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사구팽은 어떤 고사에서 유래된 말인가요?
토사구팽이라는 말은 드라마나 책에서 많이 나오는것 같은데요, 그런데 토사구패의 정확한 의미는 무엇인가요? 그리고 토사구팽의 한자는 어떤한자를 쓰는것인가요? 그리고 토사구팽은 어떤 고사에서 유래된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토끼 사냥이 끝나면 개를 삶아 먹는다는 의미입니다. 곧, 필요할 때는 요긴하게 쓰다가 쓸모가 없어지면 헌신짝 버리듯 한다는 뜻입니다.
천하쟁패를 걸고 항우(項羽)와 벌인 싸움에서 승리하고 한(漢)나라를 건설한 고조(高祖) 유방(劉邦)은 누구보다 공이 많은 한신(韓信)을 초왕(楚王)에 봉하는 것으로 보답했다. 그런데 얼마 후에 항우의 부하 장수였던 종리매(鍾離昧)를 한신이 몰래 숨겨 주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아니, 이놈이 나를 배신할 음모를 꾸미고 있다는 건가.’
고조는 의심이 드는 것과 동시에 화가 치밀었다. ‘타도 진나라’를 외치며 봉기했던 초창기에도 한신은 승진에 불만을 품고 달아나는 등 석연찮은 전력이 있었던 것이다. 고조는 일단 사자를 한신에게 보내어 종리매를 압송하라고 명했다. 그러나 한신은 그 명에 따르지 않았을 뿐 아니라, 종리매의 목을 바쳐야 무사할 것이라는 가신(家臣)들의 권고에 오히려 화를 벌컥 냈다.
한신의 태도가 그처럼 애매하자, 마침내 고조도 그를 제거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결론을 내리고 한신을 불렀다. 순순히 나타나면 포박하고 불응하면 힘으로 쳐들어갈 생각을 한 것이다. 한신이 그처럼 어려운 처지에 빠지자, 종리매는 그를 더 이상 곤란하게 하지 않으려고 자결해 버렸다. 한신은 하는 수 없이 종리매의 목을 가지고 고조를 배알했으나, 그를 기다리고 있는 것은 반역 혐의와 처벌뿐이었다. 몸이 묶인 한신은 ‘이제 마지막이다.’ 생각하여 고조에게 이렇게 항변했다.
“‘교활한 토끼를 사냥하고 나면 좋은 사냥개도 삶아 먹고[狡兎死良狗烹(교토사양구팽)]’, 하늘을 나는 새를 다 잡으면 좋은 활은 곳간에 처박히며, 적국을 쳐부수고 나면 지혜로운 신하는 버림받는다더니, 한나라를 세우는 데 분골쇄신한 저를 폐하께서는 죽일 참이십니까?”
이 말을 들은 고조는 그를 처단하는 대신 회음후(淮陰侯)로 봉하고 서울인 장안(長安)을 벗어나지 못하도록 했다[네이버 지식백과] 토사구팽 [兎死狗烹] (고사성어 따라잡기, 2002. 5. 15., 구인환)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범려(范蠡)는 중국(中國) 춘추시대(春秋時代) 월나라(越--)가 패권(霸權)을 차지할 수 있도록 구천(句踐ㆍ勾踐)을 보좌(補佐ㆍ輔佐)한 명신(名臣)이다. 월나라(越--) 왕 구천(句踐ㆍ勾踐)은 가장 큰 공을 세운 범려(范蠡)와 문종(文種)을 각각 상장군(上將軍)과 승상(丞相)으로 임명(任命)하였다. 그러나 범려(范蠡)는 구천(句踐ㆍ勾踐)을 믿을 수는 없는 인물(人物)이라 판단(判斷)하여 월나라(越--)를 탈출(脫出)하였다. 제나라(齊--)에 은거(隱居)한 범려(范蠡)는 문종(文種)을 염려(念慮)하여 「새 사냥이 끝나면 좋은 활도 감추어지고, 교활(狡猾)한 토끼를 다 잡고 나면 사냥개를 삶아 먹는다.」라는 내용(內容)의 편지를 보내 피신(避身)하도록 충고(忠告)하였다. 문종(文種)은 월나라(越--)를 떠나기를 주저하다가 구천(句踐ㆍ勾踐)에게 반역의 의심을 받은 끝에 자결(自決)하고 말았다. 이 고사(故事)에서 토사구팽(兎死狗烹)이 유래(由來)되었다.
출처 : 디지털 한자 사전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토사구팽(兎死狗烹)은 토끼 토(兎), 죽을 사(死), 개 구(狗), 삶을 팽(烹)의 뜻처럼,
개가 토끼를 잡으면 개는 쓸모없어져 주인에게 삶아 먹힌다는 뜻으로
필요할 때는 사용하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되면
야박하게 버리는 경우에 사용하는 말입니다.
아주 오래전 중국 춘추시대에 월나라 왕 구천에게 범려와 문종이라는 두 신하가 있었습니다.
두 사람이 전쟁에서 큰 공을 세우자 구천은 그들에게 높은 직책을 내렸습니다.
