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AI 그림이 발달하면 앞으로 상업미술에 어떠한 영향을 끼칠까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AI의 발달로 얼마든지 가능합니다.특히 광고나 상업적 미술은 상당한 수준이 될것 입니다.그러나 예술적 가치는 인간을 따라 갈수 없을 것입니다AI는 모작에 불과할 따름일 것입니다.
학문 /
미술
22.10.14
0
0
한글 창제 이전의 우리나라의 음성언어는 어떤 형태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개인적 의건으로 달아볼까 합니다.언어와 문자와는 다릅니다.언어는 전 세계적으로 모두 다릅니다.문자가 있는나라는 언어와 문자를 같이 씁니다.우리가 문자가 없을때 한자를 썼습니다.그러나 우리의 음성 말은 단군왕조 때부터 동일하다고 생각됩니다.
학문 /
역사
22.10.14
0
0
옛날 여성들 이름은 왜 끝에 '자'로 끝나는 이름이 많았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그렇습니다.남아 선호사상 때문입니다.유교에 의한 남아선호사상 때문에 아들을 낳기 위해 子 아들자 를 많이 썼습니다.딸을 많이 낳은 집은 말자 , 꽃처럼 이쁘라고 지은 이름도 화자, 향자, 미자, 또는 끝내라고도 지었습니다.세상이 참 많이 변했고 여성상위 시대가 왔거나 오고 있다는걸 실감 합니다.
학문 /
역사
22.10.14
0
0
조선시대에도 깡패나 건달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건달은 하는일 없이 빈둥빈둥거리며 먹고사는 사람을 조선시대에 일컬었습니다.그리고 왈짜 왈패라고 불렀습니다.건달들은 시대를 불문하고 존재했습니다.조선시대도 그 이전도 현제도 합법을 가장한 건달들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2.10.14
0
0
부활절은 어떤 맥락에서 생겨났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계란은 부화의 상징입니다.우리나라 설화에도 알에서 시조가 태어 났듯이 부활 즉 태어 났다는 말입니다예수님이 부활 ,새롭게 태어 났다는 의미에서 부활절을 기념하면서 계란을 주게 된 것입니다.부활절의 관습은 이교도에서 시작되어 기독교에 결합된 풍습이라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2.10.13
0
0
사자가 동물의왕이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자가 동물의 왕이라고 부르게 된 이유는사자는 밀리의 왕이라고 불리는데 사실 사자는 초원에 살고 있습니다. 밀림에도 살고 있었다는것도 사실입니다고양이과 로서 백수의 왕이라고 불리고 있습니다그이유는 고대 시집트부터 신의 불가사싀한 일과 왕의 위엄으로 믿었습니다.초기 그리스도에서도 예수님옆이나 성인들 옆에 사자를 그려 넣기도 하였다 합니다.그런저런 이유로 사자가 동물의 왕이라 부르게 된것 입니다.
학문 /
역사
22.10.13
0
0
한국 근현대사에 관한 궁금점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북한의 당연하고 정확하게 국가입니다.그들의 국가는 조선민주주의 인민 공화국으로 공산 국가 입니다.저들은 세계속에서 핵으로 말미암아 고립되어 있으나.올림픽등 주요행사에서는 등장하는 한 국가로서 초청받고 일부제외한 세계회의때도 참석하는 국가입니다.핵을 가진 강대국에 비해핵을 가진 약소국 이지만 엄밀하게 따지면 전쟁의 우위를 따질수 없는 국가가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2.10.13
0
0
미술의 사조들 가운데 인상파란 어떤 성격의 사조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조란 그 시대의 역사라고 합니다미술계의 역사 즉 사조는 대단히 중요하며 그 미술작품의 가치 평가로도 차이가 많이 납니다.인상파는 한순간의 인상을 포착하는데 목적이 있었습니다.그래서 그림이 표면적이고 깊이가 없다는 것으로 이 한계를 극복하고자 후기인상주의가 발생하였고 이들은 대상의 본질을 표현하고자 하였습니다
학문 /
미술
22.10.13
0
0
르네상스 시대를 대표하는 화가는 누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레오나르도 다빈치 .미켈란젤로. 라파엘로가 있습니다이들은 르네상스를 이끌었던 이탈리아의 거장들 입니다.작품으로는 다빈치의 최후의만찬 모나리자등이 있습니다미켈란 절로는 아담의 창조.이브의 창조 반나의 젊은이들 등이 있습니다.라파엘로 작품은 성모 마리아의 결혼등이 있습니다답변이 그런데로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학문 /
미술
22.10.13
0
0
음악업계 은어로 쓰는 '야마'의 어원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본 말에서 온것 이 아닐까 생각 합니다.산 이라는 뜻인데 정수리 그러니까 정상을 뜻하는 것입니다.아, 꼭지도네~ 라고들 화가날때 가끔 바른 말은 아니지만 사용하기도 합니다.즉 야마라는것은 팩트가 부족하다 정상에 와 닿는게 부족하다 꽂힘이 없다 이런 뜻이라고 생각됩니다.
학문 /
음악
22.10.13
0
0
613
614
615
616
617
618
619
620
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