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조선시대에 부마들도 관직에 오를수가 있었는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부마는 관직에 나갈수도 없고 첩도 둘수 없었습니다.공주가 죽어도 재혼을 하지 못하였습니다.한마디로 불쌍한 남자입니다.공주를 상전으로 모셨으니까요
학문 /
역사
23.04.05
0
0
정릉에 있는 신덕왕후 강씨의 무덤은 언제 지금 위치로 옮겨진건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의 첫번째 왕비가 바로 신덕왕후 강씨이다. 고려시대에는 고향에 둔 부인을 향처라 불렀다. 이성계의 향처는 신의왕후 한씨였고 수도 개성에 얻은 부인은 경처라고 했고 신덕왕후 강씨였다1408년 태조의 죽음이후 이방원의 복수가 시작된다. 신덕왕후 사후 2년뒤 방원이 주도한 1차 왕자의난(1398.8.26)을 일으켜 세자 방석을 제거한 후 정종(조선 2대왕)의 뒤를 이어 조선 3대왕 태종으로 왕위에 오른 후 신덕왕후 강씨의 무덤을 성북구 정릉으로 옮겨 버린후 신덕왕후 무덤을 훼손하고 후궁으로 격하시켰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4.05
0
0
병자호란시 우리나라는 후금의 홍타이지가 도입한 홍이포에 의해 곤욕을 치룹니다. 그후에 왜 홍이포를 도입하지 않았나요?에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그당시 정보도 부족하고 원래 공격을 잘 안하는 우리민족이라 그런지 신무기 도입에 신경을 안쓴것에 대한 처참한 생각이 듭니다.신무기를 먼저 획득한 나라가 당연히 침범하기가 좋다고 판단 됩니다.지금도 북한이 핵무장을 하는데 우리는 뭐하는건지.우크라이나가 핵을 없에고 저꼴이 난것을 생각 아니할 수 없네요
학문 /
역사
23.04.05
0
0
명불허전의 고사 유래는 무엇인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마천 사기에 제나라 맹상군 열전에서 유래합니다.맹상군이 식객을 두기 좋아했다는 것을 두고 다음과 같이 사마천이 적었는데."세상에 전하기를 맹상군이 객을 좋아하고 스스로 즐거워하였다고 하니 그 이름이 헛된 것이 아니었다(世之傳孟嘗君好客自喜 名不虛矣)”이로부터 명불허전(名不虛矣)이란 말이 유래하였다고합니다.
학문 /
역사
23.04.05
0
0
패션 브랜드 중 샤넬을 중요한 브랜드로 언급하던데 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본명은 가브리엘 보뇌르 샤넬(Gabrielle Bonheur Chanel). 메종 샤넬의 설립자이다. 세계 패션 역사에, 특히 여성복과 실용성이라는 부분에 한 획을 그은 패션 디자이지만, 모국 프랑스에서는 과대평가 논란이나 나치 스파이 논란 등 여러 면에서 비판받는 인물이기도 하다. 프랑스의 대표적 브랜드이고 대표적 패션의 선두이기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학문 /
미술
23.04.05
0
0
십자군 전쟁은 어떤 이유로 일어나게 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독교의 성지 예루살렘이 이슬람 세력 발 아래 들어간 가운데 이슬람 세력의 동로마 제국 공격이 격해지자 동로마 제국 황제는 로마 교황에게 도움을 요청하게 되었고, 교황은 자신의 권력 강화 및 영주들의 새로운 영토 확보 등으로 십자군 전쟁이 일어나게 되었습니다. 라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4.05
0
0
살아가면서 꼭 필요한 교육이 있다면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답변자는 인사와 밝은 웃음이라고 생각합니다.살아가는데 있어서 긍정적인 생각을 상대방이 하게 되면 상대방에게 경계심을 풀게 합니다.그리고 자기가 가장 잘 하는 것을 교육시켜 주세요^^경제교육도 필요합니다
학문 /
역사
23.04.05
0
0
말을 조리있게 잘 하려면 어떤 연습이 필요할까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답변자도 말을 잘 못합니다.그래서 항상 글로 씁니다그래서 아하는 저랑 잘 맞고 좋아요,말을조리있게 잘하려면 천천히 해야합니다.생각하면서 말을 해보세요
학문 /
역사
23.04.05
0
0
12지신은 중국 한국 일본 동북 아시아의 공통 문화인건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2지신은 본래 중국에서 처음 유래되어동아시아 중국문화권 지역에 널리퍼진 문화이기도 합니다그러나 일본의 경우는 마지막 동물(돼지)이 멧돼지로 쓰이고 태국의 경우는 코끼리로 쓰입니다
학문 /
역사
23.04.04
0
0
토사구팽은 어떤 고사에서 유래된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범려와 문종은 월나라의 왕 구천이 오나라를 멸할 수 있게 도운 충신들이에요. 범려는 구천을 돕기는 했지만, 그의 인물 됨됨이를 믿지 못했어요. 그래서 월나라를 떠나면서 문종에게 충고했지요. “토끼를 다 잡고 나면 사냥개를 삶아 먹는 법이다.” 문종은 범려의 말을 듣고도 망설이다가 반역자로 몰려 죽었어요.‘토사구팽’은 토끼를 잡던 사냥개는 토끼를 잡고 나면 쓸모가 없게 되어 삶아 먹힌다는 이야기예요. 즉 필요할 때는 요긴하게 써먹고 쓸모가 없어지면 가혹하게 버린다는 뜻의 고사성어랍니다.라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4.04
0
0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