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우리나라 독립운동가 안중근의사는 왜 이토를 저격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 대한의 국모 명성황후를 시해한 죄2. 대한의 황제를 폭력으로 폐위 시킨 죄3. 을사늑약과 정미늑약을 강제 체결하게한 죄4. 무고한 대한의 사람들을 대량 학살한 죄5. 조선의 토지와 광산과 산림을 빼앗은 죄6. 제일 은행권 화폐를 강제로 사용케한 죄7. 보호를 핑계로 대한의 군대를 강제 무장해제 시킨 죄8. 교과서를 빼앗아 불 태우고 교육을 방해한 죄9. 한국인들의 외교권을 빼앗고 유학을 금지한 죄10. 신문사를 강제로 철폐하고 언론을 장악한 죄11. 대한의 사법권을 동의 없이 강제로 장악 유린한 죄12. 정권을 폭력으로 찬발하고 대한의 독립을 파괴한 죄13. 대한 제국이 일본인의 보호를 받고자 원한다면 세계의 뻔뻔스런 거짓말을 퍼뜨리며 세계인을 농락한 죄14. 현재 대한이 태평무사한것처럼 천왕을 속이고 밖으로는 세계 사람들을 모두 속인 죄15. 동양의 평화를 철저히 파괴한 천인 공노의 죄 라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8.31
0
0
왜구라는 명칭이 붙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왜나라(倭)의 도적(寇).왜구의 '왜(倭)'는 왜나라를 뜻하는데 옛날 우리나라와 중국에서는 일본을 '왜'라고 불렀어요. 왜구는 바다를 통해 우리나라에 쳐들어와 사람을 해치고 곡식과 물건을 빼앗아가던 해적을 말합니다
학문 /
역사
23.08.31
0
0
치도곤을 맞으면 거의 사망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장형도 목숨이 왔다갔다 하는 형벌이었지만,치도곤 이 장형보다도 고통이 훨씬 심했으며 더 위험했다.그래서 조선시대 초중기에는 상당기간 사형을 동급으로 보는 시선들도 많았다. 도적을 토벌할 때나 군법을 어긴 자를 처벌할 때 등 중한 처벌이 필요한 곳에서만 상당히 제한적으로만 사용하게 하였다합니다.살아 남은 사람도 있겠지만 거의 불구가 된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8.31
0
0
불교는 어디에서 시작되었는가?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석가모니 부처님은 지금부터 2,600여년전 음력 4월 8일 북인도지방(현재 네팔)의 카빌라국의 왕자로 태어났습니다.이름이 싯타르타로 어릴 적부터 삶과 죽음에 대한 고민을 하였습니다깨달음을 얻고자 왕자로서의 모든것을 버리고 출가를 하게 되었습니다.
학문 /
철학
23.08.31
0
0
과거에 여성의 인권이 약했던 이유는 뭘까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는 여성을 하대 하였습니다.유교적 사상이 여성을 하대하게 만들었습니다.억불 숭유 정책으로 말미암아.여성의 인권을 묵살 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8.31
5.0
1명 평가
0
0
"모나리자"는 어떤 작품이며 작품의 주인공 여성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모나리자는 모나와 리자로 나뉘며모나는 이탈리아어로 부인입니다. 즉 리자 부인이 되겠습니다.리자 부인의 이름은 리자 델 조콘도 입니다.실제인물 초상화로 모나리자는 실제로 존재하는 여성인 초상화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작품은 그녀의 미소와 표정을 담아내어 현실적인 인물 초상화로 극찬받고 있습니다.
학문 /
미술
23.08.31
0
0
청소년기에 정서적 성장을 위해 부모가 할 수 있는 노력이 어떤게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부모님과 같이 박물관이나 여행을 다닙니다.또는 웃어른을 자주 찾아뵙는것또한 해당되며 같이 좋아하는것을 하면 아주 큰 도움이 되겠습니다.
학문 /
음악
23.08.31
0
0
우리나라 첫 소설가와 소설책은?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의 국문학사에서 잘 알려진최초의 한글소설은 허균의 홍길동전 입니다.이 소설은 서얼의 철폐와 이상사회 건설을 그려냈습니다.
학문 /
역사
23.08.31
0
0
경신대기근으로 어느정도의 인구가 감소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경신 대기근이 인구의 10%이상이 감소하여 많은 사람들이 고향을 등졌습니다. 이후 탐관오리들은 헐값에 땅을 사들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8.31
0
0
마을 입구에 장승을 세워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장승의 기능은 첫째 지역간의 경계표 구실, 둘째 이정표 구실, 셋째 마을의 수호신 역할입니다. 길가나 마을 경계에 있는 장승에는 그것을 기점으로 한 사방의 주요 고을 및 거리를 표시하였습시다. 수호신으로 세운 장승에는 이정표시도 없으며, '천하대장군'류의 표시도 없고 마을의 신앙 대상으로서 주로 액병(厄病)을 빌었습니다.장승의 기원은 솟대, 선돌, 신목, 등과 함께 신석기, 청동기 시대의 원시 신앙 물로서 유목, 농경, 문화의 소산으로 파악됩니다. 일종의 수호신앙으로서 씨족, 부족민의 공통적 염원을 담은 제정일치 시기 지배이념의 표상으로서 기능 하다가 삼국 시대 들어 중앙 집권적 국가 기틀이 마련되고 불교, 도교, 유교, 등의 통치 이대올로기가 체계화됨에 따라 불교의 습합되어 전승하게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8.31
0
0
91
92
93
94
95
96
97
98
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