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아리스토텔레스 악법도 법이라고 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상식선에서 답변하는것이 쉬울듯 합니다.사람들에게 법의 중요성을 일깨워 준것입니다.법이없으면 나라가 바로서지 못합니다.그래서 억울하지만 잘못된 법이라도 따라야 한다는 것입니다법을 잘 만들어야 하겠습니다.
학문 /
철학
23.04.05
0
0
조선시대 쌀이 없으면 무엇을 먹고살았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때 고기는 양반계층이 먹는 음식이였습니다.서민들은 쌀도 없어서 끼니 거를때가 많았습니다.잡곡밥에 간장된장 가을엔 어디에나 많은 미꾸라지 추어탕등을 먹었답니다
학문 /
역사
23.04.05
0
0
불교의 최초근원지는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도입니다.현재 지역 기준으로 창시자인 석가모니는 네팔땅에서 태어났지만돌아다니면서 깨달음을 얻고 사상을 전파한 곳은 인도라고 합니다. 불교가 전래된 것은 기록에 의하면 고구려의 17대왕인 소수림왕(小獸林王) 2년 즉, 서기 372년의 일입니다. 이해 2월에 중국의 북부에 자리잡고 있던 나라인 전진(前秦)의 왕 부견(符堅)이 순도(順道)라는 스님으로 하여금 불상과 경전을 보내옴으로써 공식적인 불교의 전래가 이루어진 것입니다.
학문 /
역사
23.04.05
0
0
베르디의 오페라 중 대표작은 무엇이며 그 특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리골레토》(1851) 《라 트라비아타》(1853) 《아이다》(1871)베르디의 오페라는 19세기 전반까지의 이탈리아오페라의 전통 위에 서서, 극과 음악의 통일적 표현에 유의하고 있으면서도, 독창의 가창성을 존중하고 또 중창의 충실화와 관현악을 연극에 참여시키는 문제 등에서 남보다 한 걸음 앞서 있었다고 합니다
학문 /
음악
23.04.05
0
0
우리민족은 백의민족이라고 불렸는데, 옛날에 하얀옷을 즐겨입은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제시대 일제는 흰옷은 쉽게 더렵혀져 자주 빨아야 하므로 경제성이 떨어지니 흰옷 대신 검은 옷을 입도록 장려합니다. 그러나 대다수가 이를 무시하자 흰옷에 대한 탄압은 더욱 심해져 거리에서 사람들의 옷에 먹물을 뿌려가며 흰옷 입는 것을 막기도 했습니다. 그래도 사람들은 흰옷을 고집했고 흰옷은 곧 항일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의병대는 모두 흰옷 일색이었고, 고종의 인산일(장례일)이었던 3·1운동 당시는 전국이 흰옷으로 뒤덮였습니다..백의 민족 입니다
학문 /
역사
23.04.05
0
0
잔다르크는 실존 했던 여전사였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잔다르크는 실존 인물입니다.1429년 신의 계시를 받았다는 소녀 잔 다르크가 흰 옷에 흰 갑옷을 입고 등장하여, 프랑스 군이 영국군을 물리칠 수 있도록 앞장서서 싸웠습니다
학문 /
역사
23.04.05
0
0
우리나라 역사 중에서 수많은 전쟁 중에서 가장 길었던 전쟁은 어떤 전쟁이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가장 긴 전쟁은 대몽항쟁(1231년~1259년) 입니다, 단일 전쟁 중 가장 긴 건 임진왜란(1592년 5월 23일 ~1598년 12월 16일) 입니다.
학문 /
역사
23.04.05
0
0
위스키는 왜 년산이 오래된것이 비싼것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위스키는 오래될수록 비싸기도 하지만 몇년도에 만든것이냐에 따라서도 다르다고 합니다스카치 위스키나 버번 위스키의 경우 오랫동안 숙성시킬 수록 발효의 질이 높아지기 때문에 블렌딩한 맛과 질이 월등히 좋아집니다. 전문가의 입장에서는 그렇게 10년 20년 숙성시킨 술은 세상에서 단 하나 존재하는 환상의 맛으로 나타난다고 하기도 합니다
학문 /
역사
23.04.05
0
0
온돌문화, 기술도 한국문화유산에 포함이 되는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온돌문화는 우리 고유의 문화입니다.다른나라는 벽난로 라고 이야기할 수 있겠습니다.벽난로의 주위돌이 덮혀지니까요옥저문화 에서부터 고구려에 이러렀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4.05
0
0
내코가 석자라는 속담의 유래는 어떻게 되는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내 코가 석 자'라는 속담은 '당장 내 사정이 급하여 남을 돌아볼 여력이 없다'라는 뜻으로 이 속담은 '흥부전'의 모태가 되는 '방이설화'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4.05
0
0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