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리플올인
리플올인23.04.05

조선시대 쌀이 없으면 무엇을 먹고살았나요??

조선시대때 흉작이 되서 쌀이 없으면 어떤걸 먹고 살았나요??감자나 고구마 같은걸 먹고살았나요?

그당시 소고기 돼지고기는 구하기 어려웠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때 고기는 양반계층이 먹는 음식이였습니다.

    서민들은 쌀도 없어서 끼니 거를때가 많았습니다.

    잡곡밥에 간장된장 가을엔 어디에나 많은 미꾸라지 추어탕등을 먹었답니다


  • 쌀과 보리, 밀을 대신해서 먹을 수 있는 것들을

    물을 넣고 끓여서 양으로 배를 채웠습니다.

    봄이 되면 쑥을 캐서 쌀가루가 없으면,

    밀가루를 약간 넣어 쪄서 먹었으며,

    산나물, 들나물 뜯어서 끓여 먹었고,

    콩나물 밥, 무밥, 고구마밥 등

    지어서 먹을 수 있는 것은 다 먹었습니다.

    가을이 되면 시래기 버리지 않고 말려서 국으로 끓여 먹고,

    고구마는 뿌리, 순, 잎까지 버리는 것 없이 모두 먹었습니다.

    소고기, 돼지고기는 1년에 한 두 번 먹을 수 있는 것도 행운입니다.

    바닷가에서는 형편이 조금 나았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 안녕하세요. 남지혜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 쌀이 없으면 구황작물이라고 하여 고구마, 감자 등을 밥대신 먹고 살았습니다 그외에 조, 피, 수수등의 농작물과 산에서 칡뿌리 등을 캐서 허기를 달래는 사람도 많았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는 쌀 보다는 기장, 조, 콩,녹두, 메밀을 수확하여 먹었습니다.

    조선시대는 농경사회로 일을 돕는 소가 매우 중요해 실제 나라에서 소를 잡는 것을 금하는 우금령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당시 소고기는 돼지고기 보다 비쌌는데, 이유는 돼지의 사육개체가 적었기 때문으로 돼지의 먹이는 사람들이 먹는 음식과 겹치고 젖을 쓸수없는 가축으로, 일꾼역할도 하지 못해 사육하기 까다로워 개체가 적었기 때문에 더 비쌌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쌀이 없었을때는 아마

    보리나 옥수수 고구마 감자 등등 구황작물을

    먹지 않았을까요



  •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는 쌀이 주식이였지만 다들 경제적으로 힘들었기 때문에 쌀 보다는 조밥을 해서 먹었습니다.

    그리고 소고기는 구경을 못하기도 하고 돼지고기를 먹는것도

    어려웠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는 흉작이 발생하면 식량 부족 문제가 심각하게 발생했습니다. 그러나 그 당시에는 쌀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식품을 먹어서 살았습니다. 쌀 대신 국수, 떡, 볶음밥 등을 먹기도 했고, 곡류 중에서는 수수와 조, 콩, 팥 등을 이용한 음식도 많이 먹었습니다. 또한, 감자와 고구마, 뿌리채소 등도 먹었으며, 작은 어류나 조개 등의 해산물도 많이 먹었습니다.

    조선시대에는 소고기나 돼지고기는 흔치 않았습니다. 이는 그 당시에는 축산업이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식량 부족 문제가 지속되면서 가축의 존속이 어려웠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닭고기, 야생동물, 해산물 등을 먹으며, 부유층이나 권세층이었던 양반층이나 왕실에서만 소고기나 돼지고기를 먹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시대의 일반 백성들의 주식 재료로는 벼와 함께 조, 피, 기장, 밀, 보리, 팥, 수수, 콩, 녹두 등이 계속 재배되어 식생활에 이용되었다고 합니다. 쌀밥은 주로 양반들이나 잘사는 사람들이 주로 먹었지요. 돼지 고기는 소고기 보다 더 비쌌는데 그 이유는 돼지가 하도 많이 먹어서 돼지를 키우는 것 자체가 힘들었기 때문입니다. 주로 농가 에서는 닭이나 소를 키웠는데 소고기도 일년에 명절에 한번 먹을 수 있을 정도 였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는 기장, 보리, 밀, 옥수수 등 다양한 곡물을 먹었습니다. 그들은 또한 야채, 과일, 콩류를 많이 섭취했습니다. 고기는 사치품으로 간주되어 보통 특별한 경우에만 소비되었습니다. 한국은 긴 해안선과 풍부한 해양 환경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생선, 새우, 미역을 포함한 해산물도 조선 시대 식단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습니다. 김치, 된장 등 한국의 전통음식도 이 시기에 인기를 끌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가축은 노동력의 큰 부분을 차지했으므로 함부로 잡아 먹지 못하였습니다.

    보리를 심었고 보리로 버텼습니다.

    감자와 고구마는 조선후기에 도입이 되어서 그때부터 백성들에게 도움이 되었습니다.

    조선후기에는 이마저도 탐관오리들이 다 수탈 해 가서 배고픔에 허덕이는

    백성들이 많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