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자격증
전세 재계약을 할 때 알고 싶은게 있어요
안녕하세요. 오세원 공인중개사입니다.도배, 장판, 싱크대 모두 집주인에게 요구할 수 있습니다만, 사실상 도배 장판같은 경우엔 자연마모로 인한 손상이 주된 부분이기 때문에 안 해줄 가능성이 높습니다.싱크대는 큰 공사기 때문에 집주인에게 요구하면 해줄수도 있겠지만, 대신 집주인은 보증금이나 월세 인상을 요청할 수 있겠지요.아마 집주인이 그냥 해주진 않을 것 같습니다.님이 혹시 비싼 가격에 살고 계실까요? 그렇다면 해줄수도있고아니면 좀 저렴하게 사시는 편이라면 차라리 내보내고 시세대로 받을 수 있게 다른 세입자를 받으려고 할 수도 있습니다.주변 시세랑 비교해보시고 판단 잘 하셔서 요청해보시길 바랍니다.ai가 아닌 제가 직접 다는 답변입니다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려용^^*
경제 /
부동산
23.10.21
0
0
부모님과 함께 거주하게 될 경우 생활비 문제?
안녕하세요. 오세원 공인중개사입니다.그거는 부모님하고 상의를 하셔야죠!명의만 님 명의로 하고 돈은 부모님이 내도 그 누구도 신경 안씁니다. 부모님만 괜찮다고 하시면요.부모님이 자식 집 월세랑 생활비 내준다는데 누가 참견하겠습니까 ㅎㅎAI가 아닌 제가 직접 작성하는 글입니다.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
경제 /
부동산
23.10.21
0
2
전세 만료시 언제쯤 집을 구하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오세원 공인중개사입니다.넉넉하게 두달 반 전부터 집 보러다니시고요집주인한테는 퇴거 6개월~2개월 전까지는 반드시 퇴거 통보를 하셔야 합니다.갑자기 나간다고 하면 집주인들이 돈 안돌려줍니다.AI가 아닌 제가 직접 작성하는 글입니다.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
경제 /
부동산
23.10.21
0
0
전세계약 만료 한두 달 전에 집을 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오세원 공인중개사입니다.원칙상 계약 만료전에는 집주인이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아도 됩니다.집주인과 확실하게 합의 후 진행하셔야 합니다.자칫하다간 계약금만 날리게 될 수 있습니다.그리고 최소 두 달 전에는 집주인에게 퇴거 통보를 해야합니다.만약 퇴거 통보도 없이 갑자기 나가겠다 하면 집주인 입장에서는 돈을 마련해야 하니 돈을 돌려주지 않을 수 있습니다.그리고 모든건 문자나 통화녹음을 통해 기록을 남겨두십시오.AI가 아닌 제가 직접 작성하는 글입니다.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
경제 /
부동산
23.10.21
0
0
부동산 계약서를 쓰지 않고 전화상으로만 가계약금을 보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세원 공인중개사입니다.네 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았기 때문에 무효화 된겁니다.근데 가계약금 주고받을 때 단순변심으로 인한 계약파기시, 매수자는 계약금을 포기하고, 매도자는 배액배상을 한다문자로 이 문구 안주고받으셨나요?그냥 가계약금만 돌려받으셨나요?만약 위 문구를 주고받았다면 매도자의 단순변심으로 인한 계약파기기 때문에 배액배상을 해야하는것이 맞습니다.
경제 /
부동산
23.10.21
0
0
연립주택의, 뜻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오세원 공인중개사입니다.일반주택을 건축법상 디테일하게 다세대, 연립, 다가구 등 다양한 용어로 나누어서 부르는겁니다.일반주택이라고 하면 헷갈리잖아요~연립주택은 건축연면적이 660m 2를 초과하는 4개층 이하의 건물을 말합니다.AI가 아닌 제가 직접 작성하는 글입니다.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
경제 /
부동산
23.10.21
0
0
부동산 매매시 근저당을 끼고 그 돈만큼 제 하고 매매하는 거래도 있다고 하는데 처음듣는 내용이라서요
안녕하세요. 오세원 공인중개사입니다.무슨 말씀이신지 정확하게는 모르겠지만, 만약 매매하고자 하는 집에 근저당이 매매가 이상으로 잡혀있다면 선납받은 계약금으로 근저당 일부를 제하고 매매거래를 진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일반적으론 잔금일에 법무사가 부동산에 방문해서 근저당을 없앤 후 소유권을 넘깁니다.AI가 아닌 제가 직접 작성하는 글입니다.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
경제 /
부동산
23.10.21
0
0
아파트 전세보증금 반환 관련 임대인과의 갈등
안녕하세요. 오세원 공인중개사입니다.너무나 큰 곤란을 겪고 계신걸로 보입니다.집주인이 앞으로 녹음파일을 보내라고 하면 보내지 않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임대인은 아마 해당 녹음파일을 들어보고 그 후 행동을 결정했을 것 같습니다.혹시 전세보증보험을 가입하셨나요? 일단 전세보증보험을 통해 돈을 돌려받으셔야 할 것 같습니다. 돈을 제때 돌려주지 않겠다는 증거자료는 있으신걸로 보입니다.만약 가입하지 않으셨다면 변호사 사무실을 찾아가 법대로 해야 할 것 같습니다.만기 두 달 전 통보하면 다른 세입자가 구해지던 아니던간에 계약만료시 집주인은 무조건 돈을 돌려줘야 합니다.계약 만료 2달 반전 집주인에게 돈을 돌려달라 통보를 했으니 돌려줘야 하는게 맞습니다.세입자를 구하기 전에 돈을 못 돌려준다는건 명백한 계약위반입니다.대충 글만 봐도 임대인은 집 거래에 익숙한 사람인 것 같습니다."집 주인이 본인에게도 알려주면 세입자를 본인이 데리고 가서 보여주겠다"" 모든 걸 인정하지 않으시면서 녹음 파일을 보내라"이 부분만 봐도 세입자분께서 집 거래에 익숙하지 않은 점을 이용해서 임대인 본인에게 유리한 상황으로 끌고나가려는게 보입니다.젠틀한 말투에 속지 마시고 내용증명 보내고, 만약 보증금 미반환으로 인해 일어나는 모든 책임은 임대인에게 물겠다는걸 확실하게 이야기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앞으로 녹음파일 보내라던가 무슨 말 하면 하라는대로 하지 마시고요.. 없어도 증거 자료 있는척 하면서 집주인을 좀 압박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경제 /
부동산
23.10.21
0
0
전세사기 이후 장기수선충당금 납부에 대해 여쭤봅니다
안녕하세요. 오세원 공인중개사입니다.집이 경매로 넘어갈텐데, 전기 수도 가스와 같은 미납시 곤란한 관리비만 계속 내시고 장기수선충당금과 같은 돈은 미납하셔도 됩니다.추후 장기수선충당금은 소액재판청구를 통해 집주인에게 청구하시면 됩니다.곤란한 상황이실텐데 잘 해결되시길 바랍니다.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
경제 /
부동산
23.10.20
0
0
월세임대기간이 끝났는데 퇴실시 청소비를 요구하는데 정당한건가요?
안녕하세요. 오세원 공인중개사입니다.집을 어떻게 쓰셨냐에 따라 다릅니다.혹시 집에 손상을 입히거나 쓰레기를 처리하고 가지 않았다면 요구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짐을 깨끗하게 빼고 이사갔는데 청소비를 요구한다면 거부할 수 있습니다.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
경제 /
부동산
23.10.20
0
0
1
2
3
4
5
6