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약 40년된 턴테이블과 레코드판이 가치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말씀 드리겠습니다.레코드판은 귀한것이면 1장에 1만원이상 갑니다그런데 보통 3천원에서 거래가 되는것을 보았습니다. 이가격은 골동품 경매시장에서 거래되는 시세입니다.조금 발품을 팔면 더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버리지 마시고 한쪽에 잘보관해 두셨다 기회가 오면 가격을 한번 알아 보시는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학문 /
역사
22.10.13
0
0
외국인들에게 우리나라 쌈을 소개했는데..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저또한 질문자의 생각과 같다고 생각합니다.그들의 오래전부터 습관이 되고 유전적 요인이 된것 같습니다.고기를 한번에 먹지 않등 잘라먹는 식습관 때문에 뇌에서 인지를 하지 않는 것이리라 생각됩니다.햄버거등 항상 그렇게 먹듯 그렇게 식습관이 몸에 벤것 같습니다
학문 /
음악
22.10.13
0
0
카네기 인간관계론에 대해 의문점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살다보면 유난히 자존심이 강하고 이기적인 사람이 많습니다.술집에서 유난히 목소리가 큰 자기 주장이옳다고 하는 사람, 정답이 아닌데도 끝까지 우기는 사람의문이 풀렸는데 자기가 안그랬다고 부인하는 사람 도저히 대화가 안되는 인간들이 있습니다.나를 낮추고 상대에게 배려를 한다고 생각하면서 상대의 틀린말에도 부드럽게 긍정의 언어로 대하면 곧 조용해 지는것을 많이 보아 왔습니다.대화의 주제를 자연스럽게 바꾸는 것도 좋습니다.상대로 인하여 스트레스롤 받는건 내 주장이 강하기 때문 입니다.속담에 지는것이 이기는 것이다 라고 있습니다.인간 같지 않은 사람에게 이길 필요없다고 주관 적인 생각을 답변 드려보았습니다.
학문 /
철학
22.10.12
0
0
인공지능에 의해 창작되어진 작품도 예술작품이 될수 있는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점정 세상은 인공 지능화 되어가고 있습니다.인간이 만든 예술품보다 가격등은 차이가 크겠지만틀림없이 세상은 변하고 인식또한 변할것이니 예술품이 될수 있다고 주관적으로 생각하여 봅니다
학문 /
미술
22.10.12
0
0
오래된 도자기 한 점을 선물 받았습니다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귀한 선물을 받으셨네요.중국 근데 도자기는 가격이 나가지 않고 오래된것은 가격이 나갑니다.일단은 중국 도자기가 워낙 많기 때문이고 그래서 가짜가 거의 대부분 입니다.주신분의 경로나 관계등을 생각하여 진품 같으면 공신력있는 골동품 경매회사 두군데가 있읍니다.메일로 일단 사진이랑 보내 보시던지전화로 직접 해서 감정가능을 질의 해보세요가장 정확할거예요.인사동이나 이런곳은 전문가 그러니까 업자가 아니면 잘안알려 줍니다.비용을 받는 인사동 도자기감정하는 곳으로 가서 진품이든 가품이든 보아 달라고 하세요가기전에 도자기점에 들러 감정하는곳 알려달라 하시면 더 효과적입니다
학문 /
미술
22.10.12
0
0
조선 정조왕의 업적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조 대왕의 업적은 위대하다고 볼수 있습니다.양반첩의 자식을 서얼이라 하는데처음으로 서얼을 인재로 등용하여 규장각에 진출합니다.소비제도를 폐지 하였습니다신해통공으로 시장경제 활성화 로 비단같은걸 누구나 팔수 있게 하였습니다왕실재산으로 백성을구제 등 많은 업적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2.10.12
0
0
그림을 불태우고 nft로 제작하였다면 nft는 그 그림만큼의 가치를 유지할까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개인적 주관적으로 답변 드리겠습니다.암호화폐를 지금은 가상 자산이라고 합니다.nft는 대체불가능 토큰이라고 합니다일본의 유명한 호박작가는 실제 그림을 조각조각 내어 판매했다고 합니다.어떤 경위 누구에의해서 기획돈것인지는 잘 모르나틀림없는 사실은 가능성이 있다는 것 입니다.가상세계에서 벌어지는 특이한 현상이 우리에게 도래하고 있습니다.
학문 /
미술
22.10.12
0
0
북한도 한글날(세종대왕님포함)창제 기념일이 있습니까?
북한역시 조선 글 날 이라고 합니다.훈민정음이 탄생한 1444년 ㅣ월 15일 날을 기준으로 만들었습니다.북한은 공뮤일이 아니기 때문에대부분 인민들은 모르고 조용히 지나 가고 싶습니다.
학문 /
역사
22.10.12
0
0
조선시대 왕중에 종과 조는 어떻게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녜에 비슷한 질문이 있는것 보니 모두가 궁금한것 같습니다.조는 태조 같이 나라를 세운욍들에게 쓰입니다.종은 덕이 있는 왕에게 붙는거구요군은 왕에서 쫒겨난 사람이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학문 /
역사
22.10.12
0
0
시를 다시 한 번 써보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같은 시인으로서 방식은 예전과 다름없습니다.철학이 있는 시를 쓰시면 됩니다.걱정하지 마시고 열심히 쓰시면 대성하실겁니다.시는 50 살이 되어도 신춘문예 등에 당선됩니다.시에 큰 소질이 있으시니 신춘문예 책보시면 될듯 합니다. 방갑습니다
학문 /
역사
22.10.12
0
0
613
614
615
616
617
618
619
620
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