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포항에서 임금체불 심각…이런 경우 어떻게 대응하죠?
안녕하세요. 박찬욱 노무사입니다.제 고향에서 임금체불이 심각하다니, 안타깝네요.근로자분들은 노동청을 통해 임금체불을 신청하고, 체불임금 중 일부는 대지급금제도를 통해 나라로부터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고용·노동 /
임금체불
24.11.19
0
0
해고 통보 후 계속 근로하여도 상관 없나요?
안녕하세요. 박찬욱 노무사입니다.해고와 자발적 퇴사는 이후 권리구제에서 어마어마한 차이를 가져옵니다. 따라서 귀하께서는 계속 근로의사를 회사에 지속적으로 표명하시는 게 바람직합니다.귀하의 계속 근로의사에도 불구하고 회사가 귀하를 해고한다면, 해고와 관련된 서류를 충분히 확보해두시길 바랍니다.
고용·노동 /
해고·징계
24.11.19
5.0
1명 평가
0
0
징계해고 하자로 인하여 무효 후 재 징계해고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박찬욱 노무사입니다.절차상 하자만 있어 해고가 무효가 된 경우에는 절차상 하자만 치유하여 다시 해고 할 수 있습니다.
고용·노동 /
해고·징계
24.11.19
0
0
만약 회사에서 구조조정을 받았다면?
안녕하세요. 박찬욱 노무사입니다.근로기준법 제24조에서는 경영상 이유에 의한 해고 관련 조항들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구조조정시 해당 조항에 따라 진행하여야 합니다. 이를 위반하는 경우 부당해고에 해당하므로 권리구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고용·노동 /
구조조정
24.07.16
0
0
부당해고 금전보상 및 근로계약서 미작성
안녕하세요 법률사무소 선진 박찬욱 노무사입니다.금전보상 합의 내용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세전 월급 기준으로 세금을 공제한 뒤 지급합니다.큰 영향은 미치지 않습니다.합의 내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고용·노동 /
해고·징계
24.05.02
0
0
근로기준법에 휴게시간 문의합니다.
안녕하세요 법률사무소 선진 박찬욱 노무사입니다.실제 근로하였다면, 해당 시간에서 휴게시간을 빼는 것은 근로기준법 위반 소지가 있으니 참고바랍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4.05.02
0
0
임금체불 관련 문의 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법률사무소 선진 박찬욱 노무사입니다.임금체불에 대해선 노동청 진정, 민사소송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법인인 회사가 폐업을 하게 되면 대지급금 외 체불임금에 대해 받기란 어렵습니다. 따라서 사건 진행시 빠르게 진행하시는 게 바람직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체불
24.05.01
0
0
4대 보험 가입에 관련되어서 궁금한 것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박찬욱 노무사입니다.4대보험이라고 함은 고용, 산재, 국민연금, 건강보험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4가지 보험에 모두 가입하는 경우에 4대보험에 가입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4대보험 가입대상자인지 여부를 따져보시고, 대상자임에도 가입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사업주에게 가입요청을 해야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고용·노동 /
산업재해
24.04.24
0
0
출퇴근 시간에 대해서 궁금한 점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박찬욱 노무사입니다.아닙니다. 근로기준법에서는 주52시간 한도 내에서 연장, 야간, 휴일 근로를 하도록 제한하고 있을 뿐, 수당의 경우에는 실제 근로한 시간을 기준으로 산정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주 52시간을 넘겼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소정근로시간을 초과한 경우라면 수당이 발생할 것으로 사료됩니다(다만, 근로계약서상 포괄근로계약으로 되어 있다면, 월급에 수당이 포함되어 있을 수는 있습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4.04.24
0
0
연차가 생기는 기준이 어떤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찬욱 노무사입니다.연차는 계약직 여부와 무관하게 발생합니다.근로기준법에 따르면 1년 미만 재직한 근로자는 1개월 개근시 1일의 연차 (첫 달 제외, 최대 11일)을 지급하여야 하며, 1년 이상인 경우 출근율이 80% 이상인지 여부를 따려 이상인 경우에는 15일의 연차를 지급하여야 합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4.04.24
0
0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