하지만 범려는 자신의 왕인 구천을 좋은 사람이라고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이웃 나라인 제나라로 도망쳐 숨었습니다.
범려는 아직 월나라에 있는 친구 문종을 걱정하면서 편지를 썼습니다.
“새 사냥이 끝나면 좋은 활은 어두운 곳에 처박히고,
교활한 토끼를 다 잡고 나면 사냥개는 삶아 먹힌다.”
‘토사구팽’ ‘전쟁에 승리했으니,
구천에겐 뛰어난 부하가 필요 없다. 어서 피신하게.’라는 뜻이었습니다.
그러나 문종은 친구의 편지를 받고도 월나라를 떠날지 말지 고민했습니다.
그렇게 시간을 끌다가 구천에게 ‘왕의 자리를 빼앗으려 한다.’는 의심을 받아
결국 자결하고 말았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범려와 문종은 월나라의 왕 구천이 오나라를 멸할 수 있게 도운 충신들이에요. 범려는 구천을 돕기는 했지만, 그의 인물 됨됨이를 믿지 못했어요. 그래서 월나라를 떠나면서 문종에게 충고했지요. “토끼를 다 잡고 나면 사냥개를 삶아 먹는 법이다.” 문종은 범려의 말을 듣고도 망설이다가 반역자로 몰려 죽었어요.
‘토사구팽’은 토끼를 잡던 사냥개는 토끼를 잡고 나면 쓸모가 없게 되어 삶아 먹힌다는 이야기예요. 즉 필요할 때는 요긴하게 써먹고 쓸모가 없어지면 가혹하게 버린다는 뜻의 고사성어랍니다.라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토사구팽 [兎死狗烹]
兎 : 토끼 토
死 : 죽을 사
狗 : 개 구
烹 : 삶을 팽
토사구팽은 토끼가 죽으면 개를 삶는다는 말입니다.
사냥이 끝나면 필요 없어진 사냥개를 삶아 먹는다는 말로서 필요할 때는 요긴하게 쓰다가 쓸모가 없어지면 헌신짝 버리듯 한다는 뜻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교활한 토끼가 잡히고 나면 충실했던 사냥개도 쓸모가 없어져 잡아먹게 된다는 뜻으로 중국 춘추시대 월나라 재상 범려의 말에서 유래된 고사성어입니다.
토끼 토 (兔) 죽을 사(死) 개 구 (狗) 삶을 팽(烹) 입니다.
범려는 중국 춘추시대 월나라 왕 구천이 오나라를 멸하고 춘추오패의 한사람이 될 수도 있도록 보좌한 명신이다.
월나라가 패권을 차지한 뒤 구천은 가장 큰 공을 세운 범려와 문종을 각각 상장군과 승상으로 임명하였다.
그러나 범려는 구천에 대하여 고난을 함께 할수는 있지만 영화를 함께 누릴수 없는 인물이라 판단하여 월나라를 탈출하였다.
제나라에 은거한 범려는 문종을 염려하여 '새 사냥이 끝나면 좋은 활도 감추어지고, 교활한 토끼를 다 잡고나면 사냥개를 삶아 먹는다'라는 내용의 편지를 보내 피신하도록 충고하였으나 문종은 월나라를 떠나기를 주저하다가 구천에게 반역의 의심을 받은 끝에 자결하고 말았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토사구팽(土士九輦)"은 고려 말기에 쓰여진 윤관(尹瓘)의 시 "동국이람"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토사"는 땅에 기반한 이들을 뜻하고, "구팽"은 고려시대의 관리 체계에서 하급 관리 계급을 뜻하며, "구팽"은 9개의 계급으로 나뉘어져 있었습니다. 따라서 "토사구팽"은 땅과 백성에 근거한 하급 관리 계급을 의미합니다.
한자로 쓰면 "土士九輦"으로, "土"는 땅, "士"는 인재, "九"는 아홉, "輦"은 나루입니다.
"토사구팽"은 고려시대 하급 관리 계급의 한계와 어려움을 표현하기 위해 윤관이 지은 시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이 시에서는 하급 관리 계급인 "토사구팽"이 어려움과 역경을 극복하며 충성심을 지키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래서 "토사구팽"은 고난과 역경을 극복하는 인물에게 사용되는 말로 자주 쓰이게 된 것입니다. 현재에는 이 말이 비유적으로 사용되어, 어려움을 극복하는 용기 있는 인물이나, 고난을 이겨내는 모습을 보이는 인물을 묘사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교활한 토끼가 잡히고 나면 충실했던 사냥개도 쓸모가 없어져 잡아먹게 된다는 뜻으로,
중국 춘추시대 월(越)나라 재상 범려(范蠡)의 말에서 유래된 고사성어입니다
토사구팽은 토끼 사냥이 끝난 뒤 사냥개를 삶아 먹는 것과 마찬가지로 필요할 때는 쓰다가
필요 없을 때는 야박하게 버리는 경우를 빗대어 이르는 고사성어로 사용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