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러일전쟁에서 일본이 러시아를 이겼는데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답변자 또한 질문자 님과 생각이 같습니다.당시 일본의 군사력이 강했습니다.그러나 넓은 러시아가 계속 전쟁을 했으면 모를일이지만 이미 우리는 전쟁의 결과를 보았습니다.일본이 러일조약을 할 때는 전쟁에서 이겼으므로 러시아보다 강한 나라였으므로일본은 거의 일본이 원하는 조건으로 정하여 졌습니다.
학문 /
역사
23.08.17
0
0
만리장성이 세위지고 유목민족의 침략이 줄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B.C 220년경 진시황이 북쪽 흉노족의 침입에 대항하여 처음 쌓기 시작하여 이후 명대에이르러 완성된 요새입니다.세계에서 가장 거대한 군사시설인 동시에 견고한 방어시스템으로 실제적으로 도움이 되었지만 결국은 나라는 망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8.17
0
0
진시황 꿈에 나타난 홍의동자와 청의동자 꿈이 어떤 내용인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황제의 권위와 힘을 상징하며, 청의동자는 황제의 청렴하고 공정한 통치를 상징합니다.이 꿈은 진시황이 천하통일을 달성한 후에 나타난 것으로, 그의 통치에 대한 성공과 권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라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학문 /
미술
23.08.17
0
0
선조가 이순신장군을 괴롭힌건 잘못한 행동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현제의 판단으로 생각한다면 선조가 잘못된 것입니다.그러나 이순신에 대한 백성들의 신뢰가 두터워지고 존경하는 마음이 강해진다면 왕으로서는 권력이 불안할 것입니다.그러나 왕으로서 해야할 행동은 아니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8.17
0
0
클레오파트라는 백인과 흑인 구체적으로 어디에 가깝다고 봐야하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답변자 역시 궁금합니다.그러나 과학자들에 의하면 흑인이라고 합니다.아무래도 과학자들의 의견에 동감해야 한다고 판단됩니다.
학문 /
역사
23.08.17
0
0
서비스 비용을 내는 방법으로 지로가 있는데 지로란 말의 유래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지로란 원(circle)이라는 뜻의 그리스어에서 유래하였습니다. 각 은행의 지점망이 하나의 원으로 묶여서 돈을 주고받아야 할 사람들의 자금결제를 도맡아 처리해주는 '은행계좌이체제도'를 말합니다
학문 /
미술
23.08.17
0
0
일본 야마구치현 나가토시에 양귀비의 무덤이 있다는데 무슨 이유 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당현종의 총애를 한몸에 받던 양귀비는 755년 안록산의 난을 피해 당현종과 함께 창안을 떠나 스촨으로 피난을 갔지만..도중에 부하나 군마가 움직이지 않게 되어, 부득이 난의 원인인 귀비를 마외파에서 목메어 죽게 했습니다. 라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8.17
0
0
중국은 황제이고 우리나라는 왕인 이유??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도 독자적인 연호, 황제를 썼던 적이 있습니다바로 삼국시대,남북국 시대,고려 시대이죠삼국 시대의 신라는 당나라에 칭송한다는 뜻으로 왕이라 했습니다.고구려,백제만은 왕보다 더큰,황제랑 맘먹는 태왕(太王)을 쓰고 자신을 부를때 짐이라 부르고 중국따위의 허락을 받지 않고 연호를 썼습니다. 또 전하라 부르지 않고 폐하라 불렀습니다.
학문 /
역사
23.08.17
0
0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는 왜 사이가 안 좋아졌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소련 해체이후에 3국은 서로 독립국이 되었다. 90년대 이후 벨라루스는 러시아-벨라루스 연맹국을 결성하고 독립국가연합, 유라시아 연합의 회원국으로 가입하는 등 친러 정책을 실시하고 있습니다.우크라이나는 러시아를 견제하는 정책을 실시하고 있읍니다. 이를테면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에게 우크라이나 대기근에 대한 책임과 사과를 반복 요구하면 러시아 측에서는 "소련 시절 일을 러시아가 책임지는데 한계를 둡니다.라시아는 밸라루스우크라이나는 나토와 가까워 지다보니 사이가 안좋아 진것입니다.
학문 /
역사
23.08.17
0
0
조선시대에 가체는 하루종일 쓰고있었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멋을 냈을때 썼으니 하루종일은 아니었고가격읏 삼백만원 정도 비싼건 억이 넘었답니다.현제금액으로 계산하면요고려시대에도 가체의 풍습은 있었다. 구체적인 것은 알 수 없으나, 고려 말기에는 원나라의 영향도 받아 더욱 크게 성행하였습니다.조선시대로 이어지면서 가체는 부녀자 수식의 절대적인 조건이 되었다. 『성종실록』에는 사람들이 고계(高髻)를 좋아하여 사방의 높이가 한 자가 된다고 하였는데, 이는 다리를 더하여 얹은머리를 높게 한 것입니다.
학문 /
역사
23.08.17
0
0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