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우리나라는 일본의 통치를 언제부터 언제까지 받았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확히 말하자면 1910년에 한일병합이 되었구요1945년에 독립했으니까 35년입니다.하지만, 실질적인 피해기간으로 따지자면을사조약(1905)전 이므로 50년을 넘었다고 볼수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8.14
0
0
인생은 하륜처럼이라고 자주 말하던데 하륜은 어떤 사람이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하륜은 태종 이방원에 중용되어 조선왕조의 기틀을 마련한 사람이기 때문에 훈구파로 볼 수 있습니다.하륜의 최고 업적은 태종 이방원을 조선 3대왕에 앉힌 것이죠. 그는 제1 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을 도와 공을 세우고 정당문학에 올랐으며, 《동국사략》을 편수하고 《태조실록》 편찬을 지휘하였습니다. 또한 한양천도를 적극 주장 관철시킨 것으로 유명합니다.
학문 /
역사
23.08.14
0
0
과거 '삼족, 구족을 멸하리라."에서 삼족, 구족은 무엇을 말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역모죄등 대역죄를 지은 사람들의 가족을 없엔다는 의미합니다. 삼족은 본래 아버지·아들·손자를 말하거나 또는 아버지의 형제자매, 자기의 형제자매, 아들의 형제자매를 이르는 동성삼족을 뜻했으나, 고려 후기부터는 대체로 이성삼족까지 뜻하고 있습니다.구족은 삼족의 배입니다.
학문 /
역사
23.08.14
0
0
대승불교와 소승불교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대승이란 말은 여러 사람을 동시에 이롭게(법익을 주고) 하고소승이란 말은 그 것을 실천하는 사람만 이롭게 된다고 하는 관점 입니다.ㅡ아래ㅡ소승불교(小乘佛敎)는 작은 수레라는 뜻을 가진다. 보수적 정통 불교를 주장하는 소승불교는 대승 교단에서 대승에 대비하여 표현하는 말로, 상좌부불교, 근본불교라 하고, 남방불교로도 칭한다. 상좌부불교는 스스로 수행하여 깨달음을 목표로 아라한의 경지에 이르는 것을 우선으로 하고 있다. 대승불교(大乘佛敎)는 상좌부불교와 함께 불교계를 이끌어온 큰 종파중 하나로써 중생구제를 목적으로 한다. 대승은 큰 수레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즉 불타는 집에 큰 수레를 끌고 들어가 많은 대중을 구제하는 큰 수레라는 의미에서 유래하였다. 라는 추가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학문 /
철학
23.08.14
0
0
아버지를 아빠라는 부르는데, 이게 맞는 표현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맞습니다.그러나 바른말은 아버지입니다.아부지도 맞고 아바이도 맞습니다.단지 지역의 사투리이고 아빠는 격식을 갖추지 않아도 되는 상황에서, ‘아버지’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이라고 합니다. 요즘에는 굳이 부모 자식 간에 격식을 갖추지 않으므로 아빠라고 부르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학문 /
철학
23.08.14
0
0
마라톤 선수들은 오래 사는 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마라톤 선수는 더 오래산다고 합니다.역도등 파워성 운동선수는 1.6년 축구 등 팀 스포츠 운동선수는 4년마라톤등 중장거리 운동 선수는 5.7 년을 일반인보다 더 오래살았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8.14
0
0
조선시대에 상공업이 발달하지 못한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유교의 교리자체가 상업과 공업을 배척하는 것이었습니다. 당시 조선은 통치의 기반을 이러한 유교에 두었기에 70%가 산지인 조선팔도에서 생산량도 겨우 입에 풀칠할 수준인 농업, 축산업 따위의 1차 산업이 주력이었으며상업이 융성하지 못하니 조선에서는 화폐통용, 도량형통일, 정보개념, 계약관계, 법률ㆍ법인, 경제관념, 무역 등의 이념이 근대국가로 도약할 만큼 충분히 성숙하게 발달하지 못하였으며 공업이 발달하지 못하니 생산력과 과학기술의 진보가 이루어지지 못하였 습니다.
학문 /
역사
23.08.13
0
0
고구려를 고구려라고 현대에 부르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건국 초기에는 국명이 여러 가지로 나타나서 고구려 구려 고리 등으로 기록되었는데 주로 고구려의 빈도가 가장 높았습니다. 당연하겠지만 이는 고유어 이름을 한자를 빌려 나타내는 과정에서 여러 표기가 나타났다가 점차 '고구려'로 통일된 것입니다. 4세기부터는 '고려'로 불리기 시작하여, 5세기에 이르러서는 '고구려'라는 이름은 거의 등장하지 않고 '고려'로만 불리게 되었습니다.현재 사학계의 정설은 장수왕 때 고구려가 고려로 고정되어 멸망할 때까지 사용되었다는 것 입니다.그리고 고구려에서 궁예가 후고구려를 만듭니다 .그런데 궁예가 난폭해져 헤치우고 왕건이 왕이됩니다. 나라를 고구려의 뒤를잇는다는 뜻에서 고려라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고구려는 고려와 당연히 차이가 있습니다.그래서 광개토왕등 시절 삼국시대누 고구려를 씁니다
학문 /
역사
23.08.13
0
0
작가들은 작품으로 유명세를 타서 돈을 벌기가 힘든데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작가들은 대부분 밥을 먹고 살기 힘이 듭니다.그래서 전업작가는 거의 없습니다.유명한 작가들도 교수나 강사를 하여 돈을 벌고 있으면 2류 작가들은 거의 본업이 따로 있습니다.저역시 시인 이지만 본업은 따로있습니다.작품으로서 돈벌기는 너무 힘듭니다
학문 /
미술
23.08.13
0
0
한글이 만들어지고 본격적으로 한글이 사용되기 시작한건 언제부터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글이 처음 만들어진 15세기에는 지금 사용하는 모습과는 많이 다른 모습을 가지고 있었습니다.그리고 초창기에는 일부 국민들만 한글을 사용했으며, 대다수의 국민들은 한문을 사용하였습니다.1913년에야 비로소 '하나의 글' '큰 글'이라는 뜻의 '한글'로 정착되었다. 한글 박해 1504년 (연산군 10년), 연산군의 잘못을 지적하는 한글 벽서 사건이 나자, 연산군은 모든 백성에게 한글 쓰기를 금하고, 한글로 된 책들을 불사르게 하는 등 한글을 박해했다.한글이 나라글로 자리잡음 1894년, (고종 31년) 당시 대한제국 칙령 제1호로 "법률 명령은 다 국문으로 본을 삼고 한문 번역을 붙이며, 혹 국한문을 혼용한다."는 한글 전용 대원칙에 관한 법령이 공포된 뒤부터 한글이 명실공히 우리 나라의 국문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학문 /
역사
23.08.13
0
0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