흔히 인식, 존재, 가치의 세 기준에 따라 하위 분야를 나눌 수 있다.자신의 경험에서 얻은 인생관, 세계관, 신조 따위를 이르는 말.
학문 /
철학
23.08.23
0
0
기독교에서 정의하는 이단은 어떻게 기준이 정해져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간단하게 답변 드리겠습니다.저는 기독교인도 아니고 종교와 관계 없는 사람입니다.이단은 하나님 예수그리스도를 믿지 않은 사람은 이단이라 기독교에서는 이야기 합니다.그러나 이제는 달리 말하기도 합니다.펙트는 나를 믿지 않는 자는 모두 이단이라 판단 됩니다.
학문 /
철학
23.08.23
0
0
국제적으로 안중군의사의 이토히로부미 저격은 테러라고 보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안중근 의사가 '테러리스트'라는 것에는 딱히 이건 아니다 하고 반발할 순 없습니다.그러나, 우리 민족의 독립을 위해 목숨을 바쳐 헌신했던 분인데 한국인인 우리마저 그 분을 부정할 순 없습니다.그런 분들(다른 입장에서는 테러리스트들)이 없었다면 대한민국이 과연 지금 존재했을지 생각해보아야 합니다.안중근 의사와 같은 분들을 '테러리스트'라고 부르는 것은 이 나라를 있게끔 헌신한 위인을 욕되게 하는 것입니다. 적어도 한국인이라면 그 분(들)을 '테러리스트'라고 부르지는 않아야 된다고 생각합니다.국제적 역시 이해 관계에 따라 다르게 판단 하리라 판단되지만.결론은 테러 리스트가 절대 아닙니다.
학문 /
역사
23.08.22
0
0
동로마제국을 비잔틴제국으로도 부르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동로마 제국이라고도 불리우는 비잔틴 제국의 뿌리는 로마 제국입니다. 그것이 동,서 로분리되면서 동쪽에 있던 지역을 관할하는 제국을 '동'로마 제국이라고 부르게 된것 입니다. 그리고 그 동로마 제국은 '콘스탄티노플'을 수도로 합니다. 이 콘스탄티노플은 원래 그리스어로 '비잔티움'이라고 불리는 곳이었는데,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이곳을 수도로하면서 '콘스탄티누스의 도시'라는 뜻의 콘스탄티노플이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그래서 수도인 '비잔티움'을 따서 '비잔틴 제국'이라고 불렀습니다.
학문 /
역사
23.08.22
0
0
중국 진나라 때의 사마의는 어떤 인물이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마의는 평생 여러 차례 대외 정벌에 나섰는데, 제갈량의 북벌을 두 차례 막아낸 것과 요동을 평정한 공을 가장 높이 평가받습니다.사마의의 업적으로 잘 알려진 건 바로 오장원 전투로 당시 북벌을 한 제갈량의 촉나라군을 상대로 승리하였 습니다.연의에선 제갈량의 북벌을 막은 최종보스로 묘사되지만 정사에서는 그 후의 추가된 내용이 있는데 대표적인 게 반란을 일으킨 왕릉이나 공손연의 난을 진압하고 조비 사후에 쳐들어온 오나라군을 상대로도 작피 전투를 치뤄 승리도 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8.22
0
0
아시아보다 문명수준이 낮았던 유럽이 역전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산업혁명과 증기기관이 힘입니다공장과 회사를 짓고 공장이 가동되니 대량 생산 가능하고농업에서 상업 공업의 중심산업으로 산업혁명시작 됩니다.또한 해양 문명이기 때문입니다. 탐험정신과 인문주의로 인해 탐구와 개발도 많이 형성되있고. 해외 식민지 개척등 활동을 통해 많이 발전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8.22
0
0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